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24초

문화분류와 문화콘텐츠산업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Cultural Classification and A Culture Contents Industrial Classification)

  • 안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22
    • /
    • 2006
  • 문화분류와 문화콘텐츠산업분류는 관련 정책, 지원, 통계, 평가를 위한 필수적인 기본도구이며, 이과정은 순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의 용례를 법, 문화지표, 통계, 평가항목, 관련 연구보고서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단기적 목적에 따라 아주 다양하게 분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콜론분류방법에 기초한 분류안을 제시하였으며, 분류요소로서 통신망, 매체, 장르, 문화영역구분을 사용하였다.

음식문화 분야의 DDC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Food and Culture in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

  • 정연경;최윤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57
    • /
    • 2010
  • 본 연구는 문헌분류표를 바탕으로 음식문화 분야와 한식을 고찰하여 음식문화의 다양한 주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DDC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동서양의 대표적인 분류 체계인 DDC, UDC, LCC, KDC, NDC, 중국도서관도서분류법을 대상으로 식생활 풍습, 식사 예절, 영양과 식이, 식품과 음료, 식단과 상차림, 음료 기술, 식품 공학으로 나누어 음식문화와 관련된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 분류표의 한식에 대한 분류 항목은 거의 없었으며 앞으로 한국 고유의 음식과 상차림 등이 분류표에 반영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분류표에 새로운 분류 항목이나 주기의 추가를 위해서는 문헌적 타당성을 가져야 하므로 다양한 한식에 관한 조리법이나 간행물을 발간하고 이를 전 세계에 알려야 할 것이다.

문화콘텐츠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기술(CT) 분류체계 연구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Applied Particularity Culture Contents)

  • 김효영;박진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83-1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 경쟁력 강화 및 미래형 융합콘텐츠 기술 지원을 위한 필수 요소인 문화기술의 분류체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문화기술의 개념 및 현황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화콘텐츠의 특수성을 도출하고, 기존의 문화기술 분류체계와 기타 기술 분류체계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현재 문화기술 분류체계의 문제점 및 향후 문화기술 분류체계의 반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 후 문화콘텐츠의 특수성을 반영한 새로운 문화기술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문화기술 분류체계 안은 문화콘텐츠의 기획, 생산/제작, 유통, 서비스의 모든 가치사슬 과정에 해당하는 관련 기술들을 포괄함과 동시에, 중분류 구성에 있어서 CT의 특성을 문화콘텐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편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 보다 현실성 있고, 향후 정부 투자 및 제도 반영에 유연한 분류체계로서 그 의미를 갖는다.

아시아문화정보원의 문화자원 분류체계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Cultural Resource in ACIA)

  • 이명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19-340
    • /
    • 2015
  • 이 연구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정보원의 수집대상 문화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분류체계를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아시아문화정보원의 목적과 수집정책 방향을 알아보고 문화자원의 특성과 범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현재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HRAF 분류체계, UNESCO 문화지표, 민속아카이브의 분류검색,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콘텐츠목차 등 4개의 분류체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시아정보원의 문화자원 분류체계의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고, 분류체계의 주제 전개는 문화적, 사회적, 자연적 영역 순으로 전개하였고, 주류는 16개의 항목으로 설정되었다.

음식 문화 분야에서 KDC의 변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and Improvements in Food and Culture in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이미화;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7-137
    • /
    • 2010
  • 본 연구는 음식 문화 분야에 관한 한국십진분류법(KDC)의 역사적 발전을 고찰하고 음식 문화의 다양한 주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KDC를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KDC 안에 반영된 음식 문화 관련 기호와 항목명의 변천 과정과 더불어 KDC 5판으로 실제 음식 문화 관련 자료를 분류할 때의 문제점을 짚어본 후에 음식 문화 분야를 위한 KDC 5판의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다. 음식 문화 분야에 있어서 KDC의 문제점은 분류항목명 및 포함주기의 부족으로 한식 관련 분류항목의 부족과 다양한 국가별 음식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고, 색인 대상 및 구조가 검색하기 어려우며, 주기의 내용이 부족하고, 서양식 분류항목명을 번역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음식체계에 부합하지 않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의 대표적인 분류 체계에 나타난 자국의 음식 문화와 외국의 음식 문화에 대해 비교하면서 분류항목명 및 포함주기의 내용 확장, 색인 대상 및 구조 변경, 주기의 상세화, 서양식 분류항목명의 변경을 제안하였다.

