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cked Egg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2초

The Long Term Effects of Fairly Low-level of Supplemental Fat on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Commercial Layers

  • Bozkurt, Mehmet;Kucukyilmaz, Kamil;Cabuk, Metin;Catli, Abdullah Ugu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524-530
    • /
    • 2012
  • Laying hens were fed commercial diets added with supplemented fat (SFAT) at 0.6, 1.2, and 1.8% in order to study the long term dietary effects - on - their productive performance from 22 to 75 wk of age. Five hundred and seventy six Single Comb White Leghorn hen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ur dietary treatments. The experimental phase consisted of three periods of 18 wk each. The final body weight and gain of hens fed on diets with SFAT at 1.2% and 1.8% were lower (p<0.05) than those hens given no SFAT. The SFAT at the 1.2% and 1.8% levels improved egg production rate, egg weight and mass, as well as FCR. Mortality and feed consumption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SFAT. Administration of a diet with SFA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racked-broken egg ratio (p<0.01). The beneficial effects of SFAT on egg production performance were particularly more pronounced at intermediate and later ages. Hence, SFAT by period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for all traits studied except feed intake. Hens fed SFAT deposited significantly higher abdominal fat than those on the no-SFAT diet. As a result, SFAT at 1.2% and 1.8% inclusion levels provided benefits in terms of efficient table egg production.

산란계 농장 계란 이송라인의 누적충격강도와 파각발생율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between Egg Breakage and Cumulative External Forces on Eggs during Egg Collection in Laying Hen Farms)

  • 조동해;권병연;김다혜;김다혜;이경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3-30
    • /
    • 2023
  • 본 연구는 농장 내 계란 이송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충격 정도를 파악하고 파란 발생률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무창계사 12개 농장을 대상으로 하여 무선 전자계란(Wireless Egg Node II)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충격 크기는 세척기와 건조기 연결 부분, 컨베이어 연결부분, 트랜스퍼, 정렬기, 집란 엘리베이터, 팩커, 계란 이송 연결부분, 알받이 순으로 나타났으나 농장에 따라 충격정도 및 충격발생 지점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계란의 충격강도와 파란 발생률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일회성 충격보다는 누적된 충격의 양에 따라 파각발생이 높았고, 조사 지점에 따라 5~38 G까지 다양하며 총 파각란 발생률도 3.2%~14.5%로 나타났다. 파각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난각 품질이 높은 계란을 생산하고자 하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난각강도가 우수해도 최종제품에 난각이 파손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실금란 발생을 초래하는 계란이송라인 개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EFFECT OF FORCE MOLTING INDUCED CONVENTIONALLY OR BY HIGH DIETARY ALUMINUM ON EGG AND SHELL QUALITY OF LAYING HENS

  • Alsobayel, A.A.;Alkhateeb, N.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341-347
    • /
    • 1992
  • Eggs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Saudi Arabian Baladi laying hens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and subjected to the following treatments: Commercial laying ration (17% CP, 3.6% Ca and 0.343%, available P) fed ad libitum as a control (C); Conventional force molting, feed removal for 10 days followed by 18 days full-feed of cracked corn (F); 15 days ad libitum intake of the control ration supplemented, to initiate forced-molt, with 0.35% aluminum as the sulfate (ALS) or the chloride (ALC). The hens were in production for 52 weeks and 17 months of age at the start of the trial and the post-treatment period lasted 36 week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F and AL treated groups had similar egg and shell weight, egg surface area, shell thickness and shell weight per unit of surface area but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e control. F had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and the control the lowest Haugh unit values whereas AL fed groups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meat spot incid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ch tended to have higher value than F group. ALC and F had significantly (p<0.05) the lowest yolk color grade whereas ALC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egg index than ALS and the control. During the post-treatment period the control had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egg index and blood spots incidence and ALS the lowest shell diensity compared with other groups. ALS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shell weight than ALC and the control whereas F and AL treated hens had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Haugh unit values and yolk color grades respectively. F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meat spots incidence than ALC and the control. The same results were observed for ALS compared with the control.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농가의 사육형태와 품종별 생산성 및 질병발생 비교 분석 연구 (A Study of Analysis on Comparison of Laying Performance and Disease Occurrence of Welfare Approved Farms of Laying Hens with Housing Type)

