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bred Pig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s of dietary n-6: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ratio on growth performance, blood indexes, tissue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signaling related genes in finishing pigs

  • Chen, Jing;Cui, Hongze;Liu, Xianjun;Li, Jiantao;Zheng, Jiaxing;Li, Xin;Wang, Liya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5호
    • /
    • pp.730-739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n-6: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ratio on growth performance, blood indexes, tissue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gene expression in finishing pigs. Methods: Seventy-two crossbred ([Duroc×Landrace]×Yorkshire) barrows (68.5±1.8 kg) were fed one of four isoenergetic and isonitrogenous diets with n-6:n-3 PUFA ratios of 2:1, 3:1, 5:1, and 8:1. Results: Average daily gain,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gain-to-feed ratio had quadratic responses but the measurements were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quadratic, p<0.05).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interleukin 6 were linearly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of dietary n-6:n-3 PUFA ratio, while that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ended to decrease (p = 0.062),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atio and leptin concentration were linearly decreased (p<0.05). The concentration of serum adiponectin had a quadratic response but the measurement was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quadratic, p<0.05). The proportion of C18:3n-3 was linearly decreased (p<0.05) in the longissimus thoracis (LT)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SCAT) as dietary n-6:n-3 PUFA ratio increasing, while the proportion of C18:2n-6 and n-6:n-3 PUFA ratio were linearly increased (p<0.05).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lipoprotein lipase in the LT and SCAT, and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nd hormone-sensitive lipase (HSL) in the SCAT had quadratic responses but the measurements were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quadratic, p<0.05). The expression of HSL in the LT was linearly decreased (p<0.05) with increasing of dietary n-6:n-3 PUFA ratio. Conclusion: Dietary n-6:n-3 PUFA ratio could regulate lipid and fatty acid metabolism in blood and tissue. Reducing dietary n-6:n-3 PUFA ratio (3:1) could appropriately suppress expression of related genes in PPARγ signaling, and result in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n-3 PUFA deposition in muscle and adipose tissue in finishing pigs.

Administration of ketoprofen in postpartum sows to control the incidence of post-parturient disorders and improve piglet survival rate

  • Suwicha Jeeraphokhakul;Thanabat Theerakulpisut;Pitchapa Khampoomee;Jakkrit Chaiwangna;Preechaphon Taechamaeteekul;Natchanon Dumniem;Junpen Suwimonteerabutr;Padet Tummaruk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8호
    • /
    • pp.1293-1303
    • /
    • 2023
  • Objective: Inflammation and pain management in postpartum hyperprolific sows is currently an important animal welfare issue in the swine industr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effects of ketoprofen treatment on the incidence of post-parturient disorders, feed intake, colostrum yield, piglet colostrum intake, colostrum immunoglobulin G (IgG) and piglet mortality rate during the first 3 days of postnatal life. Methods: In total, 61 Danish Landrace×Yorkshire crossbred sows and their offspring (n = 833)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 The sow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wo groups: i) control (n = 31), sows were treated with tolfenamic acid 2 mg per kg for 2 days postpartum; ii) ketoprofen (n = 30), sows were treated with ketoprofen 3 mg per kg for 2 days postpartum. The farrowing process of the sows was monitored for 24 h daily, and data associated with farrowing were collected. Piglet colostrum intake, sow colostrum yield and colostrum IgG were determined. Results: During the first 3 days postpartum, the incidence of sows that had fever did not differ between control and ketoprofen groups (51.6% and 56.7%, respectively, p = 0.692). Piglet colostrum intake did not differ between control and ketoprofen groups (p = 0.736). However, the proportions of piglets that had inadequate colostrum intake were 71.3%, 22.6%, and 5.4% in those with birth weights of <1.0 kg, 1.0 to 1.29 kg, and ≥1.30 kg, respectively (p<0.001). The piglet mortality rate did not differ between control and ketoprofen groups (p = 0.808).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ketoprofen in postpartum sows for 2 days can control the evidence of post-parturient disorders in sows as effectively as the use of tolfenamic acid. No deleterious effect of ketoprofen was detected on sow colostrum yield, piglet colostrum intake and piglet mortality. Therefore, ketoprofen can be recommended as an alternative anti-inflammatory drug used in postpartum sows.

