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enophor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New Species of Genus Coeloplana (Ctenophora: Tentaculata: Platyctenida) from Korea

  • Song, Jun-Im;Hwang, Sung-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3호
    • /
    • pp.217-221
    • /
    • 2010
  • Since November, 2006, the new creeping platyctenid ctenophore, Coeloplana anthostella n. sp., has been collected from twigs and polyp masses of encrusting dendronephthyans at a depth of 26-32 m off the coast of Munseom, Jejudo Island. This new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C. bocki Komai, 1920 and C. komai Utinomi, 1963 by its smaller size, the absence of dorsal papillae, and the deep scarlet colored star-shaped markings on the dorsal plane. This novel addition to ctenophore fauna is presently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detail.

First Record of One Sessile Ctenophora, Lyrocteis imperatoris, and Its Embryos from Korea

  • Song, Jun-Im;Hwang, Sung-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3호
    • /
    • pp.255-259
    • /
    • 2009
  • The sessile ctenophores, Lyrocteis imperatoris Komai, 1941 were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from Garinyeo, offshore Seogwipo of Jejudo Island by SCUBA diving on June 18, 2009. This species distributed in West North Pacific was newly recorded in Korean waters. Its embryos in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were observed in the internal brood chamber.

New Records of Creeping Ctenophores, Genus Coeloplana (Tentaculata: Platyctenida: Coeloplanidae), from Korea

  • Song, Jun-Im;Hwang, Sung-Jin;Lee, Sang-Hwa;Park, Joong-K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7권1호
    • /
    • pp.47-52
    • /
    • 2011
  • Creeping ctenophores, Coeloplana species, were collected by SCUBA divers throughout the year (November 2006 to June 2010) from the branches and polyp masses of encrusting dendronephthyas at a depth of 20-32m off Munseom Island (Seogwipo-si, Jeju-do, Korea). A single individual of a newly recorded species in Korea, Coeloplana bocki Komai, 1920, was collected together with C. anthostella from the same location on 16 August 2009. A large number of individuals of each species were subsequently collected from the host Dendronephthya aff. dendritica on 20 June 2010. C. bocki can be distinguished from C. anthostella Song and Hwang, 2010 and C. komaii Utinomi, 1963 by its unique blue and orange colored stripes, and/or the branching and anastomosing milky-white stripes encircling the aboral sense organ towards the margin. The detailed morphology and molecular sequence information (nuclear 18S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and mitochondrial cox1 gene sequences) for C. bocki is provided, and C. bocki and C. anthostella are compared.

미국 뉴욕 Reeves만에서 쌍편모조류인 Gyrodinium aureolum의 대발생에 영향을 미친 먹이연쇄내의 상호작용 (Multitrophic Interactions as a trigger of the Gyrodinium aureolum Bloom in Reeves Bay, New York)

  • 김웅서;장만;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68-276
    • /
    • 1992
  • 해파리류의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포식 파급효과가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기 위해, 해파리류, 동물플랑크톤, 식물플랑크톤으로 이 어지는 먹이연쇄내에서 의 상호작용을 미국 뉴욕주에 있는 Reeves만에서 쌍편모 조류 인 Gyrodinium aureolum의 대발생이 있었던 기간을 전후한 1989년 3월 중순에서 7월 초순사이에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최대 개체수는 해파리류의 개체수가 감소하기 시작한 4월 중순에서 5월 초사이에 관찰되었으며, 이때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은 낮게 나타났다. 한편 해파리류의 개체수가 다시 증가하였던 5월 중순부터 동물플랑크톤은 개체수의 감소를 보인 보면, 식물플랑크톤은 대발생을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2차 소비자인 해파리류의 포식이 1차 소비자인 돈물플랑크톤의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섭식압력의 감소 효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탄소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측정한 동물플랑크톤의 섭식률은 대발생 전후에 비해 대발생 중에 현저하게 낮아, 동 물플랑크톤들이 대발생을 일으킨 G. aureolum을 먹이로서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 졌다.

  • PDF

해양 생태계 내에서 혼합영양 섬모류 Myrionecta rubra의 중요성 (Importance of the Mixotrophic Ciliate Myrionecta rubra in Marine Ecosystems)

  • 명금옥;김형섭;장건강;박종우;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178-185
    • /
    • 2007
  • Myrionecta rubra Jankowski 1976(=Mesodinium rubrum Lohmann 1908)는 다양한 해양 환경에서 적조를 일으키는 매우 일반적인 원생생물인 혼합영양 섬모류이다. M. rubra의 실험실 종주가 처음 보고된 2000년 이후, M. rubra의 생태적 역할 및 진화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고는 M. rubra의 생태학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연구 결과들을 중심으로, 이 혼합영양성 종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 도움이 되는 종설로서 작성되었다. M. rubra는 Teleaulax sp.와 Geminigera sp. 등의 은편모류를 섭식한 후 이들의 색소체를 잔류시켜 광합성을 하는 "kleptoplastidic ciliate"이다. 최근에는 M. rubra의 박테리아 섭식이 확인되어, 지금까지 보고된 M. rubra의 영양유형은 광합성, 박테리아 섭식, 편모조류섭식 등으로 다양하다. M. rubra는 요각류, 곤쟁이류, 유즐동물과 멸치류의 유생, 그리고 이매패류 치패와 같은 metazoan predator의 먹이생물로 알려져 있다. 2006년에는 설사성 패독을 일으키는 원생생물인 와편모류 Dinophysis도 M. rubra를 섭식하는 섭식자 가운데 하나라는 사실이 새로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해양 혼합영양 섬모류 M. rubra는 표영 생태계 먹이망(pelagic food web)의 핵심적 주요 linking ciliate의 하나로서 에너지 및 유기물 흐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