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Arts Education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8초

공시적 관점에서 본 태권도시범 : 광복이후부터 1960년대 (Taekwondo Demonstrations Seen in the Perspective of Open Demonstrations: Focusing on the period from the emancipation until the 1960's)

  • 나채만;이영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263-273
    • /
    • 2018
  • 본 연구는 공시적 관점에서 광복이후부터 1960년대 태권도시범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규명하는데 목적 둔 문헌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복과 기간도장의 태동, 한국군 베트남전 파병, 국제태권도연맹(ITF) 창설과 같은 사회상황은 태권도시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둘째, 태권도시범은 형식면에서 연무(硏武)시범형태로 각 도장에서 승급 심사나 관의 홍보 및 개인 수련기량 연마를 보여줄 때 행하는 것이었으며, 태권도 기본기술을 바탕으로 위력 손 발 격파, 단순 도약격파, 대련, 실전호신술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역할 (The Role of Participation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in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 이학준;허식
    • 문화경제연구
    • /
    • 제21권3호
    • /
    • pp.3-30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시민의 행복결정요인에 있어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2014 서울서베이"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는 개인의 행복과 긍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 자체에서 즐거움이 발생하며 향유 과정에서 또한 타인과의 사회적 접촉이 유발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어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수요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을 고 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특이한 점은 저소득 저학력 집단은 고소득 고학력 집단에 비해 문화예술소비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를 통해 얻는 효용의 크기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금전 및 시간적 제약에서 비롯하는 기회비용이 고소득 고학력 집단에 비해 저소득 저학력 집단에서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소득 집단의 경우,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지출금액이 일정수준을 초과하면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문화예술 활동참여에 있어 저소득 집단에서 금전적 제약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컴퓨터 비전공자의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교수자-학습자 피드백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learner Feedback Method for Effective Software Project Execution of Non-Computer Major Students)

  • 정혜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211-217
    • /
    • 2019
  • 대학에서의 학기말 프로젝트 작업은 한 학기동안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학생 스스로 주제 선정, 계획, 결과 도출 과정을 진행해 가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방법이다. 소프트웨어 관련 교과목의 학기말 프로젝트 작업의 경우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다양한 기법을 학습 한 후 창의적인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통해 결과물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교양과목으로 소프트웨어 교과목을 수강하는 컴퓨터 비전공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프로젝트 수행을 원활하게 진행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수자의 피드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비전공자의 학기말 프로그래밍 교과목에 대한 프로젝트 수행과정에 적용 할 수 있는 교수자-학습자간의 토론을 통한 피드백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프로젝트 작업과정에 적용하여 진행과정 및 결과물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교양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교수자의 역할과 학습 성취도 및 만족도 분석 (For Improving Quality of Classes in Liberal Arts Programming Classes Analysis of role of Instructor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 김현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745-75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K대학의 교양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실시한 교수법, 학습 성취도, 교수자 역할 만족도 설문을 기반으로 교수자의 역할이 수업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며 교수자의 역할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한다.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과목에서 교수자의 역할과 학습 성취도를 분석하여 수업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한다. 대학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 대학에서는 교수자들의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해 교수자들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증진시키고 학생들의 질의에 성실한 대응을 하며 학생들의 수업 중 발생 하는 여러 상황 및 학습을 조력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수업의 만족도 및 성취도를 향상 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K대학의 교양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실시한 교수법, 학습 성취도, 교수자 역할 만족도 설문을 기반으로 교수자의 역할이 수업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며 교수자의 역할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중한다.

지식정보화사회 조성을 위한 주부의 인적자원개발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가정과 사회의 정보격차 해소와 사회적 통합을 위하여 (An Education Program for Housewiv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Toward the Knowledge Informatization Society. For the Social Integration and a Solution of Digital Divide Between Family and Society)

  • 이기영;이승미;송혜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1호
    • /
    • pp.129-14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ontents and effective methods of educational progra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cused on the full-time housewives. For this purpose the case interviewed with 24 professionals and management leaders of women education field are performed and 445 questionares from full time housewives who participate in at least one education program a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ed. 1. The most preferred programs are sports/health program(28.8%), leisure program(26.5%), household income management program(15.9%), culture/arts program(15.2%) in percentage order. And the first preferred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is the self development(38.4%). 2. The positive effect of program is founded more with participants in family oriented program and society oriented program than in individual oriented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participants in family oriented program is higher than in individual/society oriented program. 3. The degree of demands for Program management and program characteristics is higher than the demands for program installations and program supplying methods. 4. In the area of effectiveness methods the demands for program systematization according to program level are most referred.

