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gall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솔잎혹파리 피해임지의 수세변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ree Vigor of Damaged Forest by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이찬용;채희문;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34-41
    • /
    • 2000
  • 솔잎혹파리 피해임지의 특성에 따른 수세변동을 구명하였다. 솔잎혹파리 피해도("심", "중", "경")별로 구분하여 수세를 조사한 결과 피해가 심한 지역의 수목은 수세가 현저하게 약화되었으며, 수목의 임분밀도("밀", "중", "소")별로 구분한 경우는 피해도와 관계없이 임분밀도가 낮은 임분에서 수목의 수세가 강하게 나타났다. 수목의 외형적 인자중 수관폭과, 흉고직경이 작은 개체에 비하여 큰 개체의 수세가 모든 임분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각 임분에서 전기저항치와 수관면적과의 관계는 피해도 "심" 임분에서는 수관면적이 $13.4m^2$ "중" 임분에서는 $10.9m^2$, "경" 임분에서는 $7.9m^2$로 피해가 심할수록 수관면적이 넓어야 임목이 생존할 가능성이 높은 전기저항치($15k{\Omega}$ 이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염색체 DNA내에 존재하는 종양 유발 지역의 클로닝 (Cloning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chromosomal virulence region)

  • 심웅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4-108
    • /
    • 1990
  • Ti-plasmid에 의하여 식물체에 종양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맨먼저 Agrobacteriuin tumefariens가 식물세포에 부착되어야 하는데, 이에 필요한 유전자들은 세균의 염색체 DNA내에 존재한다. 이들 유전자를 클로닝하기 위하여 transposon 쑤5를 사용하여 A. tumefaciens A5512에 돌연변이를 유발시켰다. 그 결과 식물세포에 부착하지 못하며, 종양을 유발시키지 못하는 두개의 돌연변이체를 얻었다. 이 두 돌연변이체 중 하나로부터 세균이 식물세포에 부착하는데 관여하는 염색체 DNA내의 종양 유발 지역을 클로닝하였다.

  • PDF

Cymbidium sp.의 Protocorm 내 IAA 산화효소 활성변화가 묘조분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hange in IAA-Oxidizing Enzyme Activities on Shoot Differentiation in Cymbidium so. Protocorms)

  • 한태진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2호
    • /
    • pp.105-110
    • /
    • 1990
  • Physiological gradient of IAA-oxidizing enzyme activities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shoot differentiation in Cymbidium sp. (‘Jungfrau’) protocorms by using phenolic compounds (2, 4-dichlorophenol, catechol), auxin-inhibitors (PCIB, TIBA), and hormones (GA3, ABA, BA). The activity of IAA oxidase was decreased in protocorms treated with catechol decreased the catalytic activity of IAA oxidase or TIBA but this enzyme activity was increased after a temporary decrease at initial stages in the presence of 2, 4-dichlorophenol or PCIB. The activity of IAA oxidase in BA-treated protocorms (white and crown gall-like) was the highest of all. However, the catalytic activity of peroxidase increased after a temporary decrease at initial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oot differentiation and growth may be influenced by effective IAA levels in the protocorms causing IAA-oxidizing enzyme and phenolic compounds.

  • PDF

11,12-Dihydroarteannuic acid에서 artemisinin의 생합성 (Biosynthesis of artemisinin from 11,12-dihydroarteannuic acid)

