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w

검색결과 1,581건 처리시간 0.026초

안동지역의 제례에 따른 음식문화(I) -불천위제례(不遷位祭禮)와 제수(祭羞)- (Dietary Culture for Sacrificial Rituals and Foods in Andong Area (I) -Bul-Chun-Wi Sacrificial Rituals and Foods-)

  • 윤숙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9-454
    • /
    • 199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Bul-Chun-Wi Sacrificial Ritual (sacrificial service which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o worship the family ancestors in the period of $1400{\sim}1800$) and foods for the sacrificial service among fourteen head families in Andong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Bul-Chun-Wi Sacrificial Rituals, family shrine has been maintained in good shape, and the table, dishes, and foods used in the rituals have not been changed so much until these days. 2. While vegetable soup is widely used as soup, one family uses the seaweed soup, the other soup mixed with meat, fish, and vegetable. Specially soybean-powdered soup, which is the distinguishable food in Andong area, has been used. 3. As a basic Ddock, mainly Si-Ru-Ddock(a steamed rice cake), piled up to 13-15 stacks, is used. Additional 7-9 kinds of Ddock are placed on top of the basic Ddock. 4. For grilled-meat food(Geuck), eight families use the raw meat, and one family uses the half-cooked meat. Recently, five families have used the cooked meat. Mostly used ones are meat-Geuck, fish-Geuck, chicken-Geuck, and the Geuck are not served one by one. Instead the Geuck are stacked in one dish designed for Geuck in order of meats from poultry, animal, fish, and shell. As the sub-dishes for rice, raw and cooked Geuck are used. 5. The number of stew (Tang) are 3 to 6 and 5 stews is the most popular. Commonly used stews are meat stew, fish stew, chicken stew, vegetable stew, blood stew, and organs stew. For the vegetable stew, buckwheat gel can be used. 6. As the fruit, chinese date, pear, nut and dried persimmons are the basic ones. The even number of 6 or 8 colorful fruits are used, while the odd number of 7 or 9 colorful fruits are used in three head families. 7. As Sik-Hae which is a drink and made from fermented rice, rice Sik-Hae or fish Sik-Hae has been necessarily used. 8. As raw meat dish, the liver of cow or meat is used. As a wrapping materials, the reticulum of a ruminant, green seaweed or thinly fried egg can be used.

  • PDF

초등학생들의 구제역에 대한 지식과 인식 조사 (Study on knowledge and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Foot-and-mouth disease)

  • 김석환;이여진;김은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63-5070
    • /
    • 2011
  • 구제역은 소 돼지, 양, 염소 및 사슴 등의 발굽이 두 개인 가축 또는 야생 동물에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본 연구는 구제역에 대한 지식, 인식과 생활 습관을 경기도 총 5개 지역 초등학생 3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구제역이 무엇인지 들어보았는지 조사한 결과 구제역 교육을 받은 그룹은 49명 92.5%가 '있다'고 하였으며, 구제역 교육 받지 않은 그룹은 139명 68.5%가 '있다'고 하였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섭씨 $50^{\circ}C$ 이상에서 파괴되기 때문에 조리시 모두 바이러스 균이 모두 죽는다'고 지식을 조사한 결과 구제역 교육 받은 그룹은 26명 49.1%, 구제역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은 82명 40.4%만 올바르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제역과 같은 질병에 대한 교육은 언제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초등학교 시기라고 응답하였다. 구제역은 다국가간에 수차례 감염 발생이 일어나고 있는 질병으로 우리나라도 안전하지 못한 상재지역이다. 이에 국민들이 올바른 인식과 지식으로 대비해야 할 것이다.

