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densit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5초

목초의 임간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ultuer of Cool-Season Grasses in Forest)

  • 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6
    • /
    • 1985
  • 牧場에 林間栽培함에 있어서 閉度의 多少가 牧草의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코자 리기데타 人工造林地의 閉度를 0(露光區), 25, 50, 75%로 調節하여 Orchard grass를 栽培하였던 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林地內의 Orchard grass의 葉面積은 各 刈取時期 모두 閉度 25, 0, 50, 75%區의 順位이며 特히 閉度 25%區는 0%區에 비하여 有意的인 增加傾向 이었다. 2. Orchard grass의 草長은 閉度가 높을수록 伸長하는 傾向이나 閉度 0%區와 25%區 間에는 差異를 認定할 수 없었다. 3 閉度의 差異에 따른 草長과 葉面積의 關係는 負의 利關關係를 나타내었다. 4. 林地內의 Orchard grass 年間 總 乾物收量은 페도 25%구가 露光區 에 비하여 有意的인 增收效果가 있었으며 50%區는 露光區에 비하여 약간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내었으나 統計的인 有意性은 認定되지 않았다. 그러나 閉度 75%區는 露光區에 비하여 有意的인 減收를 나타내었다.

  • PDF

대구 팔공산 지역의 소나무 수관층 연료 특성 (Crown Fue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in Mt. Palgong, Daegu)

  • 구교상;이병두;원명수;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52-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관화에 취약하다고 밝혀진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층의 연료특성을 잎과 가지 굵기 별로 구분하여 수분함량, 연료밀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팔공산에서 소나무 10그루를 벌채하여 각 부위별로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수관층 살아 있는 부위의 평균 수분함량은 53%, 죽은 부위는 15.3%였으며, 생엽의 수분함수율은 평균 56%이었다. 수관화 확산시 실제적으로 연소되는 잎과 직경 1 cm 이하의 가지를 합한 연료량은 전체 바이오매스에서는 16.2%, 수관층 바이오매스에서는 55%를 차지하였다. 수관 연료밀도는 평균 0.24 kg/$m^3$이었으며, 잎과 1 cm 굵기 이하의 가지를 합한 유효 수관연료밀도는 0.1325 kg/$m^3$이었다.

연질 PE관을 이용한 여름딸기 부분냉방기술 개발 (Spot Cooling System Development for Ever-bearing Strawberry by Using Low Density Polyethylene Pipe)

  • 문종필;강금춘;권진경;이수장;이종남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149-158
    • /
    • 2014
  • The effects of spot cooling on growing ever-bearing strawberry in hydroponic cultivation during summer by spot cooling system was estimated in plastic greenhouse located in Pyeongchang. The temperature of cooling water was controlled by heat pump and maintained at the range of $15{\sim}20^{\circ}C$. Cooling pipes were installed in root zone and very close to crown. Spot cooling effect was estimated by applying system in three cases which were cooling root zone, crown plus root zone, and crown only. White low density polyethylene pipe in nominal diameter of 16 mm was installed on crown spot, and Stainless steel flexible pipe in nominal diameter of 15A was installed in root zone. Crown and root zone cooling water circulation was continuously performed at flowrates of 300 ~ 600 L/hr all day long. Strawberry yields by test beds were surveyed from Aug. 1 to Sep. 30. The accumulated yield growth rate compared with a control bed of crown cooling bed was 25 % and that of crown plus root zone cooling bed was 25 % and that of root zone cooling bed was 20 %. The temperatures of root spot in root zone cooling was maintained at $18{\sim}23.0^{\circ}C$ and that of crown spot in crown cooling was maintained at $19{\sim}24^{\circ}C$. Also, the temperatures of root spot in crown plus root zone cooling bed was maintained at $17.0{\sim}22.0^{\circ}C$ and that of crown spot was maintained at $19{\sim}25^{\circ}C$.

