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ultural Products

검색결과 878건 처리시간 0.028초

CAD를 활용한 함평나비축제 문화상품 디자인 콘텐츠 연구 - Adobe Illustrator CS2를 중심으로 - (A Study on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Cultural Products Design Contents using CAD - Focus on Adobe illustrator CS2 -)

  • 이상필;김선홍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5호
    • /
    • pp.760-769
    • /
    • 2007
  • Cultural commodity is a tourism souvenir for tourists with a high added value in terms of economy. When it excellently represents the region and is based upon its tradition, the positive images of the place can be originated. In this way, the formation of benevolent images has economically considerable effects that can promote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attern design of cultural commodity related to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The software to be used is Adobe illustrator CS2, which is a Vector Graphic software, and by utilizing the program, the pattern for the cultural goods will be produced. The forms of the pattern are All over Pattern, which is one of the arrangement methods used the most in a necktie field, and Stripe Pattern. After designing with those two patterns, the design is applied on neckties. Like this, by designing through the Vector Graphic software which we can easily get an access to, the concept of design is visualized; therefore, we can prevent the commodity development that can be conducted out of the concept. By making it possible to visualize the examination by various forms or color mixture, the time is shortened, and throughout reproduction of the object, adjustment of the size, colorway, and reusing or remanufacturing the image, we can check the result of design before hand to reduce the time and expenses required.

  • PDF

Cultural Identity that appear in Latin American Fashion: With a focus on the Mexican brands, Taller Flora and F$\acute{a}$brica Social

  • Kim, So-R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13권1호
    • /
    • pp.61-79
    • /
    • 2013
  •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e distinct and exclusive culture of Latin America, with a specific focus on Mexico, and attempts to understand its unique cultural identity by comparing,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xican fashion brands, Taller Flora and F$\acute{a}$brica Social, which are brands that have actively used the Latin American cultural identity in its designs. The research method was as follows: 1) performing literature research with specialty publications and thesis that dealt with the two brands 2) analyzing the contents of various articles from the Internet and interviews related to the brands. Thus,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brands that use the cultural traits of Latin America in order to dissect its methods and find a way to apply it so that it can be used in different cultures, and in effect, lead to the advancement of the fashion industries, in general. Taller Flora and F$\acute{a}$brica Social are two brands that are able to stand out with a distinct identity by applying traditional native Latin American qualities in its products, as well as its products reflecting a respectful and 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na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brands are as follows: 1) showing the concept of "the coexistence of diversity" by expressing "the old and the new", "simplicity and flash", and "melding of the Western culture via colonialism and traditional cultures of the aboriginals and other diverse native cultures" 2) achieving "the recovery of the human dignity" by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the native female artisans and building a network for equality 3) pursuing "free naturalism" by balancing the natural provision of nature and man in addition to promot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goods 4) becoming "the bridge between communication and exchange" by connecting the artisan, the designer and the consumers together, or the producer and the market, as well as the different cultures of markets from diverse countries.

한국 기업의 중남미 시장 진출 실태와 통상 문화 환경에 관한 연구 (The Market Performances and Business Cultural Environment of Korean Enterprises at Central and South America)

  • 장치순;고혁진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1호
    • /
    • pp.341-367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FTA를 체결한 칠레를 비롯하여 신흥 시장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중남미 시장에 있어서의 한국 상품의 진출 실태를 분석하고 기존에 이루어지고 있는 민간부문, 정부부문의 중남미 무역 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특히 중남미 시장에서의 가장 큰 경쟁국가인 중국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상품이 중남미 시장에서 우위를 지켜나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중남미에서 문화적으로 선도 그룹인 '엘리트 집단'을 적극 활용하여 문화적 친연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단순히 '거대 시장'으로만 인식 되던 중남미 시장을 한국의 '전략적 시장'으로 접근하여 앞으로 한국 무역의 숙제인 수출 다변화와 점점 중요시 되는 원자재 등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인 수입원으로서의 중남미 시장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의 정부의 대 중남미 진출 확대를 위한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기술 협력, 무상 원조 지원 형태에서 벗어나 중남미 복합문화를 접목시킬 수 있는 한류문화의 특성화 작업을 서둘러 장기적인 시장 접근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은 종합적 통상문화 환경의 수립과 창조적 문화 관계 수립에 의한 통상확대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주 갈옷 상품의 현황 및 실태조사 연구 (Research and Survey Gal-ot Product in Jeju)

  • 안수민;이혜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20-531
    • /
    • 2014
  • Jeju, the biggest island in Korea, was registered as a World Natural Heritage in 2007. Recently, it was also voted as one of the New Seven Wonders of Nature. The need for academic awareness and tourist values on Jeju Island are understood. Gal-ot, one of the ten symbols for Jeju, is known for working clothes in general, despite its potential for cultural products because of its regional uniqueness and useful functional advantages. The authors conduct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ed market trends of Gal-ot stores in Jeju to present development directions for cultural goods and to contribute to local economic improvement. Most stores were located in a semi-residential area and Jeju-si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ost products were not available for sale due to difficult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online utilization. High prices and similar color, fabric and style hurt competitiveness. Various experiencing programs of Gal-ot and persimmon dyeing were necessary to expand the main target from residents to tourists. Also, marketing strategies using the internet and design plans reflecting current trends were needed.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epare developmental projects of cultural product and result in economical advantages on Jeju Island.

