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Ether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5초

A Mechanistic Study on Reactions of Aryl Benzoates with Ethoxide, Aryloxides and Acetophenone oximates in Absolute Ethanol

  • 엄익환;오수진;권동숙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9호
    • /
    • pp.802-807
    • /
    • 1996
  • Second-order rate constants have been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for the reactions of aryl benzoates (X-C6H4CO2C6H4-Y) with EtO-, Z-C6H4O- and Z-C6H4C(Me)=NO- in absolute ethanol at 25.0 ℃. All the reactions have been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excess 18-crown-6 ether in order to eliminate the catalytic effect shown by alkali metal ion. A good Hammett correlation has been obtained with a large ρ- value (-1.96) when σ- (Z) constant was used for the reaction of p-nitrophenyl benzoate (PNPB) with Z-C6H4O-. Surprisingly, the one for the reaction of PNPB with Z-C6H4C(Me)=NO- gives a small but definitely positive ρ- value (+0.09). However, for reactions of C6H5CO2C6H4-Y with EtO-, correlation of log k with σ- (Y) constant gives very poor Hammett correlation. A significantly improved linearity has been obtained when σ0 (Y) constant was used, indicating that the leaving group departure is little advanced at the TS of the RDS. For reactions of X-C6H4CO2C6H4-4-NO2 with EtO-, C6H5O- and C6H5C(Me)=NO-, correlations of log k with σ (X) constants for all the three nucleophile systems give good linearity with large positive ρ values, e.g. 2.95, 2.81 and 3.06 for EtO-, C6H5O- and C6H5C(Me)=NO-, respectively. The large ρ values clearly suggest that the present reaction proceeds via a stepwise mechanism in which the formation of the addition intermediate is the RDS.

저에너지 충돌 탄뎀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올리고당의 연결부위 연구: 금속양이온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 (Linkage Positions of Oligosaccharides by Low Energy Collision Tandem Mass Spectrometry: Effect of the Addition of Metal Cations)

  • 육은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557-564
    • /
    • 1996
  • 각기 다른 양이온$(Na^+, Li^+, K^+, NH_4^+)$을 구조이성질체인 일련의 합성 올리고당에 첨가함으로써, 양이온의 결합정도가 올리고당의 연결위치에 따라 달라지리라는 것을 FAB CAD MS/MS(Fast Atom Bombardment Collision Activated Dissociation 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안정성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알카리 양이온화된(cationized) 올리고당들은 양성자화(protonated)된 형태보다 더 큰 안정성을 나타내어 -40 eV의 충돌 에너지 수중에서 연결부위와 작용기들이 분절된 스펙트럼형태를 보인 반면, 양성자화된 올리고당은 -10 eV에서 에서 같은 정도의 분절을 보였다. 첨가된 양이온 중, 칼륨 양이온이 첨가된 올리고당이 다른 것에 비해 안정화되어 triple quadrupole기종의 허용에너지 조건하에서는 분절이온을 생성하지 않는다. 다른 양이온화된 올리고당들은 충돌기체인 argon의 압력이 0.8mTorr 상태에서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Nap^+>Li^+>NH_4^+$순으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올리고당과 결합하는 금속양이온들은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아미노당에 위치하며, 이는 아미노당을 포함하는 분절이온마다 각 양이온에 해당하는 만큼의 질량이 이동된 분절피크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 가능하다. 또한 양이온화된 것이 양성자화된 것보다 더 큰 안정성을 지니는 이유는 금속 양이온과 아미노당의 N-acetyl 작용기 및 fucose의 산소 사이에 크라운에테르 형태의 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때 참여한 금속 양이온의 크기 및 연결위치-이성질 부분의 구조적 형태에 따라 결합정도의 차이를 보여 각기 다른 분절스펙트럼의 형태를 나타내며 안정성면에서도 1-6>1-4>1-3 연결위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Alkali Metal Ion Catalysis and Inhibition in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s of 3,4-Dinitrophenyl Diphenylphosphinothioate with Alkali Metal Ethoxides in Anhydrous Ethanol: Effect of Changing Electrophilic Center from P=O to P=S

  • An, Jun-Sung;NamKoong, Gil;Kang, Ji-Sun;Um, Ik-Hw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7호
    • /
    • pp.2423-2427
    • /
    • 2011
  • Pseudo-first-order rate constants ($k_{obsd}$) have been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for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s of 3,4-dinitrophenyl diphenylphosphinothioate 9 with alkali metal ethoxides (EtOM, M = Li, Na, K) in anhydrous ethanol at $25.0{\pm}0.1^{\circ}C$. The plot of $k_{obsd}$ vs. [EtOM] is linear for the reaction of 9 with EtOK. However, the plot curves downwardly for those with EtOLi and EtONa while it curves upwardly for the one with EtOK in the presence of 18-crown-6-ether (18C6). Dissection of $k_{obsd}$ into $k_{EtO^-}$ and $k_{EtOM}$ (i.e., the second-order rate constant for the reaction with dissociated $EtO^-$ and ion-paired EtOM, respectively) has revealed that the reactivity increases in the order $k_{EtOLi}$ < $k_{EtONa}$ < $k_{EtO^-}$ ${\approx}$ $k_{EtOK}$ < $k_{EtOK/18C6}$, indicating that the reaction is inhibited by $Li^+$ and $Na^+$ ions but is catalyzed by 18C6-crowned $K^+$ ion. The reactivity order found for the reactions of 9 contrasts to that reported previously for the corresponding reactions of 1, i.e., $k_{EtOLi}$ > $k_{EtONa}$ > $E_{EtOK}$ > $k_{EtO^-}$ ${\approx}$ $k_{EtOK/18C6}$,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changing the electrophilic center from P=O to P=S on the role of $M^+$ ions is significant. A four-membered cyclic transition-state has been proposed to account for the $M^+$ ion effects found in this study, e.g., the polarizable sulfur atom of the P=S bond in 9 interacts strongly with the soft 18C6-crowned $K^+$ ion while it interacts weakly with the hard $Li^+$ and $Na^+$ ions.