소나무 수관 부위별 연료량 추정식 개발 및 수관연료밀도 분석 (Allometric Equations of Crown Fuel Biomass and Analysis of Crown Bulk Density for Pinus densiflora)

  • 이병두;원명수;김선영;윤석희;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91-396
    • /
    • 2010
  • 수관화 위험성 평가에 필요한 소나무 수관층 연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관 부위별로 연료량을 추정할 수 있는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고, 수관연료밀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팔공산의 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10본의 소나무를 벌채하고, 수간, 가지, 잎 부분의 고사여부와 가지의 굵기 별로 구분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대생장식은 흉고직경(D)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H)를 이용하는 회귀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평균적으로 추정식 lnWt=${\alpha}+{\beta}lnD+{\gamma}lnH$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고(${R^2}_{adj}$=0.835-0.996) 표준추정오차가 가장 낮았지만(SEE=0.074-0.638), 잎과 작은 가지 항목에서는 추정식들간 결정계수 및 표준추정오차의 차이가 미미하였다. 각 부위별 연료량을 수관체적으로 나눈 수관연료 밀도는 잎만을 고려했을 때 0.067 kg/$m^3$, 잎과 직경이 0.5 cm 이하인 가지까지 포함했을 때 0.097 kg/$m^3$로 나타났다. 흉고직경이 증가함에도 잎과 잔가지 부위의 수관연료밀도 증가폭은 미미하였다.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림의 수관 밀도 추정 (Estimation of Canopy Cover in Forest Using KOMPSAT-2 Satellite Images)

  • 장안진;김용민;김용일;이병길;어양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3-91
    • /
    • 2012
  • 다양한 산림 정보 중 수관 밀도는 단위면적 당 수관점유 면적의 비율로 정의되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중요한 정보이다. 기존의 측정 방법들은 항공사진 판독 또는 현지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하여 수관 밀도를 측정함에 있어 시간적/인적/경제적 자원의 소모가 크고, 판독자의 주관 및 경험이 반영되어 자료 제작의 일관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OMPSAT-2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국내 산림 지역의 수관 밀도를 추정하였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적합한 영역 기반의 수관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영상 분할 기법과 임분 경계 정보를 이용하여 산림 내부를 일정 영역으로 구분하고, 판별 분석 기법과 산림 비율 기법을 통해 구분된 영역의 수관 밀도를 추정하였다. 현장 조사 및 영상 판독을 통해 구축한 참조자료와 비교해본 결과 판별 분석 기법은 약 60%, 산림비율 기법은 약 85%의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와 수치 임상도의 비교를 통해 갱신이 필요한 후보지 추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경북 봉화 지역 소나무림에 대한 수관연료 특성과 연료량 추정 (Crown Fuel Characteristics and Fuel Load Estim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Bonghwa, Gyeongbuk)

  • 장미나;이병두;서연옥;김성용;이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02-40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북 봉화 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의 수직적 구조, 수관연료밀도, 수관특성을 분석하고, 수관연료량 추정을 위한 회귀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소나무림에 대한 수관의 수직적 구조에서 연료량 비율은 수관의 중간부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관연료량에서 잎과 가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잎 25%, 직경 1 cm이하 가지 33%로 수관화 확산 시 이용 가능한 수관연료량은 총 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화 지역 소나무림에 대한 평균 수관연료밀도는 $0.45kg/m^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잎과 1 cm이하의 이용 가능한 연료밀도는 $0.27kg/m^3$으로 나타났다. 선형회귀식과 비선형회귀식을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수관연료량과 전체 수관연료량을 추정한 결과, 선형회귀식의 경우 결정계수($R^2$)가 각각 84%, 88%로 나타난 반면에, 비선형회귀식의 경우 결정계수가 각각 90%, 95%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상대생장식은 봉화 지역 소나무림의 산불관리와 수관화모델에 대한 정량적인 연료량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남 신안군 한반도해송숲의 곰솔 수세약화 원인 분석 (Causes of Weakening Tree Vigor of Pinus thunbergii in Hanbando Coastal Forest in Shinangun, Jeollanamdo Province)

