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Volume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폴리머 배터리 전극제조용 압연 고온롤 표면의 형상 및 유한요소 열변형 해석 (Shapes and Thermomechanical Analyses of a Hot Roll for Manufacturing Electrodes of Polymer Batteries)

  • 김철;장동수;유선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1권8호
    • /
    • pp.847-854
    • /
    • 2007
  • The battery electrode of a mobile phone is made of layered polymer coated on aluminum foils and the hot rolling process is applied to increase the density per volume of an electrode for a high capacity battery. The flatness of batteries surfaces should be less than $2{\mu}m$. To satisfy the required flatness, the deformation of roll surface due to bending and heating of the roll should be minimized. Complicated hot oil paths of $100^{\circ}C$ inside the roll are required for heating the polymer layers. FEA was used to calculate thermal deformations and temperatures distributions of the roller. Based on FEA, a modified surface curvature called a crown roll was suggested and this gave the area of 30% improved flatness compared with a flat roll. The flat roll satisfied the flatness of $2{\mu}m$ in the length of 340 mm and the crown roll resulted in the longer length of 460 mm. Experiments to measur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thermal strain were performed and compared with FEA. There were only 6% difference between two results.

선박엔진용 초대형 열간단조품, 피스톤크라운의 단조공정 및 금형 설계 (Process Planning and Die Design for the Super Hot Forging Product, the Piston Crown Used in Marine Engine)

  • 황범철;이우형;배원병;김철
    • 소성∙가공
    • /
    • 제17권8호
    • /
    • pp.600-606
    • /
    • 2008
  • In closed-die hot forging, a billet is formed in dies such that the flow of metal from the die cavity is restricted. Some parts can be forged in a single set of dies, whilst others, due to shape complexity and material flow limitations, must be shaped in multi sets of dies. The purpose of a performing operation is to distribute the volume of the parts such that material flow in the finisher dies will be s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ign of preforms, flash thickness and land width by theoretical calculation and finite element analysis, to manufacture the super hot forging product, 70MC type piston crown used in marine engine. The optimal design of preforms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design experiment achieves adequate metal distribution without any defects and guarantees the minimum forming load and fully filling of the cavity of the die for producing the large piston crown. The maximum loads obtain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xperiments. The loads of the analysis have good agreements with those of the experiment. Results obtained using DEFORM-2D enable the designer and manufacturer of super hot forging dies to be more efficient in this field.

버즘나무(Platanus orientalis)와 느릅나무(Ulmus davidiana)의 수관부와 미기후간의 상호 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Microclimate and the Crown of Platanus orientalis and Ulmus davidiana)

  • 이재윤;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93-799
    • /
    • 2016
  • 본 연구는 도심지 공원 내 식재된 버즘나무와 느릅나무를 대상으로 수관 내부의 온도, 풍량, 풍속 등 미기후 인자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장조사는 여름철, 8월 한 달간 오전 09시부터 오후 06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미기후 인자 측정 항목은 광량자센서(PAR Quantum Sensor SKP215), 정밀온도계측기(Pt1000-Sensor), 풍량풍속계(1467 G4 & HG4)를 이용하여 온도, 광량, 풍량 및 풍속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버즘나무와 느릅나무는 두 종 모두 외부 온도에 비해 수관 내부에서 냉각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수관 내부의 냉각효과는 대기 중의 풍량과 풍속이 있을 때 더 효과적이었다. 바람이 있을 때, 버즘나무는 풍량에 의해 수관 내부의 온도가 더 낮아지며, 느릅나무는 풍속에 의해 수관 내부의 온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람이 없을 때, 두 종간 수관 내 평균온도 변화는 평균적으로 느릅나무가 $-0.9^{\circ}C$, 버즘나무가 $-0.958^{\circ}C$로 버즘나무가 느릅나무보다 식재 공간 내 온도를 낮추는데 비교적 더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도심 내 수목이 종별로 미기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으며 또한, 수목의 미기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수종별로 다를 수 있음을 밝혔다는데서 의의가 있다. 향후 활엽교목 이외에 상록수, 관목류 등 다양한 수종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도시 녹지 공간 내 미기후 조절에 효과적인 조경수를 보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삽수(揷穗)의 클론, 모수령(母樹齡), 채취부위(採取部位) 및 발근촉진제(發根促進劑)가 낙엽송(落葉松)(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의 삽목발근(揷木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lones, Ortet Age, Crown Position, and Rooting Substance upon the Rooting of Cuttings of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

