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w manure (CM)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8초

답리작 호맥재배시 가축분시용이 후작 벼의 생육 및 수량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Growth , Yield and Quality of Rice Cultivated on paddy Soils as After Crop of Fodder Rye under Heavy Application of Animal Manures)

  • 진현주;김정갑;조영무;곽정훈;신재순;이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8-342
    • /
    • 1996
  • Fodder rye(cv. Coolgrazer) was cultivated on paddy soils under different application rates of animal manures (CM=cow manures mixed with sawdust, SM=swine manure mixed with sawdust) during 1994-1995. Rice crop (CV. Geumo) was transplanted in the same plots after fodder rye. The effects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the yield performance of rye and their influence to growth, yields and quality of rice were evaluated. Fodder rye produced larger plant growth and higher silage yield in the cattle manure application than in the chemical feltilizer (CF). Dry matter yields of rye silage were 3.08 ton(CF), 4.23 ton(CM) and 6.03 ton/ha(SM), respedively. Under heavy application of cattle manures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s and grains per panicle were increased, but 1,000 grains weight and total yields of rice were decreased. Yields of brown rice were 5.20 ton(CF), 5.15 ton (CM) and 4.95 ton/ha(SM), respectively. Higher concentration of amylose was found in the heavy application of cattle manures. Amylose contents of rice were 16.8%(CF), 19.1%(CM) and 19.4%(SM).

  • PDF

우분퇴비 처리에 따른 토양내 음이온의 용출특성과 투수특성 변화 (Effects of cow manure compost on anion elution patterns and hydraulic conductivity)

  • 정덕영;김필주;박무언;이병렬;김건엽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년도 경북지부 결성 및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1-139
    • /
    • 1996
  • To quantitative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nure compost on the soil and water environment including ground water the elution patterns of anions and hydraulic conductivity wore estimated with four different depth(15, 30, 45 60cm) and four variable ratio of compost treatment(0, 2, 4, 6%) through soil column test. 1. There were over 95% of elution of chloride and nitrate within 0.1 pore volume(PV), and sulfate within 0.2 PV. With 2 ton/10a of cow manure compost treatment recommended total 40 kg/10a of anions added was recovered as effluent at the amount of 17kg chloride, 5.4kg nitrate, and 13.2kg sulfate, respectively However, phosphate rarely recovered in the effluent due to the strong affinity for sorption sites in soils. 2. In multi-layered soil column the maximum peaks of each anion eluted were retardated with increasing soil depth and the amount of organic matter(OM) treatment. 3. With increasing OM up to 2%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SHC) was greatly decreased, but the slight decrease in SHC was found by addition of OM greater than 4%. In multi-layered soil column SHC was more effected by the lower SHV layer than by that of the higher.

  • PDF

Vermicomposting에 의한 우분의 처리 1. 사육밀도가 지렁이의 생육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 (Treatment of Cow manure by Vermicomposting 1. Effect of population densities on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earthworm(Eisenia foetida))

  • 이주삼;김성진;조고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권2호
    • /
    • pp.259-266
    • /
    • 1993
  • 사육밀도를 달리한 지렁이 개체군에 우분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 지렁이 생육과 분립의 생산량 및 분립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였다. 지렁이의 생존율과 증식속도사이에의 유의한 정상관이, 생존율과 증식속도간에는 역상관이 존재하였다. 최적사육밀도는 $42.7-128cm^3$/마리의 범위로 추정되었으며, 최적사육밀도에서 분립의 생산량은 36.5-80.9 mg/마리의범위로 추정되었다. 분립은 그화학적 조성과 물리적 성상으로 볼 때 토양개량제로서 이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되었다.

  • PDF

사질논에서 벼 재배기간 중 시비방법별 양분수지 (Nutrient Balance during Rice Cultivation in Sandy Soil affected by the Fertilizer Management)

  • 노기안;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3
    • /
    • 1999
  • 상수원 보호지역내 하성충적토의 사력질 벼 재배 논에서 표준시비 농가관행시비, 우분, 우분퇴비, 볏짚퇴비+화학비료감비, 볏짚환원+표준시비 그리고 무비구의 7처리를 하여 벼 재배 과정동안 시비관리방법에 따른 수량과 양분수지 특성을 조사하여 환경친화적 영농방법 설정을 시도하였다. 시비방법에 따른 정조수량은 추천시비구(100)와 우분구(100)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화학비료 감비구(98) 볏짚환원구(98), 우분퇴비(94), 농가관행구(94)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질소수지는 농가관행구에서 $+39kg\;ha^{-1}$였으며. 유기물 처리구는 $+44{\sim}76kg\;ha^{-1}$로서 동일 포장조건에서 유기물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양분수지의 +값이 커, 질소의 지하용탈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무기태 질소의 지하용탈량은 화학비료만 시용한 추천시비구($58kg\;ha^{-1}$)와 농가관행구($63kg\;ha^{-1}$)에서 가장 높았으며, 퇴비+화학비료 감비처리나 우분이나 우분퇴비로서 화학비료를 대체한 처리는($23{\sim}27kg\;ha^{-1}$) 화학비료 전용구(R. CF)의 절반 이하 수준($25kg\;ha^{-1}$)까지 줄일 수 있었다. 벼 재배기간중 인산의 지하용탈은 거의 없었다. 우분퇴비구(CMC)의 인산의 수지는 $+30kg\;ha^{-1}$으로 장기 연용에 따라 토양내 인산 축적이 가능성이 있을것으로 예측되며, 다른 처리의 인산 수지는 거의 0에 가까워 벼농사에서의 인산의 시비균형은 비교적 잘 이루어졌다. 칼리의 양분수지는 모든 처리에서 음(-)의 값을 보여 토양내 칼리가 용출되어 작물에 의해 흡수,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화학비료 위주의 추천시비 방식과 양평군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관행적 시비방법을 우분과 같은 유기질 비료로 적절히 대체 시용하거나, 볏짚퇴비의 환원 등을 통해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벼의 수량을 높이면서 오염물질의 지하 유출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 PDF