Effects of lysine concentration of the diet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with high slaughter weights

  • Tae-Whan Park;Eun-Yeong Lee;Yeunhae Jung;Yu Min Son;Sang-Hyon Oh;Doo-Hwan Kim;Chul Young Lee;Seon-Tea Joo;Jae-Cheol J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6호
    • /
    • pp.1242-1253
    • /
    • 2023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using a diet low in lysine content as a means for increasing the intramuscular fat (IMF) content and pork muscle quality of finishing pigs. Thirty-two crossbred gilts and barrows weighing approximately 80 kg were fed either a low-lysine diet (0.60%; Low-lys) or a control diet (0.80% lysine; Med-lys) under a 2 × 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The animals were slaughtered at a 132-kg body weight (BW) on average, followed by physicochemical analyses and sensory evaluation on Longissimus lumborum (LL) and Semitendinosus (ST) muscles. The average daily gain (ADG) did not differ between the Med-lys and Low-lys groups. However, ADG exhibited a tendency of sex × diet interaction (p = 0.09), being greater for barrows vs. gilts on the Low-lys diet (p < 0.05), but not on the Med-lys diet. Backfat thickness adjusted for 132-kg BW also exhibited the interaction; it was greater for the Low-lys vs. Med-lys group within gilts but tended to be less for the former in barrows (p = 0.08). The IMF content was not influenced by the diet or sex in either LL or ST. The a*, b*, and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influenced by the sex or diet in either or both of the muscles, but the treatment effects did not apparently influence the meat quality. Sensory scores for the flavor, juiciness, tenderness, umami, and palatability of cooked muscle were not influenced by the diet in either LL or ST. When the LL and ST data were pooled, scores for those sensory attribut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MF content, which was associated with overall greater IMF contents and greater sensory scores for ST vs. LL. Collectively, the Low-lysine diet seemingly elicited the intended lysine deficiency in gilts as indicated by the increased BFT due to the diet. However, the Low-lys diet was not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IMF deposition or eating quality of the pork muscle of finishing pigs slaughtered at high BW probably because its lysine content was not low enough to elicit either outcome.

Supplementation of protease and different nutrient density diets in growing-finishing pigs

  • Sehyun Park;Jihwan Lee;Won Yun;Seokman Hong;Hanjin Oh;Dongcheol Song;Seyeon Chang;Jaewoo An;Hyunah Cho;Kyeongho Jeon;Jinho C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2호
    • /
    • pp.326-339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tease supplementation and different nutrient density of diets in growing-finishing pigs. A total of one hundred-eight crossbred growing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18.74 ± 3.46 kg) were used for 15 weeks. Pig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dietary treatments with 6 replicates of 3 pigs per pen in a 3 × 2 factorial through the following arrangement: Three groups of protease (1, Basal diets; 2, Protease A: 125 mg/kg protease derived from Streptomyces sps; 3, Protease B: 100 mg/kg protease derived from Bacillus licheniformis) at two different nutrient density diets (1, Basal requirement; 2, 0.94%-0.98% higher than requirement in dietary protein and 50 kcal/kg in energy). High nutrient (HN) diets showed higher average daily gain (ADG) (p < 0.05)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crude protein (CP) (p < .0001) compared to basal nutrient (BN) diets during growing periods. Supplementation of protease showed higher BW (p < 0.05) and ADG (p < 0.05) compared to non-supplementation of protease during growing periods. Also, supplementation of protease showed higher ATTD of CP (p < 0.01), ATTD of gross energy (p < 0.05) and decreased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 (p = 0.001) compared to non-supplementation of protease during finishing periods. Pigs which fed the protease showed decreased ammonia (NH3) emissions (p < 0.05) during experiment periods and decreased hydrogen sulfide (H2S) emissions (p < 0.01) during finishing periods. Interactions between nutrient density and protease were observed, which decreased the feed conversion ratio (p < 0.05) in HN diets without protease compared to BN diets without protease during weeks 4 to 6. Also, interaction between nutrient density and protease was observed, which resulted in improved ATTD of CP (p < 0.01) in response to PTA supplementation with HN diets during the finishing period.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protease reduces NH3 in feces and BUN in whole blood by increasing the digestibility of CP and improves growth performance. Also, diets with high nutrient density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ing periods.

