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uciate ligament

검색결과 455건 처리시간 0.029초

Evaluation of Biomechanical Movements and Injury Risk Factors in Weight Lifting (Snatch)

  • Moon, YoungJi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9-375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njuries and the types of movement related to damage by body parts, and to prepare for prevention of injuries and development of a training program. Metho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levels of 60 percentages (ST) and 85 percentages (MA) and 10 subjects from the Korean elite national weightlifting team were included. Furthermore, we analyzed joint moment and muscle activation pattern with three-dimensional video analysis. Ground reaction force and EMG analyse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factors related to injuries and motion. Results: Knee reinjuries such as anterior cruciate ligament damage caused by deterioration of the control ability for the forward movement function of the tibia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biceps femoris when the rectus femoris is activated with the powerful last-pull movement. In particular, athletes with previous or current injuries should perceive a careful contiguity of the ratio of the biceps femoris to the rectus femoris. This shows that athletes can exert five times greater force than the injury threshold in contrast to the inversion moment of the ankle, which is actively performed for a powerful last pull motion and is positively considered in terms of intentional motion. It is activated by excessive ad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moment to avoid excessive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of the knee at lockout motion. It is an injury risk to muscles and ligaments, causing large adduction moment and internal rotation moment at the knee. Adduction moment in the elbow joint increased to higher than the injury threshold at ST (60% level) in the lockout phase. Hence, all athletes are indicated to be at a high risk of injury of the elbow adductor muscle. Lockout motion is similar to the "high five" posture, and repetitive training in this motio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injuries because of occurrence of strong internal rotation and adduction of the shoulder. Training volume of lockout motion ha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training program. Conclusion: The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injury at snatch include B/R rate, muscles to activate the adduction moment and internal rotation moment at the elbow joint in the lockout phase, and muscles to activate the internal rotation moment at the shoulder joint in the lockout phase.

Effects of Osteotomy Angle on Tibial Angulation and Torsion During CORA-Based Leveling Osteotomy in Toy Breed Dogs: A Computer Modeling-Based Study

  • Jeong, Youngeun;Jeong, Jaemin;Cho, Cheongwoon;Jeong, SeongMok;Lee, Hae Beo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75-179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steotomy angle and tibial proximal segment rotation angle on angular and torsional tibial deformities and to assess the trends of these deformities during the rotation of the tibial proximal segment in a center of rotation of angulation (CORA)-based leveling osteotomy (CBLO) by performing computer modeling of the tibia. Four tibias of toy breed dogs with no history of lameness were used in this study. Osteotomies were performed in the proximal tibias at angles of 0°, 10°, 20°, -10°, and -20°, perpendicular to either the proximodistal or craniocaudal tibial axes. The mechanical medial proximal tibial angle (mMPTA) and transcondylar (TC) and distal cranial tibial (CnT) axes were used to measure angular and torsional deformities, respectively. All tibias showed an increase in angular and rotational deformities with an increase in the tibial plateau rotation angle. The tibia with osteotomies performed in the proximodistal and craniocaudal directions showed the highest magnitude of torsional and angular deformiti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a tendency of occurrence of angular and torsional deformities with osteotomy performed along the proximodistal and craniocaudal directions in the CBLO.

Understanding and Exercise of Gluteus Medius Weakness: A Systematic Review

  • Baik, Seung-min;Cynn, Heon-seock;Kim, Seok-hyu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7-35
    • /
    • 2021
  • A weak or dysfunctional gluteus medius (Gmed) is related to several pathologies, and individuals with hip abductor weakness have Gmed weakness.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anatomy and function of the Gmed, and the prevalence, pathology, and exercise of Gmed weakness. Paper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0 were retrieved from MEDLINE, Google Academic Search,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database search used the following terms: (glut* OR medius OR hip abduct*) AND weak*. The Gm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veral functional activities as a primary hip abductor by providing pelvic stabilization and controlling hip ad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Weakness of the Gmed is associated with many disorders including balance deficit, gait and running disorders,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napping hip, gluteal tendinopathy,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osteoarthritis, iliotibial band syndrom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ankle joint injuries, low back pain, stroke, and nocturia. Overuse of the tensor fasciae latae (TFL) as a hip abductor due to Gmed weakness can also cause several pathologies such as pain in the lower back and hip and degenerative hip joint pathology, which are associated with dominant TFL. Similarly, lateral instability and impaired movements such as lumbar spine lateral flexion or lateral tilt of the pelvis can occur due to compensatory activation of the quadratus lumborum for a weakened Gmed while exercising. Therefore, the related activation of synergistic muscles or compensatory move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scribing Gmed strengthening exercises.