  • 김남철;김수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106-109
    • /
    • 1992
  • 국화과의 일증인 개똥쑥(Artemisia annua L., 청호(靑蒿))에는 항말라리아 물질인 artemisinin이 함유되어 있다. 11,12-Dihydroarteanuic acid는 cell-free 방법으로 수행한 실험에서, Agrobacterium tumefaciens로 형질 전환된 crown gall의 homogenate와의 incubation에서 artemisinin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arteannuic acid는 NADPH와 함께 incubation하였을 때 dihydro acid로 전환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결과는 식물체의 조건에 따라서, dihydro acid가 자발적으로 뿐만 아니라, 생체내에서 효소 반응에 의해서도 artemisinin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기생봉사육용(寄生蜂飼育用) 솔잎혹파리 유충채집(幼蟲採集)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Collection Method of Arboreal Parasite Larvae for the Biological Control against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정상배;김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334-341
    • /
    • 1997
  • 솔잎혹파리 유충(幼蟲)은 대부분(大部分) 강우시(降雨時)에 낙하(落下)하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 추기(秋期)의 자연낙하기(自然落下期) 동안 피해임지내(被害林地內)의 수관상부(樹冠上部)에 분수장치(噴水裝置)를 설치(設置)하고 강수량별(降水量別), 강수시기별(降水時期別) 및 강수시각별(降水時刻別)로 인공강수(人工降水)를 실시(實施)하여 인공강수(人工降水)가 솔잎혹파리 유충낙하(幼蟲落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검토(分析檢討),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새로운 천적사육용(天敵飼育用) 솔잎혹파리 유충채집법(幼蟲採集法)을 개발(開發)코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솔잎혹파리 천적사육용(天敵飼育用) 유충채집법(幼蟲採集法)은 매우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유충채집(幼蟲採集)에 필요(必要)한 적정강수량(適正降水量)은 5.3-9.4mm, 이때에 소요(所要)된 살수량(撒水量) 및 살수시간(撒水時間)은 각각(各各) $8,000-16,000{\ell}$와 180-360분(分) 이었다. 2.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효과적(效果的)인 유충채집시기(幼蟲採集時期)는 중부지방(中部地方) 소나무림(林)의 경우 11월(月) 초순(初旬)부터 중순(中旬)까지 약(約) 20일간(日間)이며 이 기간(期間)에 낙하(落下)한 유충수(幼蟲數)는 전체(全體) 낙하수(落下數)의 93.4%였다. 3. 하루중에 있어서의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낙하(幼蟲落下)는 강수시각(降水時刻)에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4.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幼蟲)의 채집시기별(採集時期別) 천적기생율(天敵寄生率)은 11월(月)의 것이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12월(月) 채집분(採集分)은 다소 떨어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 유충채집적지(幼蟲採集跡地)의 1년후(年後)의 밀도변동(密度變動)은 채집전(採集前)과 비교(比較)하여 약(約) 34%의 밀도감소효과(密度減少效果)가 있었다. 6.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채집방법(幼蟲採集方法)은 현행방법(現行方法)인 충영채집법(蟲癭採集法)에 비(比)하여 약(約) 14-50%의 채집비용(採集費用)(경제적(經濟的)) 절감효과(節減效果)가 있었다.

  • PDF

표식유전자를 이용한 담배와 감자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Nicotiana glauca and Solanum tuberosum Using Selectable Marker Genes)

