•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d mucosa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9초

Novel Alternative Methods in Toxicity Testing

  • Satoh, Tetsu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29-130
    • /
    • 1994
  • The science of toxicology is th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by which exogenous agents produce deleterious effects in biological systems. The actions of chemicals such as drugs are ultimately exerted at the cellular and gene levels. Over the past decade. several in vitro alternative methods such as cultured cells for assessing the toxicity of various xenobiotics have been proposed to reduce the use of animals. In this workshop three advanced methods will be presented. These methods are novel important models for toxicologic studies. Dr. Tabuchis group has establishcd two immortalized gastric surface mucosa cell lines from the pminary cultore of gastric fundic mucosal cells of adult transgenic mice harboring a temperature sensitive simian virus 40 large T-anugen gene. As the immortalized cell lines of various tissues possess unique characteristics to maintain their normal functions for several months, these cell lines are extremely useful for not only toxicity testing but also pharmacological screening in new drug development. Professor Funatsu have studied the formation of spherical multicelluar aggregates of adult rat hepatocytes(spheroid) having tissue like structure. The sphcroid shown thre is a prototype module of an artificial liver support system. Thus, the urea synthesis activity of the artificial liver was maintained at least to days in 100% rat blood plasma. Dr. Takezawa and his coworkers have developed a novel culture system of multicellular spheroids considered 〃organoids〃 by utilizing a thermo-responsive polymer as a substratum of anchorage dependent cells. His final goal is to reconstitute the organoids of various normal organs, e.g., liver, skin etc. and also abnormal deseased organs such as tumor.

  • PDF

토끼 구강점막 상피세포 성장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Rabbit Oral Keratinocytes)

  • 윤문영;박희정;이두훈;장인근;박정극;김우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103-109
    • /
    • 2005
  • 토끼 구강점막 상피 세포의 분리 및 일차배양 방법, 세포성장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T75-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토끼의 구강점막조직을 채취(biopsy)한 후 트립신(trypsin) 효소처리방법을 이용하여 $0.25cm^2$ 점막 조직으로부터 $1.92{\pm}0.59{\times}10^6$개의 점막 상피세포를 회수할 수 있었다. 회수한 점막 상피세포를 50 mg/L BPE(bovine pituitary extract), $5.0{\mu}g/L$ EGF(human recombinant epidermal growth factor), 0.15 mM $Ca^{2+}$을 함유한 K-SFM(keratinocyte serum free medium)을 10 mL씩 사용하여 일차 배양한 결과 8일 만에 배양용기표면에 세포가 포화(confluent)하게 성장하였고 배가시간은 2.45일이었다. 일차 배양한 세포를 회수한 후 배지종류, 배지부피, 첨가물 종류가 상피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혈청첨가배지는 세포성장에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고, 혈청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성장은 큰 변화가 없었다. 배지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성장은 감소하였고, 칼슘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성장은 증가하였으며 2.0 mM에서 최적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토끼 구강점막 상피세포를 T75-플라스크를 사용하여 배양하는 경우 50 mg/L BPE, $5.0{\mu}g/L$ EGF, 2.0 mM $Ca^{2+}$을 함유한 K-SFM을 10 mL씩 사용하는 조건이 가장 적합하였고 배가시간은 1.32일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점막뿐만 아니라 피부, 각막 등 인체에 존재하는 상피세포배양을 위한 공정개발이나 생물반응기 설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배양된 흰쥐 담관 섬유모세포에 대한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의 영향 (Effect of Clonorchis sinensis Excretory-secretory Product on the Cultured SD Rat Bile Duct Fibroblast)