  • 정덕영;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05-210
    • /
    • 1994
  • 본 연구는 채종원에서 개화결실이 부진한 낙엽송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의 삽목증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수의 모수령, 채취부위, 클론 및 발근촉진제가 삽목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실시하였다. 2, 8, 16, 30년생 모수에서 7월 하순경 당년에 생장한 삽수를 채취한 후, 발근촉진제인 IBA(Indole Butyric Acid)를 1000, 2000. 5000ppm의 세가지 농도로 5초간 처리하였다. 삽수는 peatmoss, vermiculite, perlite를 1 : 1 : 1 로 배합하여 조제된 온실내 삽목상에 삽목한 후 3개월이 경과된 10월 하순에 발근여부를 조사하였다. 발근촉진제 무처리의 경우 발근율은 2년생에서 52%, 8년생에서 48%, 16년생에서 36%, 30년생에서 20%인 반면, IBA 1000ppm 처리시 가장 높은 발근율을 얻었는데 2년생 80%, 8년생 71%, 16년생 52%, 30년생 25%로 발근율이 향상되었으며, 부정근의 수와 주근의 길이가 모수령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IBA 처리로도 증가하였다. 시기별 생존율은 삽목후 15-45일 사이에 현저히 감소한 반면, 그 후에는 생존율이 거의 감소하지 않았으며, IBA 처리로 생존율이 향상되었다. 모수의 클론별 발근율 조사는 8년생 모수를 사용하였는데, IBA 1000ppm 처리시 강원 49호에서 40%로 저조한 반면, 충남 6, 7호와 전북 1, 9호는 67%로 가장 커서 클론간에 발근율이 차이가 있었다. 삽수의 채취부위에 따른 위치효과는 수관 상부에서 채취한 삽수가 IBA 처리시 발근율이 평균 53%로 가장 낮았으며, 수관 하부가 56%, 수관 중부는 60%의 순으로 발근율이 증가되었다.

  • PDF

통리(桶里) 해수욕장(海水浴場) 녹지대(綠地帶) 조성(造成)에 관(關)한 연구(硏究)(II) -곰솔 해안방재림(海岸防災林)의 수관량(樹冠量) 및 토양분석(土壤分析), 식재기반평가(植栽基盤評價) 및 녹지대계획(綠地帶計劃)- (Studies on a Plan for Afforestation at Tong-ri Beach Resort(II) -Analyses of Crown Amounts and Soil Properties in the Disaster-damage Prevention Forests of Pinus thunbergii PARL., the Valuation on Soil Properties for Planting and Planning for Afforestation-)

