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ciate ligament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38초

전방 불안정성과 동반된 슬관절 내측 구획 진행성 관절염환자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및 인공 관절 부분 치환술의 결과 - 3예 보고 -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Unicondylar Arthroplasty for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combined with Anterior Instability)

  • 이철형;송인수;지종훈;김태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8-94
    • /
    • 2013
  • 비교적 젊은 연령의 환자에서 슬관절 내측 구획의 퇴행성 관절염(Kellegrene-Laurence 제 3단계 및 Outerbridge 제 4단계)과 전방십자인대의 파열이 동반되어 전방 불안정성이 있는 3예에서 2예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6개월 이후 단계적으로 인공 관절 부분 치환술을 시행하고 나머지 1예는 동시에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및 부분 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전, 후의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Lysholm 점수와 최종 추시 상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와 knee society score (KSS) 점수를 측정하였다. 저자들의 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과 동반된 내측 구획의 진행성 관절염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함께 동시에 또는 단계적으로 시행한 내측 구획 인공 관절 부분 치환술은 슬관절 불안정성과 진행성 관절염에 의한 통증을 동시에 또한 만족스럽게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선택이라고 사료된다.

  • PDF

손상된 전방십자인대의 보존적 치료 - 증례 보고 - (Conservative Treatment for Inju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 Two Cases Report -)

  • 정영복;태석기;염재광;김진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2-115
    • /
    • 1997
  • 저자들이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함께 전방 불안정성을 보인 2례를 보존적으로 치료하여 좋은 임상적 결과를 얻은 바를 고려할 때, 급성기에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된 경우에도 전방십자인대를 싸고 있는 활액막이 파열되어 없어지지 않고 비교적 연속성이 잘 유지된 경우에는 보존적으로 치료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아울러 십자인대가 손상받았을 때 스스로 복원 능력이 있는 지에 대하여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13세 소아에서 후방십자인대의 경골 부착 부위의 견열 골절 - 증례보고- (Avulsion of the Tibial Attachment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a 13-year-old child - A Case Report -)

  • 이광원;이승훈;김하용;김병성;최원식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64
    • /
    • 2002
  • 소아에서후방십자인대의경골부착부위의견열골절은발생빈도가매우낮으며그보고된경우도드물다. 이에저자들은슬관절동통과종창을주소로내원하였으며, 슬관절 후방 슬와부에압통과 종창, 혈관절증, 후방 불안정성, 경골의 후방 전위, 슬관절신전제한소견을보이고있으며 방사선학적검사상후방십자인대의경골과간후면 부착부위에견열골절을 보이는13세 소년에게서 슬관절후방슬와부를 통한 견인 봉합술(pull-out suture)로 고정하여 치료한1예의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보고하고자한다.

  • PDF

전방십자인대 대퇴터널 형성을 위한 방법들과 각각의 장단점 (Femoral Tunnel Drilling Techniques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이상학;이명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11-317
    • /
    • 2020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개념은 해부학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다. 경경골 술식을 이용한 고전적인 방법에 비하여 해부학적 재건술을 위해서 경골터널은 이전보다 전방으로 이동하며 대퇴터널은 낮고 비스듬한 방향으로 만들게 된다. 따라서 낮고 비스듬한 해부학적인 위치의 대퇴터널을 만들기 위하여 전내측 도달법을 통한 술식(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outside-in 술식, 그리고 변형된 경경골 술식(modified transtibial technique) 등이 시행되고 있다.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이 있어 술자의 선호도, 경험, 사용 가능한 기구 및 이식건의 선택 등에 따라 선택된다.

여자 체조선수들의 한 발 드롭 착지 시 무릎보호대가 전방십자인대 부상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nee Brace 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Risk Factors During One-Legged Landing of Female Gymnasts)

  • 임비오;김규완;서정석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4호
    • /
    • pp.419-42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체조선수들의 한 발 드롭 착지 시 무릎보호대가 무릎의 전방십자인대 부상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참가한 연구대상은 여자 체조선수 11명으로, 자신의 무릎 높이의 박스 위에서 한 발 드롭 착지 동작을 무릎보호대를 차지 않고 3번, 무릎보호대를 차고 3번씩 총 6회 무작위로 수행하였다. 무릎보호대 착용 유·무에 따른 무릎의 전방십자인대 부상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종속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자 체조 선수들은 무릎보호대를 착용하였을 때에는 무릎보호대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한 발 드롭 착지 시 발목중심에서 무릎중심까지의 거리가 유의하게 더 짧게 나타났으며, 무릎의 최대 신전모멘트가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자 체조선수의 한 발 드롭 착지 시 무릎보호대의 착용이 무릎의 전방십자인대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일절개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후 십자 인대 복원술 - 이절개법과의 비교 -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One-Incision Technique Versus Two-Incision Technique of the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Bone-Patellar Tendon-Bone Graft)

  • 김성재;김현곤;김현정;김한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39
    • /
    • 1998
  •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one-incision technique and the conventional two incision technique for the arthroscopic treatment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Fifty-five patients with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underwent the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bone-patellar tendon-bone(BTB) graft. Patients with combined ligament injuries requiring concomitant operative treatment were excluded in this study. The conventional two-incision technique was performed in ten patients(Group I) and the one-incision technique in forty-five patients(Group II).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up was 45 months in Group I(range, 40 to 50 months) and 36 months in Group II(range, 24 to 68 months). Auto BTB grafts were utilized for all patients in Group I. In Group II, 34 BTB autografts and 11 BTB allografts were utilized. The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Lysholm Knee Scoring scale and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HSS) knee ligament rating form. The postoperative posterior laxity was measured with a KT 1000 or 2000 arthrometer. Lysholm postoperative mean values were 90.0 in Group I and 90.6 in Group II. HSS mean values were 87.7 in Group I and 92.6 in Group II. HSS postoperative mean value showed better results in Group II(p=0.037). The average side-to-side difference of the posterior translation measured by the KT 2000 arthrometer were 2.10 mm(range, 1 to 4 mm) in Group I and 2.38 mm(range, 0 to 5 mm) in Group II.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 the results of the autograft and allograf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one-incision technique showed good results comparable to the conventional two-incision technique. This technique minimizes potential injury to the extensor mechanism, especially vastus medialis obliquus, and scar formation over the medial femoral condyle. The operation can be finished within one tourniquet time by using only one-incision.

  • PDF

십자인대 재건술 후 닫힌사슬운동과 열린사슬운동의 효과 (Effect of Closed and Open Kinetic Chain Exercise afte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권순복;이현옥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3호
    • /
    • pp.297-310
    • /
    • 2005
  • Open kinetic chain exercise has lost favour in rehabilitation afte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due to concerns that this exercise is harmful to the graft and will be less effective in improving function. Therefore rehabilitation has focused over the past decade on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Open kinetic chain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were compared for their effects on proprioception, muscle strength and knee instability in the early period of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rehabilit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14 patients in 28weeks from cruciate reconstruction surgery(11 male, 3 female; mean age = 44.36 years).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group used ball, balance pad and air cushion, to perform weightbearing exercises and the open kinetic chain exercise group used elastic rope and N-K table, to perform non-weightbearing exercises. Between tests, subjects trained 5 times per week for 2 weeks. Statistical analysis was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 Whitney U test. In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both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programs lead to an improved muscle strength and Lysholm score. But there was no improvement in proprioception at both exercises. Closed versus open kinetic chain exercise in early period of rehabilitation afte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surgery do not differ in their effects on knee proprioception, muscle strength and instability. But the effect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was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open kinetic chain exercises between pre-post exercises. Therefore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assess effect of both groups in more long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