음식문화 분야 인터넷자원 분류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십진분류법의 항목명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ansion of Heading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Based Upon the Analysis of Directory Classifications of Internet Resources in Food and Culture)

  • 정연경;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9-69
    • /
    • 2010
  • 듀이십진분류법(DDC)은 문헌분류체계로 도서관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을 분류하는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DDC가 주기적이며 지속적인 용어 확장을 통해 최신성과 실용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십진분류법(KDC)은 비정기적인 개정 주기로, 용어의 최신성과 실용성이 떨어진다. KDC가 도서관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 분류에도 활용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인 분류 항목명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자원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와 KDC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KDC에 추가할만한 분류항목명을 확장 제안하였다. 네이버, 야후, 교보문고, 아마존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에서 음식문화 분야의 용어를 분석하였으며, 다른 분류체계를 참조하여 KDC로의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KDC에 추가적인 분류항목명이 필요한 분야는 식품위생, 음료기술, 식품공학, 식품과 음료, 식사 및 식탁차림, 주방, 식당 공간이었으며 부족한 항목명은 음식 관련 용어 및 한식 관련 요리명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KDC의 부족한 항목명과 적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KDC가 도서관과 인터넷자원 분류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한국전통문양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Koran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Their Types)

  • 장수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권2호
    • /
    • pp.283-295
    • /
    • 1994
  •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has been made according to their objects and presenting methods. The classification is represented with 3 levels of categories. First, the superordinate category is composed of 7 groups of patterns, i.e. Naturals, Animals, Plants, Artifacts, Geometric, Composites, and Others. Second, the basic category is composed of motifs in each group. Third, the subordinate category is composed of 3 types, i.e. realistic, stylized, abstrac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mplification. As this classification is a method for organizing informations in Korean traditional patterns in a systematic way, it can offer a useful basis for computerization of the patterns.

  • PDF

중등학교 교사의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Secondary School)

  • 원효헌;최동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246-259
    • /
    • 2013
  •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secondary school in Busan. This study measure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teaching experience, classification of school, grade of school, and scale of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o see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depending on gender, female teachers have a stronger sense of professionalism, community spirit and consideration than male teachers. Second, to see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erm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ho have more than 21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decision-making and consideration than those who have 11~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rd, to see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school, public schools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every item such as professionalism, decision-making, community spirit, and consideration than private school. Fourth, to see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erms of classification of schools, secondary schools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and community spirit than high schools. Lastly, as it is seen in th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depending on scale of school, schools which have 13~35 classes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than others.

목재문화자원의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Wood Cultural Resources in South Korea)

  • HAN, Yeonjung;LEE, Sang-Min;CHOI, Jinyoung;PARK, Ch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430-452
    • /
    • 2021
  • 최근 목재이용과 목공활동 등을 선호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일반인이 목재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목재문화에 대한 인식과 기반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이 목재문화를 누릴 수 있는 확산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써 목재문화에 대한 유형분류 및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목재문화자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목재문화와 문화자원이 갖는 특수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목재문화자원은 보존·발굴·활용의 측면에서 목재 및 목재사용의 문화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인류의 문화적 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산물로 정의하였다. 문화자원에 대하여 수행된 유형분류 사례를 분석하여 목재문화자원의 유형을 문화유산, 문화시설, 문화행사, 목조건축, 문화콘텐츠, 문화교육, 목재제품의 7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 목재문화자원별 유형에 대한 사례를 발굴하여 제안하였다.

문화산업디자인 분야 분류체계(CIDC) 제안 (A Planning and Design for the Culture Industrial Design Classification)

  • 진미자;한석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71-80
    • /
    • 2004
  • 문화산업디자인은 미래 산업의 선진화를 이룩할 수 있는 핵심적인 계기와 수단은 물론, 다양한 역량으로 발전되어 새로운 가치변화를 촉진시키며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극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이해하고 구조적 특성을 재 조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므로 문화산업디자인 정책 및 전략수립, 진단지표의 체계구성과 평가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본이 되는 분류체계 구축이 선행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본 연구의 문화산업디자인 분류체계(CIDC)는 크게 3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각각 중, 소, 세 분류의 계층적 구조와 레이어 기호로 표기하였다. CIDC는 이 분야의 기초적인 언더데이터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연관 디자인 분야 분류체계와 비교를 통한 차별성과 연계성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