  • 조희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3호
    • /
    • pp.303-314
    • /
    • 1988
  • 해안방재림(海岸防災林)으로 조성(造成)된 곰솔의 수관량(樹冠量)을 분석(分析)하여 방재기능(防災機能)을 평가(評價)하는 자료(資料)를 제공(提供)하고 방재림지(防災林地) 및 사구지(砂丘地) 녹지대(綠地帶) 조성지(造成地)에 대(對)한 토양성분비교(土壤成分比較) 및 분급평가(分級評價)의 결과(結果)와 제(第) I 보(報)(한림지(翰林地) 77(2))로 보고(報告)한 각종재해요인(各種災害要因)을 기반(基盤)으로 하여 해수욕장(海水浴場) 주변(周邊)에 녹지대(綠地帶)를 계획(計劃)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양수관량(陽樹冠量)은 재적생장(材積生長)의 기본(基本)이 되나 곰솔의 방재림(防災林)은 재적생장(材積生長)에 따라 음수관(陰樹冠)을 포함한 수관표면적(樹冠表面的)이나 체적(體積)이나 증가(增加)함을 알 수 있고 수관표면적(樹冠表面的)과 수관체적(樹冠體的)의 추정식(推定式)은 모두 회귀성(回歸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다. 따라서 방재림(防災林)은 1) 수고(樹高)가 큰 것일수록 수관표면적(樹冠表面的)이나 수관체적(樹冠體的)의 증가비율(增加比率)이 더 크고, 2) 흉고직경(胸高直徑)이 클수록 수관체적(樹冠體的)의 증가비율(增加比率)이 더 크나 수관표면적(樹冠表面的)의 증가(增加)는 비례(比例) 관계(關係)에 있다. 2. 곰솔의 방재림지(防材林地)는 사구지(砂丘地)보 OM, T-N, $SiO_2$량(量)이 더 많고 CEC도 더 큰 값이며 EC값이나 CI량(量)이 더 적은 것으로 보아 토양(土壤)이 개선(改善)되었고 방재림(防災林)의 염해방지기능(鹽害防止機能)을 인식(認識)할 수 있다. 3. pH도 곰솔의 방재림지(防材林地)는 개선(改善)되었다. 4. 치환성(置換性) 양(陽)이온은 곰솔의 방재림(防災林)보다 사구지(砂丘地)가 더 큰 값인데 패각(貝殼)이 계속 공급(供給)되므로 Ca량(量)이 특(特)히 많다. 그러나 $P_2O_5$는 사구지(砂丘地)와 방재림(防災林)은 거의 같은 값이다. 5. 곰솔의 방재림지(防材林地)는 전체적(全體的)으로 보아 토양(土壤)이 개선(改善)되고 있으나 양분(養分)이 매우 결핍(缺乏)되어 있다. 6. 곰솔 방재림(防災林)의 잔재본수(殘在本數)는 1970년(年) 식재(植栽)된 것은 34%, 1976년(年)의 것은 39%로서 자연적(自然的)으로 간인(間引)이 이루어져서 밀도조정(密度調整)이 되고 있으며, 지하고(地下高)도 각각(各各) 2.71m, 1.89m로서 지하율조정(地下率調整)으로 출입(出入)이 자유(自由)스러울 것으로 생각된다. 7. 사구지(砂丘地) 중심(中心)서 E방위(方位)에 있는 혼효림(混淆林)의 염풍해방지(鹽風害防止) 기능(機能)을 인정(認定)할 수 있다. 8. 녹지대(綠地帶)는 방재기능(防災機能)과 휴식기능(休息機能)에 만족(滿足)할 만한 적정립목도(適正立木度)가 요청(要請)된다. 9. 사구지(砂丘地) 주변(周邊)의 토양(土壤)을 분급평가(分級評價)한 결과(結果)와 입지조건(立地條件)과 휴식기능(休息機能) 및 방재기능(防災機能)을 고려(考慮)하여 통리인구(桶里人口)의 공한지(空閑地)와 1985년(年) 식재(植栽)된 해송(海松)이나 도로(道路)를 철거(撤去) 및 폐쇄(閉鎖)하여 녹지대(綠地帶) 조성지(造成地)로 하였다. 10. 녹지대(綠地帶)를 대상(帶狀)으로 장축(長軸)이 주풍방향(主風方向) SE에 대(對)하여 $14^{\circ}$동편(東偏)으로 계획(討劃)하였으며 부락진입도로(部落進入道路)는 해송(海松) 식재지(植栽地)와 논사이를 성토(盛土)하여 개설(開設)한다. 11. 녹지대(綠地帶) 조성(造成)함으로서 해수욕장(海水浴場)에게 휴식처(休息處)를 제공(提供)함은 물론(勿論) 풍하측(風下側)에 있는 경지(耕地)에 165m 지점(地默)까지의 방풍효과(防風效果)로 염해(鹽害) 시가(飛砂)의 피해(被害)를 방지(防止)하여 수도(水稻)의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12. 녹지대(綠地帶) 조성면적(造成面積) $10,476m^2$에 2년생(年生) 곰솔묘(苗)를 $1m{\times}1m$ 간격(間隔)으로 10,476본(本)을 주풍방향(主風方向)에 대(對)하여 식재열(植栽列)이 직각(直角)이 되도록 식재(植栽)한다.

  • PDF

적송림(赤松林)에 있어서의 성장인자간(成長因子間)의 상관(相關) (Relation between crown-length, tree-height, diameter Clear-bale length and the longest branch length in a Pinus densiflora stand)

  • 임경빈;박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7-32
    • /
    • 1966
  • Taking an opportunity of the application of clearcutting method, 140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trees grown at Chon-nam province,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were fellen and the tree height, clear-bole length, D.B.H. diameter at base(0.2m above from the ground line) and the length of the longest branch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mentioned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between crown length and tree height (r=0.821) was sinificant.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at base and D.B.H. was highly significant (r=0.961). D.B.H. can be calculated from multiplying the diameter at base by 0.88. 3. A weak relation between D.B.H and tree height was abserved. 4.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ree height and clear-bole-length was calculated, but it was not sharp between D.B.H. and the length of the longest branch. 5. The height, basal area, D.B.H. and volume increment by tree class calculated from the data of the stem analysis are presented (Tab. 3~10).

  • PDF

항공 LiDAR의 높이분포변수를 이용한 임분재적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ng plot-level volume using LiDAR-extracted height distributional parameters)

  • 곽두안;이우균;조현국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4-141
    • /
    • 2010
  • 임분 단위의 재적 및 생체량은 LiDAR 자료의 높이 분포변수들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LiDAR 자료의 높이 분포변수들은 재적을 측정하는 임분고(stand height)와 임분평균 지하고(mean crown base height), 그리고 수관형태에 따른 평균수관장(mean crown depth) 등의 변수와 직 간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림의 샘플지역에서 반사된 LiDAR 자료의 높이분포변수를 이용하여 임분단위의 수간재적을 추정한 다음, 앞 세부연구에서 수행한 방법을 이용하여 임분의 생체량을 추정하였다. 변수는 임분 내에서 반사되는 LiDAR 자료의 평균높이, 최대 최소높이, 높이값들의 표준편차, 변이계수, 첨도, 왜도, 식생반사비율, 10분위 높이자료와 강도데이터의 기술통계량 등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인 임분수간재적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변수들은 임분수간재적과 가장 관련있는 2~3개의 변수들로 추려졌으며, 추정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66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보표본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의 결정계수는 0.59로 분석되어 LiDAR 자료의 높이분포변수들은 임분의 재적을 비교적 잘 설명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THE EFFECT OF MONOMER TO POWDER RATIO ON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OF POLYMER-BASED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MATERIALS