점토광물 혼합 사료 급여로 발생된 우분 시용에 따른 옥수수 GK729의 생장 (Effect of Cow Manure Originated from the Clay Mineral Feeding on the Growth of Zea mays Gk 729)

  • 김정규;이상환;이창호;윤영만;손용석;임수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8-43
    • /
    • 2000
  • Porphyrite(일명 맥반석), zeolite, bentonite를 혼합한 사료를 급여하면 가축의 영양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있다. 이렇게 발생된 분뇨를 토양에 투여하고 옥수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재배 후 포장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공시분은 모두 pH 8.0 이상이었고, CEC는 점토광물 혼합사료로 발생된 분이 일반분에 비해서 높아 혼합된 광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을 밑거름으로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porphyrite > zeolite > 일반분 > bentonite 시용 포장의 순서로 생육이 양호하였고, porphyrite와 zeolite 처리구의 옥수수에서 N, P, K의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 재래 이후 토양에서 유기물과 유효인산함량을 제외한 화학성은 분뇨처리구와 무처리구간, 그리고 각 광물 혼합 분뇨처리구간에 현저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Zeolite와 bentonite 처리구에서 인삼함량이 특징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성은 양토, 입단화도는 56-69%, 소성하한은 22-23%, 투수계수는 $3.29{\times}10^{-5}{\sim}6.04{\times}10^{-6}\;cm{\cdot}sec^{-1}$의 범위로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처리가 1년 이내로 토양 물리성 개선효과를 거두기에는 너무 짧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사육밀도의 차이가 지렁이의 생육, 체조직으로의 유기물 전환효율 및 분립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t Stocking Rate on Growth, Cast production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to Tissues of Earthworm (Eisenia fetida L.))

  • 이지영;이주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3-74
    • /
    • 2012
  • 사육밀도의 차이가 지렁이의 생육, 체조직으로의 유기물 전환효율 및 분립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 한우분의 탄질율은 25.1로, 지렁이 먹이로 적합한 탄질율로 추정되었다. 2. 지렁이 생체중과 먹이 량의 비율이 1:32였던 S-3에서 생체중 증가율과 체조직으로의 유기물 전환효율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 비율을 사육공간으로 나타내면 $56.6cm^3$이었다. S-3에서 사육기간 평균 생체중 증가율과 체조직으로의 유기물 전환효율은 각각 10.63 mg/day와 6.65%를 나타내었다. 3. 지렁이 생체중과 먹이 량의 비율 1:8이었던 S-1에서 사육기간 중 분립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생체중 증가율과 체조직으로 유기물 전환효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개체 간 먹이 경합이 심해진 결과로 추정된다. 4. 사육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렁이 분립의 pH, 전 질소함량, 유효인산함량, 양이온치환능력 (CEC) 및 양이온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특히 유효인산함량, 양이온치환능력 및 양이온함량은 사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5. 지렁이 분립의 이화학적 특성으로 볼 때, 상토 재 또는 토양개량제로서 유용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Evaluation of the Biogas Productivity Potential of Fish Waste: A Lab Scale Batch Study

  • Kafle, Gopi Krishna;Kim, Sang H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5호
    • /
    • pp.302-313
    • /
    • 2012
  • Purpose: The biogas productivity potential of fish waste (FW) was evaluated. Methods: Batch trials were carried out in 1.3 L glass digesters kept in a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s at $36.5^{\circ}C$. The first order kinetic model and the modified Gompertz model were evaluated for biogas production. The Chen and Hashimoto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critical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_{Critical}$) for FW under mesophilic conditions. The feasibility of co-digestion of FW with animal manure was studied. Results: The biogas and methane potential of FW was found to be 757 and 554 mL/g VS, respectively. The methane content in the biogas produced from FW was found to be 73% and VS removal was found to be 77%. There was smaller difference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biogas production when using the modified Gompertz model (16.5%) than using first order kinetic model (31%). The time period for 80%-90% of biogas production ($T_{80-90}$) from FW was calculated to be 50.3-53.5 days. Similarly, the HRT $_{Critical}$ for FW was calculated to be 13 days under mesophilic conditions. The methane production from swine manure (SM) and cow manure (CM) digesters could be enhanced by 13%-115% and 17%-152% by mixing 10%-90% of FW with SM and CM,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FW was found to be highly potential substrate for anaerobic digestion for biogas production. The modified Gompertz model could be more appropriate in describing anaerobic digestion process of FW. It could be promising for co-digestion of FW with animal manure.