Effects of single and complex probiotics in growing-finishing pigs and swine compost

  • Kyeongho Jeon;Minho Song;Jihwan Lee;Hanjin Oh;Dongcheol Song;Seyeon Chang;Jaewoo An;Hyunah Cho;Sehyun Park;Hyeunbum Kim;Jinho C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4호
    • /
    • pp.763-780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pplement single and complex probiotic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growing-finishing pigs and compost. In experiment 1, the 64 crossbred ([Landrace × Yorkshire] × Duroc) pig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18.75 ± 0.33 kg and a birth of 63 days were assigned to a completely randomized four treatment groups based on the initial body weight (4 pigs in a pen with 4 replicate pens for each treatment). For 13 week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provided: 1) Control (CON; basal diet), 2) T1 (CON + 0.2% Bacillus subtilis), 3) T2 (CON + 0.2% Saccharomyces cerevisiae), 4) T3 (CON + 0.2% Bacillus subtilis + 0.2% Saccharomyces cerevisiae). In experiment 2, the pig manure was obtained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swine farm. For 12 weeks, the supplementary treatments were provided: 1) CON, non-additive compost; 2) T1, spray Bacillus subtilis 10 g per 3.306 m2; 3) T2, spray Bacillus subtilis 40 g per 3.306 m2; 4) T3, spray Saccharomyces cerevisiae 10 g per 3.306 m2; 5) T4: spray Saccharomyces cerevisiae 40 g per 3.306 m2; 6) T5, spray Bacillus subtilis 5 g + Saccharomyces cerevisiae 5 g per 3.306 m2; 7) T6, spray Saccharomyces subtilis 20 g + S. cerevisiae 20 g per 3.306 m2 and there were 6 replicates each treatment. In experiment 1, During the overall experimental period, T3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p < 0.05) feed conversion ratio and average daily gain compared to other groups. In average maturity score, T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 < 0.05) than other groups. Supplementing complex probiotics group improved (p < 0.05) H2S emissions and fecal microflora compared to the non-supplementing group. In experiment 2, additive probiotics groups had no effect (p > 0.05) on moisture content than the non-additive group at 9 and 12 weeks. T6 showed a significantly improved (p < 0.05) average maturity score at all periods and ammonia emissions at 1 week and 4 weeks compared to other groups. In summary, supplementation complex probiotics induced positive effects on both pigs and compost.

유당 대체제로서 쌀 가공품의 수준별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능력, 설사빈도 및 분내 대장균과 휘발성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Extruded Rice Product as Alternative to Lactose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Score, Fecal E.coli and VFA in Weaning Pigs)

  • 김광호;최영환;용홍봉;주원석;손성훈;오희경;김유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819-830
    • /
    • 2008
  • 본 시험은 쌀 가공품의 수준별 급여 시 유당 대체제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자돈의 성장 능력과 설사빈도, 분내 대장균과 휘발성 지방산 조성 등을 통해 검증하였다. 5주간의 사양시험에서는 처리구간 체중,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쌀 가공품을 유당을 대체하여 6%까지 첨가하였을 때 일당증체량과 일당사료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 가공품의 첨가에 의한 설사빈도에 있어서는 L6 처리구의 설사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간 수치상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분 내 대장균 수 비교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쌀 가공품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분 내 대장균의 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P<0.05). 분 내 미생물 대사산물인 휘발성 지방산 농도 비교에서는 L6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acetate와 propionate, butyrate가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각 처리구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시험을 통해 이유자돈 사료 내 유당 대체제로서 쌀 가공품의 첨가는 이유자돈의 성장능력을 향상시키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설사빈도 및 분변 내 대장균 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을 통해 급등하는 유제품의 가격과 품질을 고려할 때 쌀 가공품의 6% 대체는 자돈사료비 절감을 통한 생산비 절감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원료사료 수입에 따른 외화절약 및 양돈 농가의 경제적 이득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유당을 쌀 가공품으로 대체 가능한 최대 적정 비율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실험은 유익한 일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돈육 등심의 육색과 보수력 측정치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s of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in Pork Loin)

  • 문상훈;정진연;김갑돈;조인철;전진태;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329-336
    • /
    • 2009
  • 본 실험은 돈육의 육색과 보수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동일한 품종(Landrace $\times$ Jeju native black pig, $F_2$), 동일한 사양방법, 동일한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419두의 등심을 시료로 이용하여 사후 24시간에 육색, 보수력, 일반성분 및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측정치들은 큰 변이를 보여 시험군의 돈육질의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육색측정치 중 명도가 육즙손실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hue(h) 값과 황색도도 육즙손실과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적색도와 Chroma는 육즙손실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육즙손실을 추정하는데 CIE $L^*$, $a^*$, $b^*$ 체계보다 CIE $L^*$, $b^*$, h 체계가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명도 단독으로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27% 밖에 되지 않아 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hue 값과 황색도를 포함한 다중회귀 방정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pH도 명도와 육즙손실과 유의적으로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pH 단독으로 명도와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각각 44% 및 17%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pH 단독으로 육색과 보수력을 동시에 고려하는 돈육질을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동일한 품종, 사양방법,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돈육이라도 육색과 보수력의 큰 변이로 돈육질의 변이도 크게 나타나며, 비록 명도, 육즙손실 및 pH가 상호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단독으로 돈육질의 추정에 이용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사료된다.