평생교육을 고려한 고등학교 시설의 공간배치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High School for the Lifelong Education)

  • 이재림
    • 교육시설
    • /
    • 제11권6호
    • /
    • pp.43-53
    • /
    • 2004
  • The future society,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a lifelong learning society, may be defined as the society that will embody the concept of human nature to help all the members of the society live together. The conclusions on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classrooms $vis-\grave{a}-vis$ the special skills and aptitude training for student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direction of spaces with free access after school hours are as follows : The spaces for school facilities in each domain are elaborated in Table 5. and Table 6. For spaces for special skills, aptitude programs,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re are general lecture rooms, special classrooms, and arts and physical fitness classrooms since most of the educational programs consist of culture, jobs, and hobby-related activities. Spaces are divided further into those exclusively for specific subjects and those for common use that can be utilized after school hours. They are presented in Table 8. Based on the conclusion with respect to the laying out of spaces in regular high schools, exclusive spaces for each subject and spaces for common use after school hours should be separately arranged.

다문화가정 여성의 의생활착의습관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Clothing Habit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이윤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5-410
    • /
    • 2010
  • This qualitative research on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ims to analyze their clothing weight, habit, management and purchasing of clothing as well as their children'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r literature for their adjustment in Korean clothing culture and health manage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interviews to eleven married foreign women with nationality of various climates, and subsequently by categorical analysis and subject analysis. The final outcome in terms of subjects included 'heating/cooling system as to environmental temperature', 'scope of climate adaptation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clothing', 'sleepwear and bedding'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ur'. The empirical survey showed that those who came from colder regions or warmer regions had difficulties adjusting to the climate. And their clothing weight & clothing habits, originated from their home countries, were found to be kept stable and to be systematically transferred to their children as well. When it comes to sleepwear and bedding, the women seemed to be less interested in them than normal outerwear, but they tended to like to cover the belly of their babies while they didn't have sufficient nightwear for themselves. And shopping and management of clothing were another area with differences between those women and Korean ones. These results imply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particular on their clothing behavior, and on changeability of the behaviour through education or through evolution is needed.

Digit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Modern Educational Space (Ukrainian case)

  • Oksana, Bohomaz;Inna, Koreneva;Valentyn, Lihus;Yanina, Kambalova;Shevchuk, Victoria;Hanna, Tolchiev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1-18
    • /
    • 2022
  • Linking Ukraine's education system with the trends of global digitalization is mandatory to ensure the sustainable, long-term development of the country, as well as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economy as a whole during the crisis period. Now the main problems of the education system in Ukraine are manifested in a complex context caused by Russian armed aggression. In the context of war, problems include differences in adaptation to online learning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limited access to education for vulnerable groups in the zone of active hostilities, the lack of digital educational resources suitable for online learning, and the lack of basic digital skills and competencies among students and teachers necessary to properly conduct online classes. Some of the problems of online learning were solved in the pandemic, but in the context of war Ukrainian society needs a new vision of education and continuous efforts of all social structures in the public and private environment. In the context of war, concerted action is needed to keep education on track and restore it in active zones, adapting to the needs of a dynamic society and an increasingly digitized economy. Among the urgent needs of the education system are a change in the teaching-learning paradigm, which is based on content presentation, memorization, and reproduction, and the adoption of a new, hybrid educational model that will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necessary skills and abilities for students and learners in a digitized society and enable citizens close to war zones to learn.

멀티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학습효과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 of Multimedia Literacy Education)

  • 정경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63-68
    • /
    • 2020
  • 최근 급격한 미디어의 변화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증가하는 필요성에 비해 리터러시의 효율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면 통합적 미디어 리터러시가 청소년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와 같은 실증적 접근 등을 들 수 있겠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영상교육과는 차별화되는 멀티미디어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청소년들에게 텍스트와 비디오와 사운드 등을 융합한 교육에 대한 결과를 학습 효과적 측면에서 연구했다. 멀티미디어 교육이 과연 청소년들의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학문적 탐구다. 연구방법으로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병행한 결과, 멀티미디어 교육은 학습능력 향상에 유의미하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으로 언어 교육과 같은 외연 확대와 동시에 실습 위주의 학습자 참여 교육을 제시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교육정책에 대한 제언은 멀티미디어 교육이 단지 기존교육의 보조수단이 아니라 전인적 인격을 달성하는 교육의 핵심으로서 모든 학습활동의 중심으로 자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확산될 것이다.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만아동들의 식습관과 불안 수준의 변화 (Changes of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of Obese Children o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 김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6-33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of obese children o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e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psychotherapy and exercise for weekly session during 9 month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total of 27 obese children(boys 44.4%, girls 55.6%)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of children was 11.7 years,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41.7cm and 48.1kg respectively. $R{\ddot{o}}hrer$ index(RI)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67 to 163(p<0.001) and BM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4.5 to 23.9 (p<0.01)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is study also found obesity index(O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33% to 128%(p<0.01) of 18 children after program.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habits score but frequency of overeating, and eating frequency of mea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Also depression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p<0.001) a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0.552) between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The factors analysis of anxiety items indicated that children had feelings more calm and sate after program(p<0.05). Therefore continuous and practical nutritional education and psychotherapy to change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are necessary to decrease child obes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exercise and psychotherapy may be effecti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body health of obese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