  • 홍의철;강환구;박기태;전진주;김현수;박성복;김찬호;서상원;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3-149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농가의 사육형태(무창, 개방, 방사)와 품종별(Hy-Line, Lohmann) 생산성과 질병발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초산일령은 무창 151일, 개방과 방사형 계사에서 각각 141일령이었으며, 각 계사의 산란피크는 91.8%, 92.9% 및 86.3%이었다. 사육형태에 따른 18~37주령 산란율은 무창, 개방, 방사에서 각각 70.9%, 77.4% 및 65.6%였으며, 32~36주령 산란율은 91.9%, 90.1% 및 76.2%였다. 평균 오 파란율은 무창, 개방, 방사형 계사에서 각각 2.84%, 1.15% 및 0.23%로 나타났다. 개방계사의 폐사율이 다른 사육형태에 비해 낮았다. Hy-Line의 초산일령은 155일, Lohmanndms 157일이었으며, 산란피크는 각각 92.9%(252일)와 97.2%(237일)이었다. 품종에 따른 평균 산란율은 Hy-Line 83.7%, Lohmann 76.9%였다. Hy-Line의 폐사율은 Lohmann종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난중, Haugh unit 및 난황색은 방사형 계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ND의 항체역가는 개방계사에서 낮았으며, IB와 APV의 항체역가는 3농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SG, SE, SP, FAdV 및 ILT는 사육형태에 따른 세 농가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농가는 증가하는 반면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농가의 사육형태에 따른 자료들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농가의 사육형태별 생산성 및 질병발생에 대해 분석한 자료이며, 향후 국내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산란계 농장의 생산성 향상 및 질병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ison of Aviary, Barn and Conventional Cage Raising of Chickens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 Ahammed, M.;Chae, B.J.;Lohakare, J.;Keohavong, B.;Lee, M.H.;Lee, S.J.;Kim, D.M.;Lee, J.Y.;Ohh, S.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1196-1203
    • /
    • 2014
  •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three different layer raising systems; conventional cage (CC), barn (BR) and aviary (AV). The AV is welfare bestowed housing that allows free locomotion for birds within the BR. The BR allows bird's free locomotion inside BR but without multilevel structures. Both pullets and cockerels were housed together in both AV and BR, but only pullets in CC. Seventeen weeks old Lohmann Brown Lite (n = 800) pullets were housed in AV during this study. The same age layer pullets were simultaneously assigned to either at CC or BR to compare egg production performance with AV. The duration of experiment was 40 weeks (from 21st to 60th week).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egg production, hen day egg production (HDEP) and average egg weight among three rearing systems. First 20 weeks (phase-1) average HDEP (%) of AV, CC, and BR were 85.9, 88.8, 87.1 and average egg weights (g) were 57.5, 59.9, and 56.9 respectively. Those of the remaining 20 weeks (phase-2) were 87.1, 87.9, 85.5 and 64.2, 63.0 62.1, respectively. Daily feed intakes (122 g, 110 g, 125 g); feed conversion ratio (2.4, 2.1, 2.5) and daily egg mass (53.9 g, 54.4 g, 52.8 g) data from AV, CC, and BR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respective raising systems. Daily feed intake of layers in both AV (124 g) and BR (127 g)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in CC (113 g) during phase-2. Overall, exterior egg quality (dirty and cracked eggs) in both phases was superior in BR compared with AV and CC, whereas CC generated intermediate results.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HDEP per se in AV and B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C. The study implied that the facility depreciation cost for AV and cost for increased feed intake in AV compared to CC are believed to be critical to evaluate the cost effectiveness of egg production in AV.