  • 박태은;정해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
    • /
    • pp.103-142
    • /
    • 1991
  • 표식 유전자를 이용하여 체세포 잡종체를 선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감자조직에는 T-DNA를 도입하여 식물호르몬 무첨가 배지에서도 생장가능한 형질전환체을 획득하고, 담배조직에는 NPT H gene을 도입하여 kanamycin에 대해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체를 획득하여 각각의 특성구명과 원형질체를 유리하여 도입된 유전자 marker를 이용해서 융합을 시도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자 괴경에서 Agrobacterium tumefaciens Ach5와 A. rhizogenes ATCC15834를 접종하여 crown gall tumor 및 hairy root를 유기하였으며 이러한 tumor조직은 식물 호르몬 무첨가 배지에서 생장이 가능하였다. 2. 감자에서 유기된 hairy root로부터 callus 형성은 2.4-D 2mg/1 첨가된 MS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casein hydrolysate 1g/1가 첨가하면 유연 한 callus의 증식이 더욱 왕성하였다. 3. Activated charcoal이 0.5~2.0g/1 첨가된 배지에서는 crown gall tumor callus의 절단면이 갈변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어 생존률을 높일 수 있었으나 hairy root에서는 갈변되어 고사되었다. 4. 2, 4-D 2mg/1와 casein hydrolysate 1g/1를 첨가한 배지에 hairy root callus를 현탁배의한 결과 양호한 많은 callus 덩어리들을 단시간에 얻을 수 있었다. 5. $Tri^-$parental mating으로 NPTII gene이 coding되어있는 binary vector인 pGA643을 wild type 및 disarmid된 Agrobacterium 내에 도입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 Ach5/pGA643, A.tumefaciens $A_4T$/pGA643, A. tumefaciens LBA4404/pGA643를 획득하였다. 이 세 개의 conjugant를 사용하여 0.7% agarose gel 상에서 pGA643을 확인하였다. 6. pGA643이 도입왼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와 담배 조직과 동시배양하여 kanamycin $100\mug$/ml 첨가된 배지에 생존하는 callus를 선발하였으며 동일배지에서 callus의 증식이 가능하였다. 7.형질전환된 담배 callus로부터 식물체 형성은 BA 2mg/1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능하였다. 8. 재분화된 담배의 엽조직은 kanamycin.이 $1000\mug$/ml 첨가된 MS 배지에서도 왕성히 callus가 유기되어, 이는 재분화체에서도 NPTII gene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담배의 정상 shoot와 형질전환된 shoot를 kanamycin이 $100\mug$/ml이 함유된 MS배지에 기내삽목한 결과, 정상 shoot는 발근이 되지 않고 황화 되었으나 형질전환된 shoot는 발근이되었으며 정상적으로 생장을 하였다. 10. 감자의 T-DNA가 도입된 현탁배양 callus는 cellulase 2%, macerozyme 2%, dricelase 1%에서 양호하게 유리되었다. 11. Osmoticum으로서 mannitol 농도 0.8M에서 담배와 감자의 두 조직 모두 원형질체유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생존력은 T-DNA가 도입된 감자의 hairy root를 callus로 탈분화 시킨 후 현탁배양한 callus가 mannitol 0.5M에서 97%를 나타냈고, 그리고 NPTII gene이 도입된 담배의 엽조직은 mannitol 0.7M에서 94%로 최고를 타나냈다. 12. 원형질체 융합은 PEG solution 처리 15분 후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20분에 완전히 융합되었고, 융합된 원형질체는 선발 marker인 호르몬 무첨가 및 kanamycin 첨가배지에서 배양 5일 후에 세포벽이 재생되었으며 4주일 후부터 colony들이 관찰되었다.

  • PDF

포도나무 줄기혹병균에 대한 약용식물의 항균활성 및 병발생억제 (In vitro and In viv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against Crown Gall in Grapevine)

  • 김은수;윤해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537-548
    • /
    • 2016
  • 항암, 항산화,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9종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포도나무 줄기혹병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공시한 식물 중에서 개똥쑥(15mm), 맨드라미의 꽃(27mm)과 잎(13mm), 여주의 미성숙 열매(22mm), 상사화 꽃(7mm), 질경이의 꽃(14mm)과 종자(16mm), 초석잠의 뿌리(13mm), 복숭아 나무의 수지(10mm) 추출물 등이 줄기혹병균(Rhizobium vit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의 분획물의 최소억제농도를 확인한 결과 개똥쑥, 맨드라미 잎, 여주 미성숙과 분획물은 각각 50,000배, 질경이 꽃 분획물은 10,000배 희석액이 최소억제농도(MIC)로 확인되었다. 개똥쑥, 맨드라미 꽃과 잎, 여주의 미성숙 열매 추출물의 항균활성물질을 column chromatography와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통하여 분획하였다. 핵산/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클로로포름(20:80, v/v)으로 전개한 TLC 분석에서 개똥쑥 추출물에서는 Rf 0.36, 0.69, 0.75, 0.84, 0.94, 맨드라미 꽃 추출물은 Rf 0.96, 0.99, 맨드라미 잎 추출물은 Rf 0.92, 0.97, 여주의 미성숙열매 추출물은 Rf 0.85에서 항균 활성의 분획을 획득하였다. 개똥쑥, 맨드라미 잎, 여주 미성숙 열매 추출물을 물에 희석(500, 1,000, 2,000배)하고 온실에서 R.vitis를 접종한 '거봉' 식물체에 7일 간격으로 관수한 결과, 개똥쑥 희석액은 100%, 맨드라미 잎 추출물(500배 희석액)은 67%, 여주 미성숙 열매 추출물(500배 희석액)은 83.3%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약용식물 추출물이 포도나무 줄기혹병을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 제제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솔잎혹파리가 소나무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직경생장저해(直徑生長沮害)-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on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III) -Radial Growth Impact-)