안드로이드를 이용한 구제역 정보제공 (Foot-and-mouth Disease Information Using Android)

  • 최은규;김치호;이상윤;송주환;하윤혜;황건순;김태형;손원근;김기연;김현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137-141
    • /
    • 2012
  • 구제역은 우제류에 감염되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2010년에 발병하여 우리나라에 많은 피해를 주었다. 구제역 발병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그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제역 발생지역, 발병증상, 구제역 속보 등의 메뉴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축산농가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를 통해 축산 농장주들이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농장주들이 구제역에 대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게 하였으며, 농장 지역 부근에서 구제역이 발생했을 경우 빠르고 신속하게 구제역 발병에 대응할 수 있게 되어 구제역의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Bovine과 Caprine유(乳)로부터 Glycomacropeptide 분리: 트립신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억제 효과 (Separation of Glycomacropeptide from Bovine and Caprine Milk: Effect of Its Tryptic Hydrolysate on the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 김상범;류진수;기광석;이왕식;이현준;양승학;김현섭;최충국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25-33
    • /
    • 2009
  • 본 연구는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유로부터 glycomacropeptide(GMP)를 분리하였으며, 각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 억제 효과를 in vitro상에서 알아보았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의 GMP는 분자량이 모두 약 20 KDa이었으며, sialic acid 함량은 각각 $36.86{\pm}2.36$, $37.98{\pm}1.27$$31.19{\pm}1.87{\mu}g/mg$이었다. 또한 모든 개체의 GMP에서 tyrosine이 검출되었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반응 30초에 4.02, 5.51 및 12.77%로 각각 나타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소판의 현미경 관찰 결과 가수분해물 첨가 후 혈소판 수가 증가하였으나, 첨가 후 30초가 경과한 시점부터 혈소판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120초 후에는 관찰 할 수 없었다. 본 실험 결과 bovine 및 caprine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small peptide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연구는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동기우군의 정의에 따른 유량, 유성분, 체세포 점수간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among Milk Yield, Milk Composition, and Somatic Cell Scores by Definition of Contemporary Group)

  • 정운영;조광현;최태정;최재관;최호성;조주현;최연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13-121
    • /
    • 2012
  • 본 연구는 2005년에서 2009년까지 수집된 150,624개의 국내 젖소 산유능력 검정자료를 사용하여 두 가지 동기우 그룹 정의에 따른 산차, 체세포 점수가 305일로 보정된 유량, 유지방량, 유단백량, 무지고형분량에 미치는 효과와, 유량 및 유성분 간 상관관계에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보고자 실시하였다. 첫 번째 동기우 그룹은 동일농장과 출생년도, 계절로 정의하였고, 두 번째는 농장과 분만년도, 계절을 동기우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동기우 그룹을 출생년도로 구성하였을 때 동기우 그룹과 산차 및 체세포 점수가 유량과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유단백질량, 무지고형분량, 유지방량에 대해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동기우 그룹을 분만년도로 하였을 때에도 유량에 대한 체세포점수 및 산차 효과가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유단백질량, 유지방과 무지고형분량에 대해서도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출생년도를 사용한 모델에서 생산형질간 표현형상관을 본 결과 유량과 유단백량, 유지방, 무지고형분량은 고도의 정의 상관이 나타났으나, 유량과 체세포 점수 간에는 -0.09의 상관을 나타냈다. 분만년도를 동기우 그룹으로 사용한 모델에서의 표현형상관을 보면 유량과 유단백질 및 유지방간에 출생년도를 사용한 모델과 거의 비슷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유량과 체세포간에는 -0.10, 유단백질, 유지방, 무지고형분량과 체세포간에는 각각 -0.08, -0.08, -0.11의 상관을 보였다.

유기물원이 다른 퇴비연용시 퇴비시용 한계량 연구 (Amount of Maximum Compost Application on the Long-term Application with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in Upland Soil)