Radiographic Comparison of Cranial Tibial Wedge Osteotomy versus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A Cadaveric Study

  • Lee, Jiyoon;Kim, Dongwook;Oh, Hyejong;Lee, Sungin;Choi, Seok Hwa;Kim, Gonhy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93-99
    • /
    • 2022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cranial tibial wedge osteotomy (CTWO) and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TPLO) through radiographic evalu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five cadaver dogs [mean (± SD) weight, 32.9 ± 4.1 kg; mean (± SD) age, 6 ± 2 years; three males and two females] euthanized for reasons unrelated to this study. The cadaver dogs consisted of German Shepherd (n = 3), Belgian Malinois (n = 1), and mixed breed (n = 1). CTWO and TPLO were carried out by the standard surgical method. Radiographic evaluation was performed by comparing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flexion and extension angles, the anatomical mechanical axis angle (AMA-angle), tibial length, patellar height measurement using the Labelle-Laurin method, mechanical medial proximal tibial angle (mMPTA), mechanical medial distal tibial angle (mMDTA), and frontal plane alignment (FPA). Both the CTWO and the TPL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flexion angles after surgery. Only the CTWO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extension angle. Although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AMA-angle, the mechanical axis moved cranially against the anatomical axis only in the CTWO group. The patellar height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CTWO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MPTA, mMDTA, or FPA. In conclusion, radiographic comparison revealed more changes in CTWO group than in TPLO group.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Edema Control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Injuries: A Literature Review

  • Yong, Joon-hyoung;Lim, Jin-seok;Moon, Il-young;Yi, Chung-hw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1-179
    • /
    • 2022
  • Background: The application of Kinesio tape (KT) has become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the reduction of edema owing to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mimic skin behavior. Although many studies have found that KT appl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dema related to breast cancer and rehabilitation following mandibular third molar surgery,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e use of KT for musculoskeletal injurie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KT application for reducing edema caused by musculoskeletal disorder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July 2022) was performed on PubMed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2 and June 2022. The following keywords were used: "Kinesio taping," "Kinesio tape," "swelling," and "edema," with different combinations and derivations. Only articles available in Englis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Among 68 identified studies, seven met our search strategy and criteria and were included in the literature review. Five of these studies investig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knee joint; two of them reported that KT appl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dema measured using perimetry following total knee replacement a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However, the KT application did not improve swelling in patients with acute lateral ankle sprains. Pediatric patients with acute proximal phalangeal joint sprain experienc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eduction of swelling than the group using a splint. Conclusion: This literature review found discrepant evidence to support using KT for edema control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KT for controlling edema following musculoskeletal injuries.

슬괵건 및 LA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골터널의 확장 (Widening of Bony Tunnel after 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with Ligament Anchor(LA) Screw)

  • 송은규;윤택림;정종욱;정광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9-73
    • /
    • 2001
  • 목 적 : 대퇴부의 고정을 위해 새로이 고안된 Ligament Anchor(LA) 나사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임상결과와 골터널의 확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슬괵건 4가닥과 LA 나사를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건의 고정으로 대퇴골측은 LA나사를, 경골측은 생흡수성 간섭나사를 이용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8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로는 Lachmann 검사와 Lysholm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로는 골터널의 확대정도와 $Telos^{\circledR}$ 기기(Telos stress device; Austin & Associates, Inc., Polston, US)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건측과의 전방이완도 차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 Lysholm 점수는 술 전 평균 60에서 술 후 평균 94.0점으로 호전되었으며, 술 전 Lachmann 검사상 16예에서 경도의 양성, 24예에서 중등도, 18예에서 고도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술 후 Lachmann 검사상 50예는 음성이었으며, 8예에서만 경도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Telos^{\circledR}$ 기기를 이용한 전방전위 검사상 건측과의 차이는 술전 평균 12.9mm에서 최종 추시상 3.1mm로 호전되었다(p<0.05). 대퇴 터널은 전후방 방사선 사진상 수술직후 10.6mm에서 최종 추시상 12.7mm$(21.1\%)$로 확장되었으며, 측면 방사선 사진상 술 후 10.7mm에서 최종 추시상 12.4mm$(16.5\%)$로 확장되었다(p<0.05). 경골 터널은 전후방 방사선 사진상 술 후 9.8mm에서 최종 추시상 11.8mm$(20.7\%)$로 확장되었으며 측면 방사선 사진상 술 후 9.9mm에서 최종 추시상 11.7mm$(18.9\%)$로 확장되었다(p<0.05). 결론 : LA나사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골터널의 확장이 적으며 임상 성적도 우수하여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을 회복하는데 좋은 이식물 및 내고정물이라 생각된다.