Investigating the Iron-Making Process through the Scientific Analysis of By-products Obtained during Iron-Making from Songdu-ri Site in Jincheon, Korea

  • Jung, Da Yeon;Cho, Nam Chul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3-44
    • /
    • 2022
  • The study, iron-making process was examined through the scientific analysis of six by-products that were obtained during iron making at the Songdu-ri site in Jincheon. The total Fe content of the slags excavated from the Songdu-ri site was 36.29-54.61 wt%, whereas the deoxidation agent was 26.48-49.08 wt%. The compound analysis result indicated that fayalite and wüstite are the main compounds in slag. Furthermore, the microstructure analysis result confirmed the presence of fayalite and wüstite in the slag. It can be inferred from the flat shape in a bright matrix structure of the hammer scales that forging was performed in the latter stage. The Raman micro-spectroscopy results confirmed that the surface was hematite (Fe2O4), middle layer was magnetite (Fe3O4), and inner layer was wüstite (FeO). The presence of smelting and smithing slags, spheroid hammer scales, and flake hammer scales suggests that at the Songdu-ri site, iron-mak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division of labor into producing iron bloom through direct smelting, refining and forge welding, and ingot production.

Study on Qiang embroidery patterns creative design based on Shape Grammars

  • Ruiyu Li;Xiajie Zha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51-59
    • /
    • 2024
  • Qiang ethnic group is one of the fifty-six ethnic minorities in China, and Qiang embroidery, as an important achievement of Qiang'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the precipitation and testimony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Qiang ethnic group.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traditional and ancient Qiang embroidery is facing a dilemma due to the problem of a single form of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new communication media for Qiang embroidery to help it spread and develop better. In this paper, we extract the core representative patterns of Qiang embroidery, use the "shape grammars" as the rules of morphological changes, and generate new decorative pattern patter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Qiang embroidery by adding, deleting, mirroring, rotating, and other relevant rules of changes, and combine the new patterns with the rules of formal beauty to combine the layout, which is then applied in the design of different cultural creations and products. The new patterns are combined with the rules of formal beauty and applied in the design of different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To provide a quantitative method for the digital protection of Qiang embroidery in the new era of Chinese traditional art, and also provide new ideas for the industrialization application.

제품/서비스 수용에 대한 문화적 영향: Hofstede 지수를 활용한 탐색적 연구 (Cultural Influence on Product/Service Acceptance: Explorative Research Utilizing Hofstede's Dimensions)

  • 남성집;정지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295-303
    • /
    • 2024
  • 글로벌 환경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은 학계와 기업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중앙아시아는 한국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며, 한국에 거주하는 약 200만 명의 외국인 중 중앙 아시아인이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지역은 '고려인'이라 불리는 30만 명의 한국인이 거주하는 곳이다. 잠재력과 관련성이 점점 더 인식됨에 따라 구소련 지역은 한국의 기업과 학계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호프스테드 지수를 활용하여 중앙아시아 지역민들이 한국 제품과 서비스를 경험하는 정도와 한국 제품과 서비스 충성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부식 환경에 따른 출토 청동 유물의 부식 특성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Bronze Artifacts According to Corrosion Environment)