이유자돈, 육성돈 및 비육돈에 있어 게르마늄흑운모의 급여 효과 (Effects of Dietary Germanium Biotite in Weaned, Growing and Finishing Pigs)

  • 권오석;김인호;홍종욱;이상환;정연권;민병준;이원백;손경승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55-368
    • /
    • 2003
  • 시험 1은 게르마늄흑운모를 자돈 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자돈의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 15.09$\pm$0.18kg의 3원 교잡종 자돈 60두를 공시하여 28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무첨가구 (CON; basal diet),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0.1%(GB0.1), 0.3%(GB0.3), 0.6%(GB0.6), 1.0% (GB1.0) 첨가구로 5개 처리로 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 2는 육성돈 사료내 게르마늄흑운모의 항생제 대체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이 32.47$\pm$0.90kg인 3원 교잡종 육성돈 54두를 공시하여 35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에 항생제 무첨가구(NC; basal diet), 항생제 첨가구 (PC; basal diet + 200ppm CTC), 게르마늄흑운모를 0.3% 첨가구(GB0.3; basal diet + 0.3% germanium biotite)의 3개 처리로 하였다.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 있어서 NC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PC 처리구와 GB0.3 처리구의 성장율이 각각 17%(385 vs 451, g/d), 14% (385 vs 438, g/d) 높았다(P<0.05).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PC 처리구와 GB0.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GB0.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0.323 vs 0.332)(P<0.05). 외관상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PC 처리구와 GB0.3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시험 3은 비육돈 사료내 게르마늄흑운모의 첨가가 성장, 영양소 소화율, 혈장 성상, 등지방 두께 그리고 분내 암모니아 가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이 78.65$\pm$1.32kg인 비육돈 72두를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무첨가구 (CON; basal diet), 기초사료에 게르마늄흑운모 1.0% (GB1.0), 3.0% (GB 3.0) 첨가구로 3개 처리로 하였다.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서는 GB1.0 처리구가 대조구와 GB3.0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0.05),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GB3.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0.05).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GB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P<0.05). 혈장내 Total-cholesterol 함량 변화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게르마늄흑운모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또한, LDL+ VLDL-cholesterol 함량 변화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게르마늄흑운모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장내 HDL-cholesterol 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게르마늄흑운모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등지방 두께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GB1.0 처리구가 5.4% (27.19 vs 25.71mm)의 감소를 보였고, GB3.0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16.1% (27.19 vs 22.81mm)로 유의적인 감소하였다 (P<0.05). 게르마늄흑운모의 분내 암모니아 가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GB1.0 처리구가 64.1% (17.00 vs 6.10mg/kg), GB3.0 처리구가 61.8% (17.00 vs 6.50mg/kg)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결론적으로, 양돈사료내 게르마늄흑운모를 첨가하였을 경우, 자돈에 있어서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며, 육성돈에 있어서는 항생제 대체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비육돈 사료내 게르마늄흑운모의 첨가는 비육돈의 성장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혈중 Total‐및 LDL+VLDL-chole- sterol 함량을 감소시키며, HDL-cholesterol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등지방 두께가 감소되며, 분내 암모니아 가스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수화물 분해 복합효소제와 미생물 파이테이즈의 첨가가 육성돈의 생산성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arbohydrase Enzyme Complex and Microbial Phytase Supplementation on Productiv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 심영호;채병조;이지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69-576
    • /
    • 2003
  • 본 연구는 영양소 수준을 낮춘 옥수수-대두박 기초 사료내 $\alpha$-galactosidase와 galactomannanase를 함유한 탄수화물 분해 복합효소제 (ENDO- POWER$^{\circledR}$)와 미생물 파이테이즈 (Natuphos$^{\circledR}$) 의 개별첨가 혹은 동시첨가가 육성돈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및 체중 증체 당 사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평가하고자 실시 되었다. 개시 체중 29.1$\pm$0.14 kg의 육성돈 48두를 공시하여 28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4처리를 두었으며, 처리당 3반복 반복당 4두의 육성돈이 완전임의 배치 되었다. 시험 처리는 1) CON (대조구), 2) LP+NTPS (대조구 사료에서 유효인 함량을 0.15% 단위 낮춘 사료에 미생물 파이테이즈 (Natuphos$^{\circledR}$) 0.1% 첨가 (500 FTU/kg 사료), 3) LEL+ENP (대조구 사료에서 대사에너지와 라이신 함량을 대조구 사료 대비 각각 3% 낮춘 사료에 탄수화물 복합효소제 (ENDP-POWER$^{\circledR}$) 첨가) 및 4) LPEL+ENZ (대조구 사료에서 대사에너지와 라이신 함량을 대조구 사료 대비 각각 3% 낮추고 유효인 함량을 0.15% 단위 낮춘 사료에 미생물 파이테이즈 0.1%와 탄수화물 복합효소제 0.1%를 각각 첨가)를 두었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동안 (28일), 일당 증체량 (ADG), 일당사료섭취량 (ADFI) 및 사료요구량 (Feed/gain)은 사료처리구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그러나 저 영양소 수준 사료에 파이테이즈와 탄수화물 복합효소제의 개별적 혹은 동시 첨가는, 대조구에 비해, 시험 전기간에 걸쳐 사료효율을 다소 개선 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건물, 조단백질 및 칼슘 소화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총 에너지 소화율에 있어서는 LEL+ENP 처리구와 비교해 볼 때, LP+NTPS와 LPEL+ENZ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p<0.05). 건물 배설량은 LPEL+ENZ 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며, 칼슘과 인 배설량은 LP+NTPS구가 가장 낮았다(p<0.05). 사양시험 기간동안 소요된 전체 사료비용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볼 때, 효소제 첨가 시 낮았으며, 특히 1 kg 증체 하는데 필요한 사료비용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LP+NTPS, LEL+ENP, LPEL+ENZ가 각각 3.5% (609.1 vs. 588.3 원/kg), 13.8% (609.1 vs. 535.3원/kg), 12.4% (609.1 vs. 541.9 원/kg)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 결과는 옥수수-대두박 위주 육성돈 사료에 유효인, 에너지 및 라이신 함량을 낮추고 파이테이즈와 탄수화물 분해 복합 효소제를 첨가 시 육성돈의 성장에는 유해한 영향 없이 영양소 배설량을 감소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양돈 생산비를 감소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판단된다.

