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 Efficiency Scor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경부 및 체간 상부 근막이완기법 적용이 만성 경부통 환자의 통증, 불면증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of Myofascial Release of Neck and Upper Trunk on the Pain, Insomnia and Sleep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 배경;박세진;천승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3-52
    • /
    • 2021
  • Purpose : Chronic neck pain negatively impacts the quality of life and causes various problems in daily life due to pain, insomnia, and sleep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this condition.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in rehabilitation and physical therapy are being introduced; however, the evidence of the efficacy of myofascial release (MFR)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ying MFR on pain, insomnia, and sleep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Methods : Te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were randomly selected and group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n1 = 10) and control group (n2 = 10) by cross-over design. Pai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MFR intervention. Moreover, insomnia was measured only after MFR intervention. Polysomnography was performed after MFR intervention.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for the visual analog scale (VA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separately performed to measure insomnia and sleep. Results : After MFR intervention, the VA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 = 0.005)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 = 0.002). The insomnia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 = 0.001). The total sleep time (p = 0.001), sleep efficiency (p = 0.001), and sleep latency (p = 0.001)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lysomnographic measurement. Conclusion : The application of MFR of the neck and upper trunk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pain, insomnia, and sleep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It was also suggested that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polysomnography can be used more often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and physical therapy.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detection for plant regeneration ability from seed culture in rice (Oryza sativa L.)

  • Liu, Meihan;Sohn, Jae-Ke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69-174
    • /
    • 2012
  •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which were related to the ability of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seed culture of rice, were analyzed using a mapping population from a cross between the rice cultivars 'Samgang' (tongil type) and 'Nagdong' (japonica). A tongil type rice cultivar, 'Samgang' showed lower frequency (20%) of plant regeneration than that (35%) of japonica rice, 'Nagdong'. Transgressive segregations were observed for the ability of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the seed-derived calli of 58 doubled haploid (DH) lines. The ability of plant regeneration of 58 doubled haploid lines showed a continuous distribution with comparatively wide range (10.0 to 66.7%) of variation. Composite interval mapping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QTLs controlling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ability. Four significant QTLs, qCWS6, qCWS8, qCWS9 and qCWS11, associated with callus weight per seed were detected on chromosomes 6, 8, 9, and 11 with LOD values of 3.30, 2.60, 2.70 and 2.43, explaining 36%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Three significant QTLs, qPR1, qPR6, and qPR11, for the ability of plant regeneration were located on chromosome 1, 6, and 11 at LOD score of 2.25, 2.15 and 2.55, accounting for 24 %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The present study should be useful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lant regeneration in tissue culture of indica rice by means of marker-assisted selection.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불안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 황선경;이윤지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8-52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With a cross-sectional survey, a convenience sampling of 303 nursing students was taken from P-university in Y-city. The instrument for the study was a questionnaire that is consist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 (IAS) and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version 21.0.