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eping bentgrass(Agrostis stolonifera 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Seed longevity of glyphosate resistant transgenic creeping bentgrass (Agrostis stolonifera L.) lines

  • Hancock, Daniel;Park, Kee Woong;Mallory-Smith, Carol 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437-442
    • /
    • 2015
  • Studies to estimate seed longevity and dormancy of creeping bentgrass (Agrostis stolonifera L.) were conducted from 2000 to 2005 at Corvallis and Hermiston, Oregon. Seeds from three transgenic glyphosate resistant creeping bentgrass lines, 48-10, 48-13, and ASR368, and one non-transgenic glyphosate susceptible line, SR1020, were used. Creeping bentgrass seeds were buried at 3, 18 and 31 cm in 2000 and removed 6, 12, 18, 24, and 51 months later. Soil type and climatic conditions were different at the two locations. At Corvallis, the soil was a Malabon silty clay loam, and the winters wet and mild. The soil at Hermiston was an Adkins fine sandy loam, and winters drier and colder. Seeds of all creeping bentgrass lines deteriorated faster at Corvallis than at Hermiston. The estimated half-lives of creeping bentgrass lines buried at Corvallis were 8.4 to 20.2 months, while those buried at Hermiston were 8.4 to 37.7 months. At both sites, seeds of the glyphosate resistant lines, 48-10 and 48-13, deteriorated faster than the susceptible line, SR1020. However, seed deterioration in the resistant line, ASR368, was slower than all other creeping bentgrass lines. Based on the germination test, exhumed intact seeds at Corvallis were more dormant than those at Hermiston. If buried, it could be expected that viable creeping bentgrass seeds will persist more than 4 years after the seeds are introduced to a site, but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influence both seed longevity and dormancy.

생명공학 벤트그라스 개발 (Recent advances in the development of biotech bentgrass)

  • 황옥진;김정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327-335
    • /
    • 2009
  • Creeping bentgrass (Agrostis stolonifera L.) is economically important as the principal turfgrass species for golf course greens and fairways in temperate climates around the world. As the utilization area of the turfgrass species increases recently, the demand for new and improved cultivars increases. Thus, substantial progress has been made in applying modern biotechnology to develop genetically engineered (i.e., biotech) creeping bentgrass with new traits that eluded the breeders. This review article addresses the advances made in developing biotech creeping bentgrass, which are categorized in the following topics: (i) genetic transformation of creeping bentgrass, (ii) development of various biotech creeping bentgrasses by genetic engineering, and (iii) progresses in the deregulation of herbicideresistant creeping bentgrass.

Antisense expression of a staygreen gene (SGR) delays leaf senescence in creeping bentgrass

  • Hwang, Ok-Jin;Han, Yun-Jeong;Paek, Nam-Chon;Kim, Jeong-Il
    • Rapid Communication in Photoscience
    • /
    • 제3권2호
    • /
    • pp.28-31
    • /
    • 2014
  • Loss of chlorophyll is the visible symptom of leaf senescence and staygreen refers to the delayed leaf senescence in plants. The staygreen gene (SGR) in rice (Oryza sativa L.) has been identified as its mutation maintains greenness during leaf senescence, and encodes a chloroplast protein required for the initiation of chlorophyll breakdown in plants. In this study, we isolated a rice SGR-homologous gene in creeping bentgrass (Agrostis stolonifera L.), and transgenic creeping bentgrass plants were obtained by introducing pCAMBIA3301 vector harboring antisense SGR gene under control of the senescence-specific SAG12 promoter. Transgenic plants were selected by herbicide resistance assays and genomic integration of the transgenes was confirmed by PCR analysis. Subsequent analyses demonstrated the staygreen phenotype of the transgenic creeping bentgrass plants with decreased chlorophyll loss during leaf senesc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sense SGR expression in creeping bentgrass delays leaf senescence, which provides a way to develop genetically engineered turfgrass varieties with the commercially useful staygreen trait.

Creeping bentgrass에 침입된 Kentucky bluegrass 회복을 위한 Mesotrione과 Kentucky bluegrass 덧파종 효과 (Mesotrione and Seeding Rate Effects to Recover Kentucky Bluegrass Contaminated by Creeping Bentgrass)

  • 이상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64-68
    • /
    • 2012
  • Creeping bentgrass 는 골프장의 티나 퍼팅그린 그리고 경기장과 같이 집중관리가 요구되는 곳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잔디의 종류중 하나이기도 하지만 Kentucky bluegrass에 침입하는 방제하기 어려운 잡초이기도 하다. Mesotrione은 선택성 제초제이며 처음에 옥수수를 위해 등록이 되었으며, 광엽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발아전 혹은 발아후 제초제로 이용이 되고 있다. Mesotrione가 creeping bentgrass를 방제하기 위한 효과는 많은 선행연구에 의해 보고가 되어 왔다. Mesotrione이 creeping bentgrass 방제에 효과가 있어도 방제가 된 후 피해가 발생한 곳의 회복은 Kentucky bluegrass의 지하부와 rhizome 등에 의해 회복되기 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덧파종은 일반적으로 피해를 입은 곳을 회복 시키거나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용이 된다. 실험의 목적은 mesotrione과 덧파종이 Kentucky bluegrass에 침입한 creeping bentgrass를 방제하고 회복하기 위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이 되었다. 0, 0.05 and 0.10 m $ml^{-2}$의 세가지 mesotrione농도와 15와 30 g $m^{-2}$ 두가지의 Kentucky bluegrass 덧파종량의 총 6가지 처리가 적용이 되었다. Mesotrione과 Kentucky bluegrass 덧파종을 동시에 처리 하는 것은 creeping bentgrass 방제에는 효과가 있으나 Kentucky bluegrass 회복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Creeping bentgrass방제 효과는 mesotrione의 처리에 의한 것이며 덧파종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Mesotrione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본 실험결과 $20^{\circ}C$ 이상일 때가 더 효과가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규산 및 칼리 시비에 따른 벤트그래스 생육 및 내답압성 반응 (Growth and Wear Tolerance of Creeping Bentgrass as Influenced by Silica and Potassium Fertilization)