  • PDF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이준 다발 재건술 - 수술 술기 - (Anterior Cruciate Ligament Double Bundle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Autografts - Technical Notes)

  • 안진환;이상학;안형권;강홍제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2-231
    • /
    • 2005
  • 목적: 저자들은 5가닥의 자가 슬괵건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내측 다발에 부가적인 후외측 다발을 통한 전방 십자인대 이중 다발 재건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경골 터널은 기존의 단일 터널 방법을 사용하였고, 대퇴 터널은 전내측과 후외측 다발을 위한 이중 터널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내측 대퇴 터널은 최소한의 대퇴 과간 절흔 성형술 후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게 11시 혹은 1시 방향에 대퇴과 절흔의 후방 경계(over-the-top)에서 후방 피질골이 1 mm 두께로 남아 있게 만든다. 또한 후 외측 대퇴 터널은 outside-in 방법을 사용하여 관절 내 터널 위치는 슬관절 90도 굴곡 상태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후각의 경골 부착부 내연(inner margin)에서 외측 대퇴과 내측벽의 상방 $5{\sim}7mm$ 부위에 4.5 mm reamer 이용하여 만들어 준다. 이중 다발을 위한 이식건으로 전내측 다발은 기존의 4가닥 슬괵건을 사용하고 후외측 다발은 반건양건 단일 가닥으로 만든다. 대퇴 터널 고정 방법으로 전내측 다발은 rigid fix system으로 고정하며 후외측 다발은 관절 밖에 miniplate를 이용하여 endobutton 방식으로 결찰로 고정한다. 이 후 경골 터널 고정은 슬관절을 $10{\sim}20$도 굴곡 상태에서 이중 다발을 함께 인장 강도를 주고 간섭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post tie로 보강한다. 결론: 저자들은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던 기존의 전내측 다발에 회전 안정성을 위한 부가적인 후외측 다발을 통해 5가닥(경우에 따라 6가닥)의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이중 다발 재건술을 시행함으로써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 PDF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및 후 외방 구조물 재건술 (Reconstruction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nd Posterolateral Structure with Allo-Achilles Tendon)

  • 오인석;이동주;조규정;김명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2-166
    • /
    • 2005
  •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후방 십자 인대와 함께 후 외방 구조물을 동반 재건한 경우의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후방 십자인대 및 후 외방 구조물을 동반 재건하였던 1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5개월 이였다. 각각의 경우에서 수술 전 후방 불안정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KT-2000 관절계, 후방 전위 검사을 실시하였으며 후 외방 구조물 동반 손상에 의한 회전 불안정성을 진단하기 위해 경골 외회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주관적 평가는 Tegner, Lysholm score를 측정하여 최종 추시 시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KT-2000 측정치는 평균 7.1mm, 후방 전위 검사는 모든 예에서 Grade 3이였으며 경골 외 회전 검사상 슬관절 30도 및 90 도 굴곡 상태에서 모두 양성 반응을 보였다. Lysholm score는 평균 65.9. Tegner score는 평균 3.1이였다. 최종 추시 시 KT-2000 측정치는 평균 2.2 mm, 후방 전위 검사상 Grade 0이 2예, Grade 1이 4예, Grade 2가 3예, Grade 3가 1예였으며 경골 외회전 검사상 슬관절 30도 및 90 도 굴곡 상태에서 모두 양성으로 측정되었던 예는 1예였으며 90도에서만 양성으로 측정되었던 예는 2예였다. Lysholm score는 평균 87.6, Tegner score는 평균 5.7로 수술 전에 비해 주관적 객관적 평가 모두에서 호전되었다. 결론: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후방 십자 인대 및 후 외방 구조물은 재건은 후방 및 후 외방 회전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에서 좋은 수술적 치료 방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청소년기에 시행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 Adolescent)

