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Thinking

검색결과 982건 처리시간 0.029초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Investigation of Domain-specificity and Domain-general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 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47-69
    • /
    • 2000
  • 개인의 창의력이 특정 영역에만 한정되는가 아니면 여러 영역에 걸쳐 두루 나타나는가 하는 문제는 최근 창의력 연구에 있어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가 109명의 초등학교 2학년 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는 창의적 아동의 올바른 판별 및 교육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 문제의 연구가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첫째, 세 가지 다른 영역간의 아동들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과 세 영역에서의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 가지 영역(언어, 미술, 산수)에서의 아동의 창의성은 이야기 만들기, 콜라주 만들기, 창의적 산수 문제 만들기 등으로 측정되었고, 9명의 각 영역 전문가들에 의해 평가되었다.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은 Wallach-Kogan Creativity Test와 Real-World Divergent Thinking Test 등 두 가지 창의성 검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들의 창의력이 영역 보편적이기보다는 다소 영역 한정적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아동들은 세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창의적 능력을 보이기보다는 각 영역 간 폭 넓은 창의력의 차이를 보이므로 창의력이 상당히 영역 한정적임을 제시했다. 또한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창의성 검사들은 세가지 영역에서 드러난 아동들의 창의성과 매우 낮거나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아동의 한 영역에서의 창의성은 그 아동의 다른 영역에서의 창의성이나 일반적으로 유용 되고 있는 창의성 검사 등을 통해서 신뢰성 있게 예측되거나 판별되기가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다. 창의적인 아동을 판별하기 위해 창의성 검사들이 무분별하게 사용되어 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그 의미가 상당히 크다 할 수 있다. 끝으로 필자는 창의성을 영역 한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아동의 창의적 특성에 관한 보다 유용하고 건설적인 정보를 제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창의성 검사에 의존하는 영역 보편적 견해보다 더욱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재 판별과 영재 교육과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유아의 창의적 군집유형에 따른 언어능력, 인지능력 및 또래관계에서의 차이 (Preschoolers' Language Ability, Cognitive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by Creative Thinking Group)

  • 김성희;김미영;김경은
    • 아동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35-146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creative thinking styles of children according to cluster analyses and examined group differences in language ability, cognitive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Methods: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2012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participants comprised 1,681 4-year-olds. Data were analyzed via cluster analyses, ${\chi}^2$ distributions, and ANOVA tests.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cluster analyses based on percentiles of the subfactors of K-FCTYC (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indicated four clusters: "divergent creative with openness," "non-creative," "divergent creative," and "multiple creative." Additionally, the four clusters differed by gender, language ability, cognitive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귀추를 이용한 가설 설정이 과학 탐구 능력과 창의적 사고 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ypothesis Formulation using Abduction on Science Processing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 김나영;유병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0-6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hypothesis formulations using abduction on science processing skills and the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s the subject, 2 classes in the $6^{th}$ grade of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were selected. Through the pre/post inspection design between experiment and comparison class, the units of science cour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6^{th}$ grade '1. A change in the weather' and '2. Various gases'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est on science processing skills showed that there was not statistic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in the sub-parts, there was not statistic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it would have a meaningful effect to improve the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of students who performed hypothesis formulation using abduction. Especially, through this, the experimental class g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luency' and 'Elaboration', one of lower categories of the creative activities. The results of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the experimental clas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in the comparative class. However,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this result is meaningless. Thirdly, on the survey about the hypothesis formulation using abduction, many students thought that this learning method was very interesting and helpful to study science.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ability to use abduct thinking was improved more than ever before.

탐구 요소 별 글쓰기와 통합적 문제 해결 글쓰기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신장 방안 (The Enhanc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 through the Writing Activity about the Basic Inquiry and the Integrated Inquiry Elements)