  • 김종구;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2-192
    • /
    • 2000
  • 본 연구는 밭토양에서 종류가 상이한 퇴비시용 시 퇴비시용 한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토양은 양토와 사양토를 사용하였고, 시험에 사용한 퇴비의 종류는 계분퇴비, 우분퇴비, 분뇨잔사 및 식품오니퇴비 이었다. 퇴비 시용량은 0, 40, $80Mg\;ha^{-1}$ 수준이었고, 공시작물은 콩과 옥수수로서 1994년부터 1997년도까지 4년간 연작을 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옥수수의 건물생산량은 퇴비 시용량이 증가될수록 증가되었으나 콩은 퇴비 $60Mg\;ha^{-1}$ 시용까지는 증가되다가 그 이상은 감소되었다. 질소와 인산 이용율은 옥수수가 콩보다 많았으며, 질소 이용율은 옥수수가 21~31%, 콩은 8~19%였고, 인산 이용율은 옥수수와 콩이 각각 5~7%. 1~2%로 낮은 편이었다. Biomass기준 계분퇴비 시용 한계량은 옥수수재배시는 $39{\sim}47Mg\;ha^{-1}$ 콩 재배시는 $8{\sim}13Mg\;ha^{-1}$범위 이었다. 작물의 질소 요구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는 옥수수 $123Mg\;ha^{-1}$, 콩은 $87Mg\;ha^{-1}$였고, 인산기준으로는 옥수수 $29Mg\;ha^{-1}$ 콩은 $14Mg\;ha^{-1}$범위였다. 토양의 염기포화도 80%를 한계수준으로 평가한 토성별 퇴비시용 한계량은 옥수수재배시 양토는 $69{\sim}93Mg\;ha^{-1}$, 사양토는 $49{\sim}69Mg\;ha^{-1}$범위이었다.

  • PDF

Ivermectin이 함유된 우분이 줄지렁이에 미치는 영향 (Erects of Ivermectin Contained-Cattle Dung on the Development of Earthworm, Eisenia fetida)

  • 방혜선;나영은;김명현;한민수;이정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4-117
    • /
    • 2007
  • 가축용 구충제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ivermectin이 토양 동물중 대표적인 비표적 생물인 지렁이(Eisenia fetida)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Ivermectin $250{\mu}g$를 피하주사한 소로부터 배출되는 우분을 1, 2, 3, 7일째 채취하여 생물검정을 시도한 결과 1, 2일째 배출된 우분은 급성 독성을 나타내어 73.7%와 98.3%의 치사율을 보였다. 또한 발육율에 있어서도 1일째 우분을 섭취한 줄지렁이의 발육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혀 산란을 하지 못했다. Ivermectin 처리후 1, 2 일째 배출된 우분은 지렁이에 있어 급성독성을 나타내고 2세대의 부화율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3일째 이후 배출된 우분에서는 급성 및 만성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ivermectin을 소에 처리하고 1, 2일째 배설된 우분에는 상당량의 ivermectin이 함유되어 지렁이등과 같은 분해성 비표적 생물의 발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관찰되어 초지에서 영양물질 순환의 차원에서나 지렁이 먹이로써의 우분에 대한 관리가 요망되는 바이다.

밭 토양에서 가축분퇴비 연용시 토양 유기물 Fraction (Soil Organic Matter Fractions in Upland Soil under Successive Application of Animal Manure Composts)

  • 윤홍배;이연;유창연;양재의;이용복;이기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00-404
    • /
    • 2007
  • 본 연구는 밭 토양에 계분, 돈분, 우분 및 톱밥을 혼용하여 부숙시킨 계분톱밥,돈분톱밥 및 우분톱밥퇴비 등 성상이 상이한 가축분퇴비 6종을 각각 매 년 $3ton\;C\;ha^{-1}$를 4년간 연용한 토양에서 탄소 분획 변화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가축분퇴비 4년 연용 후 토양 탄소함량의 증가율은 톱밥을 혼용하지 않은 계분, 돈분 및 우분퇴비 시용구는 25-30% 증가 한 반면, 우분톱밥퇴비구(COMS)를 비롯한 톱밥혼용퇴비 처리구 증가율은 40%를 상회하였다. Light Fraction(LF)의 탄소함량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2년차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반면, Heavy Fraction(HF)의 탄소함량은 톱밥 혼용퇴비보다 순수 가축분퇴비를 연용한 처리구가 증가량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톱밥이 혼용된 가축분 퇴비보다 톱밥을 혼용하지 않은 순수가축분 퇴비가 분해보다 빠름으로 인해 비교적 안정된 탄소형태로의 전환도 많아졌다고 사료된다.