  • Kim, Sung-Hu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35-742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 Although a number of previous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of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FPD) materials, the effect of the changes of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on its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has not been repor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of polymer-based provisional crown and FPD materials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Material and methods. Chemically activated acrylic provisional materials (Alike, Jet, Snap) were investigated. Each material was mixed with different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s by volume (1.0:3.0, 1.0:2.5, 1.0:2.0, 1.0:1.5, 1.0:1.0). Time dependent polymerization shrinkage- strain kinetics of all materials was measured by the bonded-disk method as a function of time at $23^{\circ}C$. Five recordings were taken for each ratio.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he multiple comparison Scheffe 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rends were also examined by linear regression. Results. At 5 minutes after mixing,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s of all materials ranged from only 0.01% to 0.49%. At 10 minutes, the shrinkage-strain of Alike was the highest, 3.45%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1.0:3.0). Jet and Snap were 2.69% (1.0:2.0) and 1.58% (1.0:3.0), respectively (P>0.05). Most shrinkage (94.3%-96.5%) occurred at 30 minutes after mixing for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ranging from 1.0:3.0 to 1.0:1.0. The highest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values were observed for the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of 1.0:3.0. At 120 minutes after mixing, the shrinkage-strain values were 4.67%, 4.18%, and 3.07% for Jet, Alike, and Snap, respectively. As the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increased, the shrinkage-strain values tend to be decreased linearly (r=-0.769 for Alike, -0.717 for Jet, -0.435 for Snap, $r^2=0.592$ for Alike, 0.515 for Jet, 0.189 for Snap; P<0.05). Conclusion. The increase of the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from 1.0:3.0 to 1.0:1.0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hrinkage-strain kinetics of polymer-based crown and FPD materials investigated. This increased the working time and decreased the shrinkage-strain during polymerization.

3 차원 레이저 스캐닝을 이용한 터널의 천단 및 내공 변위 관측 (Tunnel Convergence and Crown Settlement Using 3D Laser Scanning)

  • 이재원;윤부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통권40호
    • /
    • pp.67-75
    • /
    • 2007
  • 터널 구조물 시공시에 수많은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미연에 방지하고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터널 내부의 변위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관측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천단침하, 내공변위, 지표침하 등은 토탈 스테이션. 각종 계측기를 이용하는 보편적인 측량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측량기술의 향상과 개발에 따른 구조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닝을 이용하여 기존 구조물의 변형량 계측방법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고, 구조물의 형태 변화를 3차원화 하여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 빠른 대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물의 유지관리 및 현장계측에 능률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buccally cantilever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 a severely resorbed mandible

  • Alom, Ghaith;Kwon, Ho-Beom;Lim, Young-Jun;Kim, Myung-Jo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1호
    • /
    • pp.12-23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lingualized implant placement creating a buccal cantilever with prosthetic-driven implant placement exhibiting excessive crown-to-implant ratio. Materials and Methods. Based on patient's CT scan data, two finite element models were created. Both models were composed of the severely resorbed posterior mandible with first premolar and second molar and missing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 two-unit prosthesis supported by two implants. The differences were in implants position and crown-to-implant ratio; lingualized implants creating lingually overcontoured prosthesis (Model CP2) and prosthetic-driven implants creating an excessive crown-to-implant ratio (Model PD2). A screw preload of 466.4 N and a buccal occlusal load of 262 N were applied. The contacts between the implant components were set to a frictional contact with a friction coefficient of 0.3.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and strain and maximum equivalent plastic strain were analyzed and compared, as well as volumes of the materials under specified stress and strain rang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st maximum von Mises stress in each model was 1091 MPa for CP2 and 1085 MPa for PD2. In the cortical bone, CP2 showed a lower peak stress and a similar peak strain. Besides, volume calculation confirmed that CP2 presented lower volumes undergoing stress and strain. The stresses in implant components were slightly lower in value in PD2. However, CP2 exhibited a noticeably higher plastic strain. CONCLUSION. Prosthetic-driven implant placement might biomechanically be more advantageous than bone quantity-based implant placement that creates a buccal cantil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