질소-산소 주개 거대고리 화합물-금속착물의 수용액에서의 안정도상수 (Stability Constants of Nitrogen-Oxygen Donor Macrocyclic Ligand-Metal Ion Complexes in Aqueous Solutions)

  • 김정;윤창주;박휴범;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9-127
    • /
    • 1991
  • 고리를 구성하는 원자의 수가 15개에서 18개인 디아자 크라운계의 고대고리 화합물인 1,12-diaza-3, 4 : 9, 10-dibenzo-5, 8-dioxacyclopentadecane(NtnOenH$_4$), 1,13-diaza-3,4 : 10,11-dibenzo-hydroxy-5,9-dioxacyclohexadecane(NtnOtnH$_4$), 1,13-diaza-3,4 : 10,11-dibenzo-15-hydroxy-5,9-dioxacyclohexadecane(Ntn(OH)OtnH$_4$), 1,15-diaza-3,4 : 12,13-dibenzo-5,8,11-trioxacycloheptadecane (NenOdienH$_4$) and 1,15-diaza-3,4 : 12,13-dibenzo-5,8,11-trioxacyclooctadecane(NtnOdienH$_4$)의 양성자화와 금속이온과의 착물 형성을 전위차적정법과 핵자기 공명법으로 연구하였다. 양성자화상수는 크라운 에테르의 염기도를 예측하는데 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거대고리 화합물의 염기도 순서는 NenOdienH$_4$ < Ntn(OH)OtnH$_4$ < NtnOenH$_4$ < NtnOtnH$_4$ < NtnOdienH$_4$였다. 염기도의 이와 같은 변화를 거대고리에 대한 치환기와 양성자화가 일어날 때의 고리의 비틀림 정도로 설명하였다. 금속이온과의 착물 형성에 대한 안전도상수는 전이금속이온에 대해서는 Co(II) < Ni(II) < Cu(II) < Zn(II)순이었으며, 중금속이온에 대해서는 Cd(II) < pb(II) < Hg(II)의 순이었다. 금속 착물 형성에 대한 이와 같은 안정도상수의 변화에는 Co(II), Ni(II) 및 Cu(II) 착물의 경우 리간드 고리의 크기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Zn(II), Cd(II), pb(II) 및 Hg(II) 착물의 경우에는 리간드의 염기도가 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후전이금속 착물에 대한 $^1$H와 $^{13}$C 핵자기공명 분광법에서는 고리의 질소원자가 산소원자보다 금속이온에 더 큰 친화력을 가짐을 알 수 있었고, 금속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때에 고리의 평면성이 상실되고 있음도 밝혀졌다.

  • PDF

Poly-ether-ketone-ketone (PEKK) 포스트로 수복한 근관 치료 치아의 정적 파절 저항성 및 파절 형태에 관한 평가 (Evaluation of static fracture resistances and patterns of pulpless tooth restored with poly-ether-ketone-ketone (PEKK) post)

  • 박하은;이철원;이원섭;양성은;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27-133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주조 금속 포스트, 기성 섬유강화형 포스트 그리고 치과영역에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재료인 polyetherketoneketone(PEKK)으로 제작한 포스트로 수복된 근관 치료 치아의 파절 강도 및 파절 양상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총 21개의 하악 소구치를 포스트 재료에 따라 각각 7개씩 3개의 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그룹 A는 주조 금속 포스트 코어; 그룹 B는 기성 섬유강화형 포스트 및 레진 코어; 그룹 C는 밀링된 PEKK 포스트 코어로 수복하였다. 모든 시편은 금속관으로 수복하였다. 각각의 시편들을 제작 후 만능 시험기를 사용하여 2 mm/min 속도로 치아 장축에 대해 135도의 정적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고, 파절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분석은 유의수준 ${\alpha}=.05$에서 Kruskal-Wallis test 후 사후검정으로 Mann-Whitney U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PEKK 포스트 파절 강도는 주조 금속 포스트와 기성 섬유강화형 포스트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파절양상에 있어서는 육안과 현미경, 방사선 사진을 통해 살펴본 결과 금속 포스트 코어에서는 치근파절의 양상이 대부분 나타난 반면 기성 섬유 강화형포스트는 포스트의 탈락이 주로 발생하였다. PEKK 포스트 코어의 경우 치아와 포스트가 함께 파절되는 양상이 주로 나타났다. 결론: 치관부 치질이 심하게 손상된 치아 수복 시 적절한 재료의 선택이 필요하며, PEKK 포스트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서는 강도 향상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