Covariance Among Lactation Number, Growth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and Milk Yield in Holstein Dairy Cows in Korea

  • Kim, Tae-Il;Mayakrishnan, Vijayakumar;Baek, Kwang-Soo;Jeong, Ha-Yeon;Park, Boem-Young;Lim, Dong-Hyun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6호
    • /
    • pp.137-144
    • /
    • 2017
  • A diverse of recommendation has been made for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dairy cows, despite demanding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lactation number and various factors is yet to be established.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variance among lactation number, growth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and milk production was considered to increase an efficiency of selection schemes and to manage more efficiently Holstein dairy cows that have been raised on small-scale family farms in Republic of Korea. For that purpose, the data were observed from 850 Holstein dairy cows, which a total of 3929 milking, since April 2016 - January 2017. We measured the body weight, height, age, calving interval, and milk production of the each dairy cow. Also, information about the date of lactation, calving interval, and milk production was recorded using an automatic milking system(AMS) with identification numbers. Milk production was calculated per udder quarter in the AMS. Our study results showed the increased average body weight(p>0.05) in 1, 2, 3, and $4^{th}$ lactating dairy cows and afterwards, we noticed the tendency on the average body weight(p<0.05) per lactation progres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noticed on height measurement of dairy cows. From the processing data of 850 Holstein dairy cows, the lactation number 1 and 7 had a greater calving interval with significantly lowered milk production, and the lactation number 2, 3, 4, 5, and 6 had significantly lowered the calving interval(p<0.05) with a greater milk production. From our study results, we evidenc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ctation number, growth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and milk yield, and the maximum production of milk occurring in the $3^{rd}$ and $4^{th}$ lactation dairy cows. The achieved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by the small-scale farmers to encourage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growth performance, calving interval, and milk yield in Holstein dairy cows in Korea.

Associations of Puerperal Metritis with Serum Metabolites, Uterine Health, Milk Yield,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 Jeong, Jae-Kwan;Kang, Hyun-Gu;Kim, Ill-Hwa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258-265
    • /
    • 2018
  • We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uerperal metritis (PM) and serum metabolites, uterine health, milk yield,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Blood samples from 150 Holstein dairy cows were collected just after calving, and at 1, 2, and 4 weeks postpartum to measure serum concentrations of ${\beta}$-hydroxybutyrate (BHBA), urea nitrogen, total cholesterol (TCH), album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calcium, and magnesium. PM was diagnosed by the presence of fever (${\geq}39.5^{\circ}C$) and a watery, fetid uterine discharge during the first 14 days after calving. Cow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sease: a control group (n = 83) and a PM group (n = 67). The cows diagnosed with PM were subcutaneously administered with 2.2 mg/kg ceftiofur for 3-5 days. The serum concentrations of BHBA tended to be higher (P = 0.06) and AST was higher (P < 0.05) in the P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1 week after calving, whereas serum concentrations of urea nitrogen, TCH, albumin, calcium, and magnesium were lower (P < 0.05-0.0001) after calving in the P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robability of clinical endometritis was higher (odds ratio = 5.40, P < 0.001) in the P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proportion of neutrophils in the uterus was also higher in the P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4, 6, and 8 weeks after calving (P < 0.001). The mean milk yield 1 and 2 months after calving was lower (P = 0.05) in the P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hazard of pregnancy by 180 days after calving tended to be lower (hazard ratio = 0.60, P = 0.07) in the P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which led to an extended mean interval between calving and pregnancy (19 days) in the PM group (P < 0.01). In conclusion, PM is associated with higher postpartum concentrations of BHBA and AST, and lower concentrations of urea nitrogen, TCH, albumin, calcium, and magnesium. Moreover, PM is associated with subsequent poor uterine health, lower milk yield, and poorer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