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ep Work-Time Rel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고온 구조물의 한계응력강도 결정을 위한 크리프 일-시간 관계식의 유용성 (Usefulness of Creep Work-Time ]Relation for Determining Stress Intensity Limit of High-Temperature Components)

  • 김우곤;이경용;류우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7권5호
    • /
    • pp.750-757
    • /
    • 2003
  • In order to determine creep stress intensity limit of high-temperature components, the usefulness of the creep work and time equation, defined as W$\_$c/t$\^$p/ = B(where W$\_$c/ = $\sigma$$\varepsilon$ is the total creep work done during creep, and p and B are constants), was investigated using the experimental data. For this Purpose, the creep tests for generating 1.0% strain for commercial type i16 stainless steel were conducted with different stresses; 160 MPa, 150 MPa, 145 MPa, 140 MPa and 135 MPa at 593$^{\circ}C$. The plots of log W$\_$c/ - log t showed a good linear relation up to 10$\^$5/ hr, and the results of the creep work-time relation for p, B and stress intensity values showed good agreement to those of isochronous stress-strain curves (ISSC) presented in ASME BPV NH. The relation can be simply obtained with only several short-term 1% strain data without ISSC which can be obtained by long-term creep data. Particularly, this relation is useful in estimating stress intensity limit for new and emerging class of high-temperature creeping materials.

고온 크리프 구조물의 장시간 한계응력강도 예측 (Prediction of Long-Term Stress Intensity Limit of High-Temperature Creep Structures)

  • 김우곤;류우석;김현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8-653
    • /
    • 2003
  • In order to predict stress intensity limit of high-temperature creep structures, creep work-time equation, defined as $W_ct^P=B$, was used, and the results of the equation were compared with isochronous stress-strain curve (ISSC) ones of ASME BPV NH Code. For this purpose, the creep strain tests with. time variations for commercial type 316 stainless steel were conducted with different stresses; 160 MPa, 150 MPa, 145 MPa, 140 MPa and 135 MPa at $593^{\circ}C$. The results of log $W_c$ and log t plots showed a good linear relation up to $10^5$ hr. The constants p, B and stress intensity limit values showed comparatively good agreement to those of ASME NH ISSC. It is believed that the relation can be simply obtained with only several short-term 1% strain data without ISSC which can be obtained by long-term creep data.

  • PDF

벼줄기의 크리이프 거동(擧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reep Behavior for Rice Stalks)

  • 허윤근;김성래;이상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0
    • /
    • 1995
  • 기계화농업에서 농작물은 재배관리, 수확 및 가공과정에서 기계와 접촉하면서 기계로부터 순간적인 하중 및 지속적으로 받는 하중과 같은 여러 종류의 하중을 받아 변형되거나 파괴로 손상되는 등의 결과가 발생한다. 즉 기계작업 과정에서 작물은 파괴도 일어날 수 있으므로 작물의 물성에 따라 기계가 적응하면서 작업이 수행되어야 질적인 작업능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재배 및 수확과정에서 기계로부터 받는 벼 줄기의 역학적 특성의 구명을 위하여 크리이프 시험장치를 설계 제작하여 컴퓨터 측정장치를 구성, Burger모형(模型)에 의하여 수확시기에 측방향(側方向)의 압축하중 및 휨하중을 받는 벼 줄기의 크리이프 특성(特性)을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크리이프 거동은 4요소 Burger모형(模型)에 의하여 벼줄기의 크리이프거동을 정확히 예측(豫測)할 수 있었으며, 예측한 결과는 실측치에 거의 일치하였다. 2. 압축하중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크리이프 변형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25N 이하의 낮은 하중에서 정상상태 크리이프거동을 하였고, 30N 이상의 높은 하중에서 대수적 크리이프거동을 하였다. 3. 작용하중에 따른 크리이프거동을 나타내는 모형의 계수를 구하였는데 순간탄성계수 $E_0$ 및 지연시간 ${\tau}_K$는 작용하중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지연탄성계수 $E_r$ 및 점성계수 ${\eta}_v$는 작용하중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점탄성(粘彈性) 재료(材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측방향 압축 하중이 25.0 N 이상 작용할 때 줄기 중부 및 상부에서 정상상태(定常狀態) 크리이프가 일어나, 하중의 작용시 줄기 부위(部位)에 따른 저항력은 하부(下部)에서 가장 컸고, 중부(中部)에서 가장 작게 나타나 파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5. 압축하중 및 휨하중의 작용에 의한 줄기 부위에 따른 크리이프변형은 줄기 중부(中部)에서 가장 크게 일어났고, 하부(下部)에서 가장 작게 일어나 중부의 저항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