란각질과 란각파열과의 관계 및 란각파열에 영향하는 제요인 (Relationship Between Egg Shell Quality and Shell Breakage and Factors that Affect Shell Breakage)

  • 이유방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1
    • /
    • 1980
  • 연중 산란수의 6-8%가 산란시부터 소비자에게 이르는 사이에 파란으로 된다. 이들 파란의 대부분은 난각의 품질과 난각파열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여러 가지 생물적, 환경적, 관리적 요인들과의 상호관계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 이제까지 논의된 몇 가지 파란발생 요인들을 보면 닭의 연령, 계사의 온도와 습도, 케이지 씨스템과 케이지바닥의 설계, 케이지에 사용된 재료의 종류, 1일 채란회수,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각종 기구의 원활한 작동여부와 정비상태이다. 이 중에서 닭의 연령, 유전적 체질, 환경온도, 기구의 설계와 정비유지의 양부가 파란생성에 영향하는 중요 요인이라 하겠다. 난각의 품질과 난각파열 간에는 곡선관계에 있으므로 난각질의 조그마한 차이가 파란발생빈도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바. 이제까지 보고된 문헌에 의하면 파란발생 빈도는 l-2%의 낮은 수준에서 35%의 높은 수준에 이르기까지 넓은 변이를 보여주고 있다.

  • PDF

Adaptational changes of behaviors in hens introduced to a multi-tier system

  • Cheon, Si Nae;Choi, Yang-Ho;Park, Kyu-Hyun;Lee, Jun Yeob;Jeon, Jung Hw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2호
    • /
    • pp.276-291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behavioral changes in laying hens (Hy-Line Brown) after transfer to a multi-tier system from the floor system and to examine their production performance. The h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ere allocated to the multi-tier system and the floor system at a commercial farm. Behavior of the laying hens was recorded by CCD (charge-coupled device) cameras and a digital video recorder. The data were scanned every 2 min to obtain an instantaneous behavioral sample or were immediately counted whenever the hens exhibited a designated behavior. Behavior changed dramatically during the first seven days. Egg production was higher in the multi-tier system, while cracked and dirty eggs were more frequent in the floor system (p < 0.05). No differences in mortality rate or egg qua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conclusion, the hens needed at least seven days to adapt to the multi-tier system. The multi-tier system was more efficient than the floor system in terms of production performance.

박테리오신 OR-7을 생산하는 항균 효모의 양계에서의 사양시험 효과 (Efficacy of Antibacteriocidal Yeast That Producing Bacteriocin OR-7 in Chicken)