  • 박혜진;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845-854
    • /
    • 2013
  • 과학 글쓰기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해서 먼저 7차 과학과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기초 탐구 사고력과 통합적 탐구 사고력의 탐구 요소 별로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과학 글쓰기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34차시의 수업 전략을 구성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실험반과 비교반의 창의적 사고력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창의성을 협의의 정의인 발산적 사고력으로 한정하고 창의성 항목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관련된 창의적 사고력을 각각 분석해 보면 유창성과 융통성에서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p<.05), 독창성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과학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 전략은 창의적 사고력 중 특히 유창성과 융통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창의성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Creative Skill to Reading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 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1-286
    • /
    • 2013
  • 본 논문은 독서교육에서 창의성계발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서전략들과 창의성기법들을 유형화하고 독서교육의 시간적 과정 속에 이를 융합하였다. [독서전] 과정에서는 기존지식 활용하기와 이성적 사고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사고의 유창성과 독창성 기법에 융합하였다. [독서중] 과정에서는 텍스트내용 이해하기와 텍스트구조 인식하기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사고의 융통성과 독창성 기법에 융합하였다. [독서후] 과정에서는 이성적 사고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 사고의 독창성과 수렴적 사고 기법에 융합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창의력과 논리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gramming Language Instruction Strategies of Improving the creative and logical thinking for Elementary Students)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89-97
    • /
    • 2010
  • 초등학교 교육에서는 창의성과 논리력 향상을 강조하고 있고, 이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교수 전략이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과 논리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수 전략을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 전략은 입출력의 원리, 효율성의 원리, 일반화의 원리, 단순화의 원리, 추상화의 원리를 만들었다. 이 5개의 원리들을 초등학교 현장 전문가 20명에게 심층면접으로 검증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에 많이 기여할 것이다.

  • PDF

디자인 사고 기반 실생활 문제 해결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효과성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al Design and Effectiveness for Solving Real Life Problems based on Design Thinking)

  • 박보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71-478
    • /
    • 2023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으로써, 교육환경이 변화되고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연구는 필수적이다. 예비 교원의 창의적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모델의 개선은 매우 중요하다. 미래의 교육은 의사소통과 협업을 기반으로 발현되는 창의적 사고 함양을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1]. 본 연구에서는 미래형 교수 학습 모델을 개선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또한 우리는 미래 창의교원 역량에 대한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공통 만족도 문항과 미래 창의교원 역량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며, 분석결과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 미래 창의교원 역량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사고 학습을 위한 R.G.B. 기법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ing and Applying of the R.G.B. Technique for Combined Thinking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es)

  • 문병찬;이경학;서한영;김해경;오강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10-2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pplying possibility of the R.G.B. technique for combined thinking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es. For this, R.G.B. technique which was designed to mark students' output with red, green and blue colors depending one's judgement was developed and appli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e results were follows. Firstly, the propriety of questionnaires constitution which was developed to achieve study objects in science classes was given credit by experts. Secondly, the evaluating results of student's outputs which had been done during science classes were credible on focused achieving the objects of science classes. Thirdly, in a point of view achieving creative thinking skill as well as knowledge, R.G.B. technique was effective. Fourthly, the combined thinking learning joined R.G.B. technique has possibility of applying to general science classes. Fifthly, the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combined thinking learning science classes based on R.G.B. technique said with great satisfaction. Consequently, combined thinking learning based on R.G.B. technique should be paid attention to the value of possibility to achieve study effects both creative thinking skill and knowledge.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창의적 사고 편향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Creative Thinking Leaning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 정덕호;박선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75-191
    • /
    • 2011
  • 본 연구는 일반 학생들과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문제해결과정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창의적 사고의 편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일반 학생 144명과 과학영재 97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의 편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LCT, BPI를 실시하였다. R/LCT에서 일반 학생들은 우뇌 영역의 사고를 주로 활용하였고, 과학영재들은 좌뇌 영역의 사고를 주로 활용하였다. 일반학생들은 전체적 사고의 활용을 가장 선호하였고, 언어적 사고를 가장 기피하였다. 과학영재들은 논리적 사고를 가장 선호하였고, 임의적 사고를 가장 기피하였다. 일반 학생들의 좌뇌선호집단과 우뇌선호집단 간 좌뇌 영역 사고의 성향과 우뇌 영역 사고의 성향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각 집단은 특정의 사고에 편향되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분명하다. 그러나 과학영재들은 좌뇌선호집단과 우뇌선호집단 간 좌뇌 영역 사고 성향은 차이가 적고 주로 우뇌 영역의 사고 성향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즉 과학영재들은 두 집단 모두 논리적 사고, 상징적 사고, 직선적 사고 등 좌뇌 영역의 사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과학영재는 일반학생들에 비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따라서 복잡한 문제는 다양한 사고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과학영재교육을 위하여 영재들의 창의적 사고의 편향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이 요구된다.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 좌뇌와 우뇌의 연관성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 The Connection of Right and Left-brain)

  • 이홍
    • 지식경영연구
    • /
    • 제7권2호
    • /
    • pp.1-11
    • /
    • 2006
  • What is the role of right and left-brain in creative thinking? The current study is to address this question. Two empirical studies were performed to answer the question. First one is regarding the divergent thinking and right-brain connection. Second one is regrading the convergent thinking and left-brain connection. Empirical study showed that both of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were asymmetrically related to creativity. Divergent thinking was connected to right-brain and convergent thinking was connected to left br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