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specific silenc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Breaking the Culture-specific Silence of Women Glass Bead Makers in Ghana: Towards Empowerment

  • Adom, Dickson;Daitey, Samuel T.;Yarney, Lily;Fening, Peggy 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4호
    • /
    • pp.450-457
    • /
    • 2020
  • Background: The production of glass beads in Ghana is greatly impacted by the ingenuity of Ghanaian women. Preliminary investigations revealed the lack of interest on the part of women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culture-specific silence. Therefore,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or working conditions faced by these industrious women with the ultimate goal of suggesting ways they can be empowered. Methods: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in two indigenous glass bead communities in Ghana. Data were solicited via direct observations, person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Twenty-six purposively sampled responde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Data from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elderly women glass bead makers are much influenced by the Ghanaian culture of silence. This prevents the women from speaking about the challenges they are facing in their work. Also, the women are silenced because of the fear of losing their jobs as well as the reluctance of their male managers to remedy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 in the course of work. This has resulted in poor remuneration, lack of insurance packages for workers, certification, and absence of personal protective tools for the women. Conclusion: The study tasks the government of Ghana, the Legal Advocacy for Women in Africa (LAWA), the Fair Wages and Salaries Commission in Ghana, the Ghana Trade Union as well as the Local Government Workers' Union to empower the women to sustain the glass bead industry in Ghana.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소비문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성찰 : 드라마 「펜트하우스」를 중심으로 (A Reflection on the Consumer Culture in the Post-COVID 19 Era from the Lens of Christian Education: Learning from the Drama, Penthouse)

  • 원신애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6권
    • /
    • pp.113-145
    • /
    • 2021
  • 이 연구는 기독교교육의 성찰을 위해 보드리야르(J. Baudrillard)의 중요개념인 시뮬라시옹(Simulation)과 시뮬라크르(Simulacra) 등을 중심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 단면을 분석할 수 있는 드라마 「펜트하우스」의 소비이데올로기, 이미지의 욕망 및 폭력 등에 관해 검토할 것이다. 보드리야르는 시뮬라시옹 개념이 대중매체의 발전에서 생겨났다고 보고, 대중매체는 결국 실재를 사라지게 하는 '시뮬라시옹의 출현' 혹은 '시뮬라시옹의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보드리야르는 시뮬라시옹 과정이 대중매체가 지배하는 소비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시뮬라시옹은 이미지에 의해 실재보다 더 실재적인 초과실재를 산출하는 과정이며, 시뮬라크르는 시뮬라시옹의 결과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비판이론을 통한 비판적 성찰의 준거 기준이 합의 되지 않았다는 부정적 측면으로 인해 거부하지 말고 비판이론의 긍정적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대중매체가 주도하는 지배이데올로기와 소비이데올로기의 속성을 봐야한다. 특히 광고나 드라마 영화에서 보여주는 메시지는 시뮬라크르만 남아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허상임을 보는 관점을 지녀야 한다. 미디어는 말을 하되 상대방의 응답이 이루어질 수 없게 만드는 미디어의 권력을 의미한다. 그것의 대표적인 예표가 텔레비전이며, 연구자가 드라마 「펜트하우스」를 분석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보드리야르는 맥루한(M. McLuhan)의 "미디어가 메시지다"(The medium is the message)라는 명제는 예상치 못하게 모든 내용물과 메시지가 미디어 속으로 사라져 버린 뒤에, 미디어 자신도 증발해 버린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은 "하나님 말씀이 메시지"(The word of God is message)임을 가르치고, 배우고, 나누고, 전수하는 것이다. 또한 그 메시지는 내파되거나 함열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한 진리로 계속 살아있는 메시지이다. 위기와 불안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사회 현상과 관련하여 대중/소비자/교인 개체들을 무저항적이고 무비판적으로 만드는 소비지상주의의 소비문화에 관해 끊임없는 성찰의 장(場)을 마련하고, 일련의 '전망대'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