  • 박기남;현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48-53
    • /
    • 1984
  • 과거(過去)에 솔잎혹파리 피해(被害)를 받은 바 있는 충청남도(忠淸南道) 서천군(舒川郡) 비인(庇仁)과 피해(被害)를 받지 않은 충청남도(忠淸南道) 홍성군(洪城郡) 장곡(長谷) 자생(自生)하고 있는 13년생내외(年生內外) 소나무의 연륜(年輪)을 Duff와 Nolan(1953)의 방법(方法)으로 비교(比較)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전(健全)한 소나무연륜(年輪)의 사선계열(斜線系列)에서 하나의 생장(生長) Pattern이 발견(發見)된다. 그러나 수선계열(垂線系列)을 위시(爲始)한 각(各) 계열(系列)에서 나무가 성장(成長)함에 따라 연륜폭(年輪幅)이 점차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도 볼 수 있었다. 2) 솔잎혹파리로 인(因)한 연륜생장저해(年輪生長沮害)는 수간기부(樹幹基部)의 수평선계열(水平線系列)에서는 발견(發見)되지 않았으나 기타계열(其他系列)에서는 모두 쉽게 식별(識別)해낼 수 있었다. 3) 경미(輕微)한 피해(被害)를 받았을 때나 생장저해(生長沮害)가 발생(發生)하는 초년도(初年度)를 판단(判斷)하기 위하여는 사선계열(斜線系列)이 가장 유용(有用)할 것으로 고찰(考察)되었다.

  • PDF

Pathogenic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Agrobacterium vitis strains isolated from Grapevine in Korea

  • Kim, J.G.;Kim, S.H.;Choi, J.E.;Lee, Y.K.;Kang, H.W.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0.2-120
    • /
    • 2003
  • Agrobacterium vitis is a causal agent of crown-gall disease on grapevine. In Korea, grapevine variety (GeoBong) have severely been infected by the bacteria since stems of the variety were buried in soil for overwintering. Infection ratio over 70-80% was observed on 7 years old GeoBong grapevine in Ansung and Cheonan. PCR specific primers for A. vitis strains were designed using nucleotide sequences of vir A gene in Ti-Plasmid, pheA gene in chromosomal DNA and a URP-PCR polymorphic band. Three hundred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different 80 galls formed on GeoBong grapevine in Cheonan and Ansung of Korea and were screened to identify A. vitis using the three specific PCR primers for Agrobacterium vitis. Twenty-four bacterial strains that are detected by the primers were further confirmed by pathogenicity and biochemical methods. To investigate the genomic diversity of the bacterial strains, twenty primers of 20 mer referred to universal rice primers (URP) were applied for PCR fingerprinting, Of them, URP2R and URP2F primers could effectively be used to detect polymorphism within the bacterial strains.

  • PDF

Newly Recorded Problematic Plant Diseases in Korea and Their Causal Pathogens

  • Kwon, Jin-Hyeu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5-27
    • /
    • 2003
  • Since 1993, a total of 50 problematic plant diseases unrecorded in Korea were surveyed in Gyeongnam province. Totally 34 new host plants to corresponding pathoge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5 fruit trees, 9 vegetables, 12 ornamental plants, 3 industrial crops, and 5 medicinal plants. Among the newly recorded fruit tree diseases, fruit rot of pomegranate caused by Coniella granati and Rhizopus soft rot of peach caused by Rhizopus nigricans damaged severely showing 65.5% and 82.4% infection rate. Among the vegetable diseases, corynespora leaf spot of pepper caused by Corynespora cassiicola and the crown gall of pepper caused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powdery mildew of tomato caused by Oidiopsis taurica were the most severe revealing 47.6%, 84.7%, and 54.5% infection rate in heavily infected fields, respectively. In ornamental plants, collar rot of lily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gray mold of primula caused by Botrytis cinerea, soot leaf blight of dendrobium caused by Pseudocercospora dendrobium, sclerotinia rot of obedient plan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showed 32.7 to 64.8% disease incidence. On three industrial plants such as sword bean, broad bean, and cowpea, eight diseases were firstly found in this study. Among the diseases occurring on broad bean, rust caused by Uromyces viciae-fabae and red spot caused by Botrytis fabae were the major limiting factor for the cultivation of the plant showing over 64% infection rate in fields. In medicinal plants, anthracnose of safflower caused by Collectotrichum acutatum was considered the most severe disease on the plant and followed by collar rot caused by Sclerotium rolfsii.(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