  • 권정남;민병훈;이행숙;김수진;주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17-124
    • /
    • 2009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은 우리나라에서 높은 감염률(2.9%)을 나타내는 기생충으로(KAHP, 2004),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은 간흡충의 흡반에 의한 물리적 자극과 대사산물 및 분비물 등의 화학적 자극에 의해 담관염이 일어나고, 간흡충이 성장할 때 충체 주위의 담관 상피세포의 증식, 탈락, 담관 주위의 염증 및 섬유화가 일어난다. 담관 점막에 분포하는 섬유모세포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한 종류로서 세포질돌기들이 잘 발달된 형태적 특징이 있으며, 세포질 내에 세포의 형태 유지, 신호전달, 인접세포와의 연접 등에 관여한다. 또한 조직을 발달시키고, 조직이 손상된 부위에서 콜라겐 층을 형성하여 손상된 조직이 복구되도록 하기도 한다. 상처의 반흔(scar) 형성과 지방축적, 염증(inflammation) 발생 과정에서 섬유모세포의 작용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면 섬유증(fibrosis)이 발달하게 된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흰쥐에서 분리된 담관 섬유모세포와 간흡충 감염 흰쥐에서 분리된 담관 섬유모세포를 배양하고, 각각의 실험군에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Cs excretory-secretory product, ESP)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된 섬유모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sialic acid 및 actin의 분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간흡충 감염에 따른 섬유모세포의 변화 및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의 자극에 따른 섬유모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여 흰쥐의 담관 섬유모세포와 간흡충 감염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1)에 비하여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2)와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여 배양한 섬유모세포(G1-1, G2-1)의 증식속도가 느린 것이 확인되었다. 세포질돌기의 수는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의 담관으로부터 분리된 섬유모세포(G2)에서 가장 많은 수가 관찰되었고, 배양배지에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정상 담관의 섬유모세포에서도 세포질돌기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간흡충 대사물질은 섬유모세포의 세포질돌기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2)의 소포체는 정상 담관에서 분리된 섬유모세포(G1)의 것에 비하여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여기에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섬유모세포의 소포체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세포표면에 분비되는 sialic acid는 주로 세포질의 소포낭 주변에서 관찰되었으며, 정상 섬유모세포(G1, G1-1)보다 감염된 섬유모세포(G2, G2-1)에서 증가하였다. Actin은 세포표면과 세포질돌기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정상 섬유모세포(G1, G1-1)보다 감염된 섬유모세포(G2, G2-1)에서 반응이 증가하였고,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G1-1은 반응이 증가하고, G2-1은 반응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의 섬유모세포는 세포질돌기들이 매우 발달하며, actin단백과 sialic acid가 증가하여 세포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간흡충 감염으로 손상된 담관의 섬유모세포로 구성된 결합조직은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으며, 세포질 부피 및 세포질돌기의 증가는 이루어지지만 간흡충 대사물질의 영향으로 섬유모세포의 분열 및 성장 속도가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 간흡충 감염으로 손상된 숙주의 담관 결합조직과 섬유모세포들은 간흡충 대사물질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키고, 세포 활성 및 증식이 저하되므로 팽대된 담관은 간흡충이 사멸된다 하더라도 원상회복이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Gamibaegi-eum

  • Kim Won-Ill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1-78
    • /
    • 2004
  • Objectiv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Gamibaegi-eum (BGU) in vitro and in vivo exerts a beneficial effect against cell injury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the human intestine. Methods : Effects of BGU in vitro on cell injury were examined using Caco-2 cells, cultured human intestinal cell line. Exposure of cells to H₂O₂ induced increases in the loss of cell viability in a time and dose-dependent fashion. Results : BGU prevented H₂O₂-induced cell death and its effect was dose-dependent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0.05­1%. H₂O₂-induced cell death was prevented by catalase, the hydrogen peroxide scavenger enzyme, and deferoxamine, the iron chelator. However, the potent antioxidant DPPD did not affect H₂O₂-induced cell death. H₂O₂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which was inhibited by BGU and DPPD. H₂O₂ caused DNA damage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ch was prevented by BGU, catalase, and deferoxamine, but not DPPD. BGU restored ATP depletion induced by H₂O₂. BGU inhibited generation of superoxide and H₂O₂ and scavenged directly H₂O₂. Oral administration of mepirizole in vivo at a dose of 200mg/kg resulted in ulcer lesions in the stomach and the proximal duodenum. Pretreatment of BGU(0.1%/kg, orally) and catalase (800Units/kg, i.v.)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ize of ulcers. Mepirizole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in the mucosa of the duodenum, suggesting an involvement of ROS. Pretreatment of BGU and catalase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mepirizole. Morphological studies showed that mepirizole treatment causes duodenal injury and its effect is prevented by BGU.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GU exert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ell injury in vitro and in vivo through antioxidant act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BGU may playa therapeutic role in the treatment of human gastrointestinal diseases mediated by ROS.