  • 김선화;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8-407
    • /
    • 2021
  • 한반도해송숲의 지형환경, 기상조건, 토양 이화학적 성질과 곰솔의 생육상태를 조사해, 이곳 곰솔의 수세약화 원인을 찾아내고자 했다. 곰솔의 수세가 불량하거나 고사한 지역(수세불량지)과 대조구로서 곰솔의 생육상황이 양호한 지역(수세양호지)으로 나눠 조사했다. 그 결과, 수세불량지의 입목밀도는 수세양호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수관폭은 반대로 수세양호지에서 더 넓었다. 고사목 개체수와 입목밀도는 서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 입목밀도와 흉고직경·수고·수관고(crown height)·수관폭 사이에서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입목밀도가 높으면 개체의 수관이 겹쳐 하부 가지가 죽어 수관고와 수관폭이 작아졌다. 이에 엽량 감소에 따른 광합성량이 줄어들어 수고와 직경의 생장량이 적어졌다고 본다. 이로 인해 수세가 약해지면서 해안사구라서 수분·양분의 부족과 강한 조풍 등의 환경압이 가중되어 해안가 근처의 곰솔이 대규모로 죽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해송숲의 고사목 발생과 수세약화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곰솔 생장에 따른 적정한 입목밀도 관리 부족이라는 내부요인을 제1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또 곰솔 생육에 불리한 토양조건과 조풍, 강풍 등의 환경압을 제2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뿌리점착력과 수관밀도를 적용한 토사재해 위험지역 예측 (The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Considering of Root Cohesion and Crown Density)

  • 최원일;최은화;서진원;전성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3-21
    • /
    • 2016
  • 기존의 토사재해 위험지역 예측은 토질특성과 경사만으로 분석되기 때문에 지역적 특징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위험지 예측 분석을 위하여 해당지역의 특징을 반영한 토사재해 위험지 예측을 할 필요가 있다. 토사재해 위험지의 특징 중 하나인 수목의 뿌리는 토사 내 점착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수목의 종류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역에 따라 수목의 밀집 정도(수관밀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실제 수목의 분포를 고려하여 토사재해 위험지역 예측을 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위험지 예측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종시 괴화산 일대를 중심으로 수목의 수관밀도를 고려한 뿌리점착력을 사용하여 토사재해 위험지역 예측을 하였으며, 뿌리점착력을 적용하지 않은 토사재해 위험지역 예측 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원도 양양지역 소나무림의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수관층 연료특성에 관한 연구 (Above-ground Biomass and Crown Fue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in Yangyang, Gangwon Province)

  • 김성용;이영진;장미나;서연옥;구교상;정성철;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44-25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양양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수관층 연료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하월천리 일대 소나무림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3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양양지역 소나무림의 줄기밀도($g{\cdot}cm^{-3}$)는 0.347~0.409, 지상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251~1.419의 범위로 나타났다. 지상부 연료량은 총 $161.6Mg{\cdot}ha^{-1}$로 나타났으며, 줄기 $126.4Mg{\cdot}ha^{-1}$, 가지 $29.3Mg{\cdot}ha^{-1}$, 잎 $5.9Mg{\cdot}ha^{-1}$로 나타났다. 수관층 연료특성 인자에 관한 연구에서는 수관화 확산 시 연소될 수 있는 연소가능 연료(잎~1 cm이하 가지)의 비율은 45.2%로 나타났고, 연료량을 수관체적으로 나눈 연소가능 연료밀도($kg{\cdot}m^{-3}$)는 평균 0.17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 및 탄소 흡수량 추정과 수관화 위험성을 연료적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Mono-Crown Ether와 Bis-(Crown Ether)s를 이용한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Alkali Metal and Alkaline Earth Metal Cations Using a Mono-Crown Ether and Bis-(Crown Ether)s)

  • 신영국;김해중
    • 분석과학
    • /
    • 제10권1호
    • /
    • pp.60-65
    • /
    • 1997
  • mono-crown ether(benzo-15-crown-5)와 benzo-15-crown-5를 포함한 bis-(crown ether)s(ethylenediamine bis(4'-formylbenzo-15-crown-5))에 의한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의 용매추출을 $25^{\circ}C$, 물-클로로포름계에서 조사하였다. mono-crown ether와 bis-(crown ether)s를 사용한 경우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에 대한 추출평형상수($K_e$)와 착물형성상수($K_c$)의 크기 순위는 각각 Ca(II)>Na(I)>Sr(II)>K(I)>Mg(II)>Rb(I)와 Sr(II)>Ca(II)>K(I)>Rb(I)>Mg(II)>Na(I) 순으로 증가하였다. 이들 크기 순위는 금속 양이온의 크기 및 전자밀도효과로서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mono-crown ether에 비해서 bis-(crown ether)s를 사용한 경우 금속양이온들에 대한 추출효율이 좋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