  • 김용선;김기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6-122
    • /
    • 2012
  • 본 연구는 규산과 칼리 시용이 골프장 그린용 크리핑 벤트그래스 잔디의 생육과 품질 그리고 내답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먼저 규산과 칼리 시용에 따른 잔디반응을 살펴보기 위해서 필드조건에서 잔디품질, 뿌리길이, 잔디밀도와 건물중을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답압빈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잔디생육(뿌리길이, 잔디밀도, 건물중)과 잔디품질 및 토양경도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30일간의 답압처리조건에서 규산과 칼리의 내답압성 시비효과를 평가하였다. 규산 및 칼리 처리에 따른 잔디뿌리생육에 있어서 규산을 증가함에 따라 뿌리길이가 증가하였다.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답압빈도에 따른 잔디품질은 1일 2회 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7회 처리구는 무답압 처리구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15회 이상 답압 처리구는 잔디품질이 월등히 저하하였다. 30일간의 답압처리시 규산 및 황산칼리의 시비효과는 잔디품질 향상 및 뿌리생육 증진효과가 있었다. 규산과 칼리를 처리하였을 때 잔디품질이 대조구보다 각각 6.38%, 10.25% 상승하였으며 규산과 칼리를 혼용 살포하였을 때 가장 잔디품질이 좋았다. 잔디 뿌리길이는 규산을 살포하였을 때 가장 길었으며 대조구보다 11.4%가 길었다. 따라서 답압이 예상되는 골프장 그린용 벤트그래스에서 잔디의 내답압성 증진을 위해서는 규산과 칼리의 시비가 효과적이었다.

Creeping Bentgrass의 생육을 위한 예지물 발효 액상비료의 효과 (Effects of Liquid Fertilizer Produced from Fermented Clippings for Creeping Bentgrass Growth)

  • 김상준;김두환;이상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2-207
    • /
    • 2011
  • 유기질비료(Organic fertilizer)는 천연유기질(Natural organic) 비료와 합성유기질(Synthetic organic) 비료로 구분이 된다(Christians, 2011). 천연유기질비료의 장점은 그동안의 선행 연구를 통해서 많이 보고되어왔다. 그러나 예지물을 이용한 시비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예지물을 발효시켜 제조된 천연유기질비료로서의 액상비료가 putting green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Creeping bentgrass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액상비료는 Kentucky bluegrass로부터 수거된 예지물을 모아 부숙 과정 없이 미립자로 분쇄한 후 $28^{\circ}C$에서 약 2개월간 발효시킨 후 생성된 발효액에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 EM) 군으로 제조된 활성액을 3%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잔디에 대한 각 질소의 시비효과는 Nationa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NTEP)에서 제시한 방법에 준하여 잔디의 품질을 시각적평가를 통해 매 2주마다 조사하였다(1=worst, 9=best, and 6=acceptable). LF와 NO와의 비교에서 고온기간인 8월 20일과 9월 3일에 각각 LF가 NO에 비해 더 좋은 품질을 보여주었다. Urea가 고온기간에 비료피해가 나타난 것에 비교하여 LF의 경우 고온기간동안 비료피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염해 조건에서 유기물이 첨가된 준설모래와 석탄회 토양이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on Bottom Ash and Dredged up Sand with Four Organic Matter Amendment Rates Under Saline Irrigation Condition)

  • 라하유;양근모;최준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1-252
    • /
    • 2009
  • 본 실험은 서산 부남호 준설모래와 태안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된 석탄회(Bottom ash) 토양이 염해 조건에서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배지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준설모래와 석탄회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실험실에서 조사하였으며, 각 토양에 유기물(peat)을 0, 1, 2, 3% 비율(w/w)로 각각 혼합한 토양에서 크리핑 벤트그래스 Pen-A1 품종을 파종 후 염이 포함된 물(EC=$1.5dSm^{-1}$)을 관수하며 생육을 평가하였다. 유기물 혼합전 준설 모래의 ECe가 $1.4dSm^{-1}$로 나타나, 석탄회 $8.4dSm^{-1}$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가시적 품질, 초장, 줄기 건물중 등은 준설모래 처리구에 비해 석탄회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석탄회 토양은 염분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관수로 인한 세척시 염분이 용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물을 혼합하지 않은 경우는 준설모래와 석탄회 토양에서 가시적 품질, 초장, 건물중이 처리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 유기물을 혼합한 경우 준설모래 처리구가 석탄회 처리구에 비해 초장이 높게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