  • 장준혁;배고운;정광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24-33
    • /
    • 2020
  • 출토 청동 유물에서는 매장 환경 내 공존하는 복합적인 부식 인자로 인해 다양한 형태와 색상의 부식 생성물이 관찰되며, 이러한 부식 생성물은 장기 부식의 정보뿐만 아니라 보존처리 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청동 유물의 부식층 및 부식 생성물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부식층 형성 과정 및 부식 생성물의 특성을 규명하고, 노출된 매장 환경의 특성 및 내부 부식 인자와의 연관성을 해석하는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 유물을 합금비와 제작기법에 따라 분류 후, 표면·부식층·부식 생성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청동 유물의 부식 메커니즘과 부식층 형성 과정, 부식 생성물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총 5점의 시료는 합금비 및 제작기법 분석 결과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는데, Cu-Sn-Pb합금으로 열처리가 진행되지 않은 Group 1은 내·외측 중 일부 또는 양측에 외부 부식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은 녹색 또는 청색으로 확인되었다. 소지 금속에서는 α상, α+δ상 선택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α+δ상 선택 부식 후 빈 공간에 순도가 98% 이상인 Cu가 농축되어 있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Cu-Sn합금으로 열처리가 진행된 Group 2는 외부 부식층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표면이 어두운 황색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Group 1과는 다르게 소지 금속 내부에서 α상 선택 부식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일한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 유물에서도 합금비 및 제작기법에 따라 부식층 형성과정 및 부식 생성물의 형태와 색상, 금속이온 이동경로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 유물에서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부식 특성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매장 환경 내 노출 환경에 따라 다른 형태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동일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 유물이라 하더라도 합금비, 제작기법, 노출 환경에 따라 부식 특성이 다를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특정 지역 및 유물을 대상으로 한 부식 특성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향후 여러 지역에서 출토되는 청동 유물의 부식층 및 부식 생성물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매장 환경에 따른 부식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길상(吉祥)을 상징하는 수복(壽福) 중심의 전통적인 디자인 콘텐츠 개발에 대한 방향성 연구 - 문화상품디자인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Design Content in health and longevity based on the Lucky Signs)

  • 정수연;홍동식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66권
    • /
    • pp.90-101
    • /
    • 2019
  • 한국은 6.25, 일제식민통치 및 남북분단, 군사독재 정치로 인해 정체성을 형성한 독자적 국가 이미지를 창출함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현대에는 각종 행사와 K-POP등 한류열풍을 일으키며 한국의 정체성을 찾고 전파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한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이미지와 문화상품들이 여전히 부재이기에, 고유문화와 관련된 디자인 콘텐츠 개발 및 전문적인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프랑스, 일본 등 디자인 강국들은 국가적 디자인 정책 사업에 자국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디자인 사업에 집중하는 내용이 국가적 핵심 디자인사업이다. 한국의 전통 콘텐츠도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이미지 디자인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길상문화인 오복(五福) 중에서 옛사람과 현대인에 이르기까지 가장 관심을 가지고 염원하는 수복강녕(壽福康寧) 즉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과 관련된 옛사람들의 예술품을 연구하여 이를 통해 문화상품 디자인 적용 및 디자인 콘텐츠의 활용으로 발전시켜 현대의 '100세시대' 라는 트렌드에 맞는 한국의 주체적인 디자인 상품과 이미지를 제작함에 있어 다양성과 방향성을 제시함에 고찰해보고자 한다. 한국의 전통예술품에 나타나는 길상문화 중에서 대표적인 수복강녕의 이미지를 국립민속박물관의 수복(壽福) 관련 특별전에 근거한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주요하게 사용된 특징과 의미를 발견하고, 반복되는 패턴 및 문양콘텐츠를 연구하여, 현대적 문화상품디자인에 적용되고 있는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한다. 또한 수복과 관련된 디자인 콘텐츠를 통해 한계점을 알고 활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문화상품은 디자인 상품 개발 부족, 홍보처와 판매처 부족,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부족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의식 개혁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시장의 요구에 맞는 가격의 합리화가 필요하다. 셋째, 실용성을 갖춘 문구류와 생활용품 위주로 전통적 디자인을 활용 및 보급시켜야 문화상품 디자인과 전통관련 콘텐츠가 더욱 쉽게 정착화 되고 보급화 될 수 있다. 넷째, 한국문화사상과 미의식 연구가 바탕이 된 다양한 한국적 이미지의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조형적 이미지만 개발할 것이 아니라 디자이너들의 한국적 문화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통적 제작방식과 소재도 현대에 존중받아야 하나, 전통을 소재로 현대적 제작방식의 제품들이 경제성과 내구성도 함께 갖추며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20대 문화 소비의 다양성 결정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 자본, 콘텐츠 장르 이용 특성, 인구사회 요인의 영향 (Determinants of Diversity in Cultural Consumption among People in their 20s)

  • 김슬기;전범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62-771
    • /
    • 2016
  • 본 연구는 20대 문화 예술 소비 다양성 결정 요인을 다양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문화 소비 다양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현재 문화 예술 경험 및 관심 요인을 포함해 방송 콘텐츠 이용 특성(정보 및 오락 장르) 요인이 정적으로 20대 문화 소비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 요인은 부적으로 20대 문화 소비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순수 및 대중 문화 소비 다양성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현재 문화 예술 경험 및 관심 요인 및 방송 콘텐츠 이용 특성(정보 및 오락) 요인은 정적으로, 소득 요인은 부적으로 순수 문화 소비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 문화 소비 다양성의 경우, 현재 문화 예술 경험 및 관심 요인을 포함해 방송 콘텐츠 이용 특성 요인은 정적으로, 성악-합창 등에 대한 교육 기간이 부적으로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