  • 송은규;심상돈;김현종;김형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1-108
    • /
    • 2002
  • 목적 : 성장이 남아있는 청소년기 전방 십자 인대 손상에 대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445예 중 19세 이하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1예 여자가 1예였고 수술당시 평균 나이는 75.9$(13.1\~16.9)$년 최종추시상 20.1$(18.1\~22.7)$년 이었다. 평균 추시기간은 45.1$(24\~120.6)$개월이었다. 사용된 이식건은 자가 슬괵건이 11예 자가 골-슬개건-골이 1예였다. 임상성적은 Lysholm Knee Scoring Scale, 관절운동범위, 수상 전 스포츠로 복귀정도를, 방사선학적 결과는 $Telos^{\circledR}$ 기기를 이용한 전방전위도를 정상측과 비교하였다. 골성숙도는 술전 월령, 신장 및 슬관절 전후면 방사선 촬영상 성장판의 상태로 평가 하였고 최종 추시상 Teleorontegehogram로 하지부동 정도와 대퇴경골각 (Femorotibial angle), 해부학적 및 역학적 외측 원위 대퇴각(aLDFA, mLDFA), 역학적 내측 근위 경골각 (mMPTA)을 정상측과 비교하여 성장장애를 평가하였다. 결과 : Lysholm Knee Score는 술전 평균 51$(25\~63)$점에서 최종추시상 98$(94\~100)$점으로 호전되었고, $Telos^{\circledR}$ 기기를 이용한 전방전위도는 술 전 평균 13.5$(6\~27)$ mm에서 술후 평균 2.9$(1\~4)$ mm로 호전되었으며 임상적으로 의의있는 슬관절 불안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최종추시상 성장판 손상에 의한 1 cm 이상의 하지부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성장이 남아있는 골 미성숙 환자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하지부동이나 슬관절 정열이상이 없는 좋은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골관절염의 발생 빈도 및 위험 인자들에 대한 비교 - 자가 슬개건과 자가 슬괴건을 이용한 방법 - (Comparison of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Developing Osteoarthritis after ACL Reconstruction - Patellar Versus a Hamstring Autograft -)

  • 송은규;선종근;김형순;강경도;변재욱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8-57
    • /
    • 2010
  • 목적: 자가 골-슬개건-골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골관절염의 발생률과 위험인자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자가 슬개건 53예 및 자가 슬괵건 40예를 이용한 전방 십대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총 9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Kellgren and Lawrence의 분류에 따라 방사선상의 골관절염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슬관절의 임상적 기능 (Lysholm 슬관절 점수, Tegner 운동 지수), 신체검사상의 전방 이완 정도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및 $Telos^{(R)}$ 기구를 이용한 전방 이완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대상 중 24예 (45.3%)에서,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대상 중 14예 (35.0%)에서 방사선 검사상 골관절염 변화가 확인되었다. 동반된 연골판 손상 (골-슬개건-골 군 p<0.001, 슬괵건군 p=0.091), 수상에서 재건술까지 12개월 이상 경과 (골-슬개건-골 군 p=0.037, 슬괵건 군 p=0.021), 재건술 당시 연령 25세 이상 (골-슬개건-골 군p=0.003, 슬괵건 군 p=0.048) 등이 골관절염의 유의한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 하지만, 골관절염의 발생과 임상적 결과, 방사선적 안정성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자가 골-슬개건-골 및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평균 10년 추시상 두 군 모두에서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상당한 비율에서 방사선적 골관절염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동반된 연골판 손상, 수상 후 재건술까지의 지연된 시간, 25세 이상의 연령 등의 다양한 인자가 이에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