  • PDF

정신지체환자에서 발생한 Streptococcus constellatus와 혐기성 균에 의한 거대 농흉 1예 (A Case of Massive Empyema Caused by Streptococcus constellatus and Anaerobic Bacteria for Mental Retardation)

  • 김경현;김세현;허정원;이상훈;한선숙;이승준;김우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6호
    • /
    • pp.476-479
    • /
    • 2011
  • The Streptococcus milleri group, which also includes S. anginosus, S. intermedius and S. constellatus, is found in the oropharynx, upper respiratory tract, gastrointestinal tract, and urogenital tract mucosa. Bacteria in the Streptococcus milleri group are associated with bacteremia and abscess formation. Most of the reports of of Streptococcus milleri group (SMG) infection occur in patients with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Predisposing factor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S. milleri group empyema include mucosal disturbances (sinusitis, periodontal disease, enteric disease), preceding to pneumonia, thoracic surgery, malignancy, neurological disease, alcohol abuse, and also diabetes mellitus. We report on a 42-year-old man with mental retardation. He who suffered from dyspnea and a fever that he had developed for over 14 days. S. constellatus and anaerobic bacterias (Prevotella buccae and Micromonas micros) were culture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the drainage of pleural effusion and clindamycin and levofloxacin.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gastric surface mucous cell lines (GSM06 and GSM10) from transgenic mice harboring temperature-sensitive simian virus 40 large T-antigen gene

  • Tabuchi, Yoshiaki;Sugiyama, Norifumi;Horiuchi, Tadashi;Furuhama, Kazuhisa;Obinata, Masuo;Furusawa, Mitsuru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31-136
    • /
    • 1994
  •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make an in vitro model of gastric mucosa for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studies, we established two immortalized gastric surface mucous cell lines (GSM06 and GSM10), which produce periodic acid-Schiff (PAS)-and concanavalin A (Con A)-positive glycoproteins, from a primary culture of gastric fundic mucosal cells of adult transgenic mice harboring a temperature-sensitive simian virus 40 large T-antigen gene 〔1]. Gastric fundic mucosal cells were isolated as a modification of a previously described method for rats by Schepp et al. (2). The isolated gastric fundic mucosal cells were cultured in DME/F12 medium supplemented with 2% fetal bovine serum (FBS), 1% ITES (consisting of 2 mg/1 insulin, 2 mgg/1 transferrin, 0.122 mg/1 ethanolamine and 0.00914 mg/1 sodium selenite) and 10 ng/ml recombinant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n a collagen-coated culture dish. To remove fibroblastic cells from the culture, gastric mucosal cells were incubated in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dispase (25 U/ml) for 24 h. The cells, uncontaminated with fibroblastic cells, were then cloned by colony formation. In our series of three attempts, two cell lines (GSM06 and GSM10) have been established at last. The cells proliferated, attached to the dish ana grew until confluent monolayers were formed, and maintained tight contact with neighboring cells. Both GSM06 and GSM10 cells have now been in culture for more than 9 months with regular passaging. The either cell produced

