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Strait Relation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 이후 양안관계 전망 (Prospects of cross-strait relaions after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 김원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61-168
    • /
    • 2023
  • 최근 중국과 대만관계가 위기를 맞으며 미중관계 및 동북아 지역 구도도 크게 흔들리고 있기에 우리는 양안관계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이 연구는 제20차 당대회의 '정치 보고'와 지도부 인사에 대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시진핑의 대만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양안관계가 당대회 이후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전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당대회 폐막 후 발표한 당헌 수정안에 무력침공의 가능성을 명기했듯이, 시진핑은 통일에 방점을 둔 강경한 대만정책을 펼칠 것이다. 둘째, '정치 보고'의 제2장, 11장, 13장, 14장 내용과 외교·안보 지도부 인사를 분석할 때 향후 미국과의 전략적 경쟁은 계속 심화될 것이다. 이에 따라 양안관계도 상당 기간 불안정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대만이 '일국양제'라는 통일방안을 거부하고 탈중국화 경향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기존의 '반국가분열법'을 세부적으로 강화하는 법제화나 구체적인 시행령이 제정될 가능성이 있다. 넷째, 대만문제에 간섭하는 외부세력과 대만독립 세력에게는 강경한 대응을 할 것이고, 통일에 우호적인 국민당과 대만인들에게는 유인책을 구사하는 등 강온 양면전략이 함께 구사될 것으로 전망된다.

홍콩문제가 양안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ong Kong Problems on Cross Strait Relationship)

  • 김원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95-105
    • /
    • 2020
  •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홍콩문제란 1997년 7월 1일 홍콩의 중국 반환 이후 중국 정부가 홍콩에 대해 취한 여러 가지 조치와 정책들과 이에 대해 홍콩인들이 보여주었던 저항과 반발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말한다. 중국 정부는 반환 이후 홍콩에 대한 직접적 지배를 강화하는 정책을 전개했고, 2020년 6월 30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홍콩국가보안법(이하 '홍콩보안법')을 통과시켰다. 본 연구는 홍콩문제가 양안관계에 미칠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일국양제' 정책의 적용문제, 양안의 통일문제, 그리고 홍콩의 민주화 문제 등을 함께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홍콩보안법' 통과 이후 중국이 대만과의 통일에 적용하려고 했던 '일국양제' 원칙은 큰 시험대에 들것이고, 양안관계와 미·중 관계가 매우 악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향후 동북아 지역을 중심으로 긴장관계가 빠르게 조성될 것이며, 이에 대해 우리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대비해야 할 것이다.

Comparison of the Democratic Concepts of the People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Support and Understanding

  • Wu, Hsin-Che;Xiao, Lo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3-24
    • /
    • 2021
  • Through an empirical comparative analysis, we found that people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demonstrate strong similarities in their support for democracy, based on democratic suitability, efficiency, preference, and priority.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beliefs about democratic values. Compared to people in mainland China, the Taiwanese have a deeper and more widely shared belief in the principles of participation and pluralism, while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beliefs in the principles of equality, freedom, and checks and balances are narrow. Furthermore, people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have a strong similarity in their understanding of democracy, that is, they all present a mixed democratic understanding based on substantive bias. Overall, although the differences between mainland China and Taiwan's democratic practices are reflected in the level of value ident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support and democratic understanding, the popular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still has a relatively broad consensus. Thus,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cross-strait relations not only has an increasingly profound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 but also considerable consensus and mass support on the political and cultur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