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IAS was $41.89{\pm}8.74$ and the GICC was $3.51{\pm}0.34$. Communication competence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 satisfaction of major (F=10.86, p<.001).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communication competence (F=17.52, p<.001) and social anxiety (F=23.85, p<.001). Social anxie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r=-.48, p<.001). Social anxiety accounted for 55.3% of the variance -social relaxation (${\beta}$=-.62), assertiveness (${\beta}$=-.18), interaction management (${\beta}$=.14) and efficiency (${\beta}$=-.13)- of communication competence's subcategories.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has an influence on social anxiety. Therefore,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promote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a decline of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다기준 평가항목간 중복도를 반영한 AHP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or Solving Dependence Relation between Multicriteria)

  • 송기한;홍상연;정성봉;전경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5-22
    • /
    • 2002
  • 교통 사업이 사회적 이익과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비용/편익 분석 등과 같은 단일기준에 의한 평가만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단일기준 평가 기법은 정성적인 항목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어서, 다양한 계층의 이해관계를 적절히 해결하지 못해왔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Saaty는 다기준 평가기법의 일종인 AHP 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개발했다. AHP 기법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평가항목과 대안 간의 가중치를 구하고. 이들을 선형 결합한 총합으로 대안을 평가한다. 이 과정에서 AHP 기법은 여러 평가항목의 관계가 독립적이라는 강한 가정을 하지만, 실제로는 평가항목 간에 완전히 독립적인 관계가 성립하기는 어렵다. 또한 전문가로 구성된 설문 대상자가 각각 느끼는 중복도의 크기도 같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항목 간의 중복도 문제를 개선한 AHP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우선 중복도를 산정하기 위해 설문 대상자들이 느끼는 평가항목간의 중복도를 평가항목의 가중치에 반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3가지 모형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기존 AHP 기법의 가중치 산정 단계에서 결과를 보정하는 모형이다. 두 번째는 평가항목 간의 교차 가중치를 두 평가항목에 일정한 비율로 배분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교차 가중치를 Fuzzy 측도인 Bel과 Pl을 사용하여 두 평가항목에 배분하는 모형이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ulcorner$철도도심통과구간 개선사업$\lrcorner$에 실제로 적용하여 보았다.문제가 존재하나 모델추정 티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P 방법을 사용한 데이터를 분석할 경우 다중응답의 문제(Repeated Measurement Problem)를 분석하는 절차를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 만약 단순한 모델링기법의 추정치가 다중응답의 문제로 인해서 영향을 받았다면 반드시 모델링 추정치를 보정하여야 한다.는 규모가 큰 평수일수록 소음 IdB증가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본 논문에서 도출된 교통소음의 가치를 교통시설의 타당성 평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기 위해서 두 가지 검증방법을 이용하였다. 첫째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것이고, 둘째는 실제 주행조사 분석을 이용한 것이다. 두 가지 검증 결과는 알고리즘 정확도를 보여준다. 창출을 위한 범정부차원의 기획과 연구비의 집중투자를 추진하고 있다.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차원축소를 활용한 해외제조업체 대상 사전점검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Preliminary Inspection Prediction Model to select the on-Site Inspected Foreign Food Facility using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 박혜진;최재석;조상구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121-142
    • /
    • 2023
  • 수입식품의 수입 건수와 수입 중량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식품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수입식품의 안전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통관단계의 수입검사와 더불어 통관 전 단계인 해외제조업소에 대한 현지실사를 시행하고 있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한정된 자원 등의 제약으로 데이터 기반의 수입식품 안전관리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지실사 전 부적합이 예상되는 업체를 사전에 선별하는 기계학습 예측 모형을 마련하여 현지실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식품안전정보망에 수집된 총 303,272건의 해외제조가공업소 기본정보와 2019년도부터 2022년 4월까지의 현지실사 점검정보 데이터 1,689건을 수집하였다. 해외제조가공업소의 데이터 전처리 후 해외 제조업소_코드를 활용하여 현지실사 대상 데이터만 추출하였고, 총 1,689건의 데이터와 103개의 변수로 구성되었다. 103개의 변수를 테일유(Theil-U) 지표를 기준으로 '0'인 변수들을 제거하였고, 다중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을 적용해 축소 후 최종적으로 49개의 특성변수를 도출하였다. 서로 다른 8개의 모델을 생성하고, 모델 학습 과정에서는 5겹 교차검증으로 과적합을 방지하고, 하이퍼파라미터를 조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현지실사 대상업체 선별의 연구목적은 부적합 업체를 부적합이라고 판정하는 확률인 검측률(recall)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머신러닝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Recall_macro, AUROC, Average PR, F1-score, 균형정확도(Balanced Accuracy)가 가장 높은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모델이 가장 우수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모델에 의해서 평가된 개별 인스턴스의 부적합 업체 선정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을 적용하고 현지실사 업체 선정 시스템에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위험관리 모델을 통해 수입식품 관리체계의 구축으로 인력·예산 등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운영방안 마련에 기여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