  • 조동인;강상모;이재화;이상현;김남영;김기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1-398
    • /
    • 2010
  • 산란계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균제(PY0.3%, PY0.5%) 를 산란계에 급여하였을 때 산란율, 산란수, 난중, 등외란, 파란율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산란계에서의 사양시험은 36주령 ISA brown 산란계 300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기초 사료구(Con; basal diet), 기초 사료구에 일반 효모 0.3%(basal diet+0.3% 일반효모), 일반 효모 0.5%(basal diet+0.5% 일반효모), 활성 효모 0.3%(basal diet+0.3% 유전자 변형 효모), 활성 효모 0.5%(basal diet+0.5% 유전자 변형 효모)를 첨가한 것으로 구성되었다. 총 13주간의 사양시험 기간 동안, 산란율, 산란수, 난중, 등 외란, 파란율 등을 연구했다. 사양시험에 이용한 닭은 각각 20수씩 3반복을 하였으며, 총 300수를 사용했다. 시험결과 시험군인 활성 효모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산란율, 산란수, 난중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일반효모 첨가군에 비해서는 산란율, 산란수에 대해서는 우수하였으나 난중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등외란과 파란율에서는 첨가 군에서 큰 란이 생산되는 비율이 크다 보니까 상대적으로 등 외란과 파란율이 높아진 면도 있다. 이러한 우수한 결과는 PY를 첨가함으로써 면역 기능강화와 bacteriocin의 기능과 효모에서 분비된 여러 가지 유용물질의 상호작용에서 기인된 결과로 보여 지며 이런 이유로 사료효율 개선과 병원성 미생물의 억제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상승효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활성효모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ve Yeast(Saaccharomyces cerevisiae)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 유종석;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9-191
    • /
    • 1990
  • 활성효모의 첨가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개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과 2는 하절기에 실시하였는데 시험 1에서는 37주령의 Dekalb-Delta 산란계, 시험 2에서는 100주령의 환우계 Nick-Chick Brown 산란계를 공시하였다. 각 시험에 있어서 240수를 2처리 6반복으로 반복당 20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요는 대조구($T_1$)와 괄기효모 첨가수준이 0.05%인 첨가구($T_2$)로 하여 시험 1은 4주간, 시험 2는 3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3개의 시험은 동절기에 실시하였는데 시험 3과 4는 각각 54영 및 52주령의 Hy-Line산란계, 시험 5는 36주령의 육용종계를 공시하였다. 시험은 각각 540수를 3처리 6반복으로 반복당 30수적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대조구($T_1$), 활성순모 0.05% 첨가구($T_2$) 및 0. 1 % 첨가구($T_3$)로 하여 시험 3과 4는 6주간 및 9주간 그리고 시험 5는 4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시험 4는 시험사료를 3주마다 회전시켰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라틴 방각으로 배치하였다. 시험계는 일반농가에서 사육되었으며, 시험사료는 일반시중사료를 사용하였다. 시험 1에서 산란율은$T_2$가 높았으며(P<0.05), 4주간의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2주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지만(P<0.01), 4주간의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난중과 연ㆍ파난율 및 사망율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2에서 산란율은 $T_2$가 높았으며(P<0.05), 사요악률은 2주와 3주에서 $T_2$가 유의하게(P<0.05, P<0.01)좋았으나 3주간의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연난발생률은 $T_2$가 높았지만(P<0.05) 1외 다른 조사항목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3에서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고(P<0.05), $T_3$$T_2$보다 그리고 $T_2$$T_1$보다 높았다. $T_1$$T_2$의 난중은 $T_3$보다 무거웠고(P<0.05), $T_2$와 의 사료섭취양은$T_1$에 비해 6주에서 높았지만 (P<0.05), 전 기간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연난발생율은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으며(P<0.01). $T_1$$T_3$보다 높았고, $T_3$$T_2$보다 높았다. 사료효율, 연난발생률. 사망율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4에서 산란율은 활성효모 첨가수준을 증가시킬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그외 다른 조사항목에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시험 5에서 육용종계의 산란율은 $T_3$$T_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사료섭취양은 3주에서는 $T_3$$T_1$ $T_2$보다 높았지만(P<0.05) 전 기간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수정률 및 부화율은 대조구보다 첨가구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 PDF

맥섬석과 한방제재 첨가급여가 재래닭 교잡종의 계란생산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acsumsuk and Herb Resources on Egg Performance and Quality in Korean Native Crssbred Chicken)

  • 김병기;황은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125-131
    • /
    • 2012
  • 본 시험은 산란계에 대한 맥섬석과 한방제재의 첨가급여가 계란의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란초기에 있는 재래닭교잡종(재래닭${\times}$레드브로교잡종) 360수를 공시하여 4처리로 임의 배치하였다(각 처리구당 30수${\times}$3반복), 대조구(무첨가), 시험 1구(맥섬석 0.3% 첨가), 시험 2구(한방제재 0.3% 첨가), 시험 3구(맥섬석 0.3%+한방제재 0.3%)로 나누어 8주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료섭취량과 난중 및 평균 산란율은 처리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그러나 파란율은 대조구(3.41%)가 시험구보다 크게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시험 3구가 가장 낮은 파란율을 나타내었다(P<0.05). 전란 중에서 조지방의 경우는 대조구(11.20%)가 시험구(9.67 - 10.01%) 보다 크게 높게 나타났다(P<0.05). 계란품질에서 호우유니트 계수, 난황색,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는 시험구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러나 난각 강도는 시험구(36.98 - 37.52)가 대조구(35.56)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난황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 3구(14.91 mg/g)가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낮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더 높았으나, 불포화 지방산은 시험구(66.82 - 67.00%)가 대조구(64.58%)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맥섬석과 한방제재 혼합첨가제는 난황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계란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