Effect of Different Substrates and Casing Materials on the Growth and Yield of Calocybe indica

  • Amin, Ruhul;Khair, Abul;Alam, Nuhu;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8권2호
    • /
    • pp.97-101
    • /
    • 2010
  • Calocybe indica, a tropical edible mushroom, is popular because it has good nutritive value and it can be cultivated commercially.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determine a suitable substrate and the appropriate thickness of casing materials for the cultivation of C. indica. Optimum mycelial growth was observed in coconut coir substrate. Primordia initiation with the different substrates and casing materials was observed between the 13th and 19th day. The maximum length of stalk was recorded from sugarcane leaf, while diameter of stalk and pileus, and thickness of pileus were found in rice straw substrate. The highest biological and economic yield, and biological efficiency were also obtained in the rice straw substrate. Cow dung and loamy soil, farm-yard manure, loamy soil and sand, and spent oyster mushroom substrates were used as casing materials to evaluate the yield and yield-contributing characteristics of C. indic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effective fruiting bodies, the biological and economic yield, and the biological efficiency were statistically similar all of the casing materials used. The maximum biological efficiency was found in the cow dung and loamy soil casing material. The cow dung and loamy soil (3 cm thick) was the best casing material and the rice straw was the best substrate for the commercial cultivation of C. indica.

상존수두상태의 이중토양토주에서 질산태질소 이동에 대한 분쇄우분의 효과 (Effects of the Fractionated Raw Cow Manure on Mobility of NO3--N in A Double-Layered Soil Column with Constant Water Head)

  • 정덕영;이규승;백명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6-32
    • /
    • 2001
  • 본 연구는 다층구조 토양의 토양표면에서 수두를 5cm로 유지하면서 미세입자로 분쇄된 건조 생우분(FRCM)의 혼합 비율에 따른 $NO_3{^-}$-N의 이동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토양의 상층부는 월곡통 토양을 그리고 하층부는 청원통 토양을 용적밀도 $1.25g\;cm^{-1}$으로 조절하여 사용하였으며 FRCM은 0%부터 10.4 %까지 6단계로 나누어 상층부에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약 65일간 지속적으로 관개를 실시하면서 토주의 하부에서 용탈돼 나오는 용출수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포화 수리전도도는 유기물함량이 0% 에서 10.4%로 증가함에 따라 $1.7{\times}10^{-3}cm/min$에서 $8{\times}10^{-4}cm/min$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안정된 상태의 수리전도도를 얻기까지 약 7일에서 64일정도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토양내와 유기물로부터 전환된 $NO_3{^-}$-N와 $NH_4{^+}$-N의 용탈 특성은 혼합된 유기물 함량이 10.4%에서 0%로 감소함에 따라 최고 $14.8mmolc\;kg^{-1}$ to $0.58mmolc\;kg^{-1}$의 변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용탈된 $NO_3{^-}$-N의 함량은 $NH_4{^+}$-N와 비교시 약 4배 정도임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NO_3{^-}$-N의 전환율은 담수상태에서도 활발히 진행됨을 알 수 있었고 토양내에서 질소의 공급은 토양내 수리전도도와 결부하여 조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 PDF

우분퇴비 처리에 따른 다층구조 토양내 음이온의 용출특성 변화 (Elution Patterns of Anions in Multi-layered Soils amended with Cow Manure Compost)

  • 김필주;정덕영;이병열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33
    • /
    • 1997
  • 비점오염원으로 토양과 수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우분퇴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에 연결한 다층토양칼럼을 가지고 음이온의 토양으로부터 용출경향을 조사하였다. 상부 칼럼은 건조 우분 퇴비를 0, 2,4, 6%의 비율로 Ap토양에 처리한후 균일하게 채웠고 하부칼럼은 15, 30, 45cm의 길이의 아크릴칼럼에 B층 토양을 용적비중 1.3g/$\textrm{cm}^3$으로 채운 후 결합하였다. 이렇게 조합된 칼럼을 충분히 포화시킨 후 증류수를 칼럼의 상부에서 일정 수두높이를 유지하면서 칼럼의 하부에서 수집되는 용출수의 수리전도도와 용출된 음이온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상부와 하부의 각각의 수리전도도는 3$\times$$10^{-4}$cm/sec 와 1.6$\times$$10^{-3}$cm/sec 이었고 비특정흡착특성을 지니는 대부분의 수용성 염소와 황산이온은 90%가 0.2 공극수량에서 그리고 대부분의 음이온은 1 공극수량이내에 용출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이들 이온이 토양에 가해진 유기물에 의해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이들 음이온이 통과하는 토양의 깊이도 이들 음이온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특정과 특정 모두의 흡착특성을 가지는 황산이온의 경우 용출곡선이 오른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용출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인산이온의 경우 조사된 5 공극수량 이내에서 전혀 용출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