사료내 유기산제 및 항생제의 혼합첨가가 육성돈의 성장과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ganic Acid and Antibiotics Mixture on Growth Performances and Blood Metabolites in Growing Pigs)

  • 이철호;조익환;손중천;이성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7-251
    • /
    • 2009
  • 본 시험은 돼지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던 항생제를 대체하기 위한 유기산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후 79일령, $32{\sim}33kg$ 범위의 일대 잡종(Large White${\times}$Landrace) 돼지 25두에 항생제 무첨가사료(대조구)와 대조구 사료에 각각 Chlortetracycline(CTC) 100mg/kg을 첨가한 사료(T1), CTC 100mg/kg과 $Acidomix^{(R)}$ (formic acid 25%, sorbic acid 10%, fumaric acid 10%)를 0.1% 첨가한 사료(T2), $Acidomix^{(R)}$를 0.1% 첨가한 사료(T3), $Acidomix^{(R)}$를 0.3% 첨가한 사료(T4)의 5개 처리로 구분하여 급여한 다음 생산성과 혈액성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육성전기 돼지의 일당증체량은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평균 일당증체 량은 T4구 > T2구 > T1구> T3구 > 대조구 순으로 낮아졌다. 특히 T4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p<0.05) 다음으로 CTC 또는 $Acidomix^{(R)}$를 첨가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다. 사료요구율의 경우에도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높아졌고 평군 사료요구 율은 T4구 < T3구 < T2구 < T1구 < 대조구의 순서로 높아져 T4구와 T3구의 사료요구율이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 및 처리구 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내의 요소태 질소(BUN), cholesterol, triglyceride, total lipid함량은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비교적 정상 수치에 근접한 결과로 개체간의 차이로 판단되며 유기산 또는 항생제의 급여가 혈액성상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유기산제의 첨가가 대조구 혹은 항생제 첨가구 보다 육성전기 돼지에 있어서 일당증체량을 증가시키고 사료요구율은 낮아져 유기산제에 의한 돼지의 성장촉진 및 사료요구율의 개선효과가 나타남으로써 항생제의 대체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