  • PDF

Investigation of the cytotoxicity of thermoplastic denture base resins

  • Lee, Jung-Hwan;Jun, Soo-Kyung;Kim, Si-Chul;Okubo, Chikahiro;Lee, Hae-Hyo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6호
    • /
    • pp.453-46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thermoplastic denture base resins and to identify the possible adverse effects of these resins on oral keratinocytes in response to hot water/ food intake. MATERIALS AND METHODS. Six dental thermoplastic resin materials were evaluated: three polyamide materials (Smile tone, ST; Valplast, VP; and Luciton FRS, LF), two acrylic materials (Acrytone, AT; and Acryshot, AS), and one polypropylene resin material (Unigum, UG). One heat-polymerized acrylic resin (Vertex RS, RS) was chosen for comparison. After obtaining extracts from specimens of the denture resin materials (${\phi}=10$ mm and d=2 mm)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37^{\circ}C$ for 24 hours, $70^{\circ}C$ for 24 hours, and $121^{\circ}C$ for 1 hour), the extracts (50%) or serial dilutions (25%, 12.5%, and 6.25%) in distilled water were co-cultured for 24 hours with immortalized human oral keratinocytes (IHOKs) or mouse fibroblasts (L929s) for the cytotoxicity assay described in ISO 10993. RESULTS. Greater than 70% viability was detected under all test conditions. Significantly lower IHOK and L929 viability was detected in the 50% extract from the VP ($70^{\circ}C$) and AT ($121^{\circ}C$) samples (P<.05), but only L929 showed reduced viability in the 50% and 25% extract from LF ($37^{\circ}C$) (P<.05). CONCLUSION. Extracts obtained from six materials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37^{\circ}C$, $70^{\circ}C$, and $121^{\circ}C$) did not exhibit severe cytotoxicity (less than 70% viability), although their potential risk to oral mucosa at high temperatures should not be ignored.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한 Vibrio scophthalmi의 감염 특성 (The Infection Characteristics of Vibrio scophthalmi Isolated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수현;우승호;이소정;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7-217
    • /
    • 2013
  • 최근 울산광역시 소재의 넙치 양식장에서 체색 흑화, 간 위축, 장관 백탁 등의 증상을 보이며 넙치의 대량 폐사가 빈번히 발생하여, 병원체를 분리하고 감염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2012년 5월 병어로부터 분리한 원인균은 생화학 시험과 16S rRNA, dnaJ gene을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V. scophthalmi로 동정하였다. 병원성 시험 결과, 본 시험 균주가 $10^6$ CFU/fish에서 75%의 누적 폐사율을 보여 강한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V. scophthalmi 감염어는 조직병리학적 병변으로서 간 위축, 장 상피 탈락, 장내 세포 물질 유출 및 장관백탁증 등이 확인되었다.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of luteolin against chemically induced colon cancer in mice fed on a high-fat diet and colorectal cancer cells grown in adipocyte-derived medium

  • Park, Jeongeun;Kim, Eunj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1호
    • /
    • pp.47-58
    • /
    • 2022
  • Purpose: Obesity and a high-fat diet (HFD) are risk factors for colorectal cancer.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luteolin (LUT) supplementation in HFD-fed mice markedly inhibits tumor development in chemically 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cancer effect of LUT in the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HFD-fed obese mice and HT-29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s grown in an adipocyte-derived medium. Methods: C57BL/6 mice were fed a normal diet (ND, 11.69% fat out of total calories consumed, n = 10), HFD (40% fat out of total calories consumed, n = 10), HFD with 0.0025% LUT (n = 10), and HFD with 0.005% LUT (n = 10) and were subjected to azoxymethane-dextran sulfate sodium chemical colon carcinogenesis. All mice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 for 11 weeks. 3T3-L1 preadipocytes and HT-29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doses of LUT in an adipocyte-conditioned medium (Ad-CM). Results: The weekly body weight changes in the LUT group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HFD group; however, the survival rates of the LU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FD group. Impaired crypt integrity of the colonic mucosa in the HFD group was observed to be restored in the LUT group. The colonic 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1 (IGF-1) receptors were suppressed by the LUT supplementation in the HFD-fed mice. The LUT treatment (10, 20, and 40 µM) inhibited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T-29 cells cultured in Ad-CM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well as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cancer effect of LUT is probably due to the inhibition of IGF-1 signaling and adipogenesis-related cell proliferation in colon cancer cells.

실험적 중이삼출액의 세포학적 고찰 (The Cytological Study of the Experimental Middle Ear Effusion.)

  • 심상열;문태용;윤강묵;박순일;박인용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3.2-14
    • /
    • 1982
  • 삼출성 중이염은 이관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갖으며 중이강내 삼출액으로 인하여 이폐색감, 이내충만감, 난청 및 이명을 보이는 질환으로 Politzer (1867)에 의해 최초로 보고된 이래 이에 대한 많은 연구업적이 발표되었으며 특히 최근 20여년간 광학 및 전자현미경의 발달과 이관기능에 대한 관심의 증진으로 병인규명 및 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어왔다. 원인 및 병인으로서는 Politzer, Zauful 과 Beaold (1894)에 의해 주창된 hydrops ex vacuo theory (보공수종설)가 가장 지지를 받고 있으나 그 외에도 Robinson과 Nicholas등( 1951 )에 의한 부비동, 비인강, 이관주위림파관의 폐쇄, 특히 인후림프절부위의 림파관의 폐쇄로 이관기능의 장애가 온다는 설과 Senturia(1971)등의 세균감염설, Jordan(1949), Derlachi (1957) 및 Draper (1967) 등의 알레르기 설이 있다. 또한 삼출성 중이염의 삼출액의 근원에 대해서도 Tonder등(1971)은 혈청의 유출액이라 단정지었으나 Lim(1970)등은 증식된 점액선에서 분비된다고 하였으며 삼출액의 세포학적 분석 및 세균배양도 여러 학자에 의해 행해졌으나 Senturia(1971)등은 세균을 검출하였고 Siirala(1956), Rankin(1970) 등은 오히려 삼출액의 정균작용 (Bacteriostatic Action)으로 무균상태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이관폐쇄로 삼출성중이염을 유발시켜 Zauful등(1894)의 보공수종설을 증명하고 그 삼출액의 도말표본 및 세균배양을 시행하여 중이강점막 변화와의 관계를 보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재료로서는 고막소견이 정상인 한국산 고양이 32마리 (64이)를 사용하여 5마리 (10이)를 정상대조군으로 하고 27마리 (54이)를 삼출성중이염을 유발한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정상대조군은 seconal(20mg/kg)을 정맥마취 시킨후 수술현미경하에서 고막천공을 시켜 중이강점막에서 도말표본과 세균배양을 시행하였으며 실험군은 마취후 앙와위로 하고 연구개 정중선 부위에 약1 cm 정도로 종절개하여 이관의 인두측 개구부를 노출시킨 다음 2 $\times$ 3 $\times$ 2 mm의 silastic piece 2개와 이어서 2 $\times$ 3 $\times$ 2 mm의 Gel_foam (absorbable gelatine sponge) piece 2개를 이관내로 보충삽입시키고 전기소작하여 완전폐쇄시킨 후에 연구개를 봉합하여 삼출성중이염 유발을 시도하였다. 또한 술후 창상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앰피실린(100mg/kg)을 2일간 근육 주사 하였으며 술후 12시간, 18시간, 1 일, 3 일, 5 일, 7 일, 10일, 30 일 및 60 일에 각각 3마리 (6이)씩 수술현미경 하에서 고막을 절개하여 삼출액의 형성 시기를 관찰하고, 삼출액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말표본을 통한 세포학적 분석과 세균배양을 하였으며 시기별로 중이강 점막의 수술현미경 및 광학현미경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이관폐쇄술후 18시간에 최초로 삼출액이 확인되었으며 그 이후는 전실험군에서 삼출성중이염이 유발되다. 2) 도말표본의 세포학적 검사에서 호산구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으며 초기에는 호중구가 주종을 이루었으나 제14 일이후에는 단핵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삼출액의 세균배양검사에서는 전예에서 세균이 배양되지 않았다. 4) 수술현미경적 소견은 이관폐쇄 후 제 14 일에 점막비후가 가장 심하였으며 삼출액의 양도 가장 많았다. 5) 중이강점막의 병리학적 소견에서는 상피세포, 배세포 및 혈관의 증식과 염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염증세포는 도말표본에서와 같이 제 14 일 이전에는 호중구가, 그 이후에는 단핵구가 주종을 이루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