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er net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5초

Analysis of body size selectivity of by-catch using the cover net method for a shrimp beam trawl

  • Kim, Yonghae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2호
    • /
    • pp.171-178
    • /
    • 2015
  • Selectivity and by-catch are the main features used to define fish catch for fisheries management or to determine fishing gear efficiency. A fish girth distribu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tention rate of juveniles discarded and to establish common selectivity for a multispecies catch. Total body length, body weight, and girth of juvenile fish retained in the cod-end and cover net separately were collected using an 18-mm mesh cover net during 12 fishing trials with a 41-mm cod-end beam trawl. The by-catch weight ratio in the cod-end was twice that of the by-catch ratio in number. The 50% selectivity of body length and 50% girth of redfin velvet fis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d-end and cover net, whereas those of other fish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d-end and cover net. The difference in 50% selectivity girth of other fish between the cod-end and cover net was similar between cod-end mesh size and cover net mesh size.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50% body length selectivity of other fish between the cod-end and cover net was almost double the difference in girth. Girth selectivity in a multispecies catch using towed fishing gear was effectively used to determine fish and net mesh size.

Analysis on the body size selectivity for multi-species of discarding juvenile fishes in the bottom trawl

  • KIM, Yonghae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3호
    • /
    • pp.181-189
    • /
    • 2019
  • Discarding juvenile fishes under girth 16 cm nearly equal to inner perimeter of codend mesh size collected by a cover net method in bottom trawl. The body size of the main five species (mackerel, horse mackerel, sea bream, melon seed and black throat seaperch) was measured for their body length, girth, weight, height and width and analyzed size selectivity. Frequency of penetrating fish as retention in a cover net was less than 40% of total number of juvenile discarding fish. The most of body length or girth of five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the codend and in the cover net. The 50% selection girth in the cover net ranged 8-11 cm were smaller than those in the codend ranged 9-13 cm by the species respectively. The 50% selection body length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ratio of body height (H) by body width (W) both for in the codend or in the cover net while 50% selection girth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H/W. Furthermore 50% selection fish size by fish species between in the codend and in the cover ne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oth in body length or girth. Therefore, the girth selectivity represented possibly as one unique value regarding fish body shape was considered as more useful method for multi-species catch in trawl.

항공 및 위성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 관련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구축 및 알고리즘 적용 연구 (A Study of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Algorithm of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on Land use/cover Using Aerial Photograph and Satellite Images)

  • 이성혁;이명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1호
    • /
    • pp.871-88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 및 위성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 관련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를 구축, 검증 및 알고리즘 적용의 효율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지피복 8개 항목에 대하여 고해상도의 항공영상 및 Sentinel-2 인공위성에서 얻은 이미지를 사용하여 0.51 m 및 10 m Multi-resolution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또한, 학습 데이터의 구성은 Fine data (총 17,000개) 와 Coarse data (총 33,000개)를 동시 구축 및 정밀한 변화 탐지 및 대규모 학습 데이터셋 구축이라는 2가지 목적을 달성하였다. 학습 데이터의 정확도를 위한 검수는 정제 데이터, 어노테이션 및 샘플링으로 3단계로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검수가 완료된 학습데이터를 Semantic Segmentation 알고리즘 중 U-Net, DeeplabV3+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공영상 기반의 토지피복 평균 정확도는 U- Net 77.8%, Deeplab V3+ 76.3% 및 위성영상 기반의 토지피복에 대한 평균 정확도는 U-Net 91.4%, Deeplab V3+ 85.8%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된 고해상도 항공영상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셋은 토지피복 변화 및 분류에 도움이 되는 참조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향후 우리나라 전체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셋 구축 시, 토지피복을 연구하는 다양한 인공지능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딥러닝 기반의 영상분할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Sematic Image Segmentation with Deep Learning)

  • 이성혁;김진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9-28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항공정사영상을 이용하여 SegNet 기반의 의미분할을 수행하고, 토지피복분류에서의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의미분할을 위한 분류 항목을 4가지(시가화건조지역, 농지, 산림, 수역)로 선정하였고, 항공정사영상과 세분류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총 2,000개의 데이터셋을 8:2 비율로 훈련(1,600개) 및 검증(400개)로 구분하여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은 훈련과 검증으로 나누어 학습하였고, 모델 학습 시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하이퍼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검증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SegNet 모델 검증 결과 반복횟수 100,000회, batch size 5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훈련된 SegNet 모델을 이용하여 테스트 데이터셋 200개에 대한 의미분할을 수행한 결과, 항목별 정확도는 농지(87.89%), 산림(87.18%), 수역(83.66%), 시가화건조지역(82.67%), 전체 분류정확도는 85.48%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존의 항공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분류연구보다 향상된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딥러닝 기반 의미분할 기법의 적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채널의 자료와 지수의 활용과 함께 분류 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SResUnet 모델을 이용한 위성 영상 토지피복분류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Satellite Image using SSResUnet Model)

  • 강주형;김민성;김성진;곽수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456-463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고해상도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정밀한 토지피복분류를 위해 U-Net 네트워크 모델에 SPADE 구조를 결합한 SSResUNet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위성 영상의 공간적 특성을 보존하여 복잡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강인한 분류모델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목적실용위성 3A 영상을 통해 학습한 결과 기존 U-Net, U-Net++ 대비 뛰어난 결과를 보였으며 평균 IoU 76.10, Dice 86.22의 성능을 도출하였다.

RapidEye 위성영상과 Semantic Segmentation 기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Land-Use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Semantic Segmentation-Based Deep Learning Model and RapidEye Imagery)

  • 심우담;임종수;이정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9-282
    • /
    • 2023
  • 본 연구는 딥러닝 모델(deep learning model)을 활용하여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으며 입력 이미지의 크기, Stride 적용 등 데이터세트(dataset)의 조절을 통해 토지피복분류를 위한 최적의 딥러닝 모델 선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적용한 딥러닝 모델은 3종류로 Encoder-Decoder 구조를 가진 U-net과 DeeplabV3+, 두 가지 모델을 결합한 앙상블(Ensemble) 모델을 활용하였다. 데이터세트는 RapidEye 위성영상을 입력영상으로, 라벨(label) 이미지는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토지이용의 6가지 범주에 따라 구축한 Raster 이미지를 참값으로 활용하였다.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데이터세트의 질적 향상 문제에 대해 주목하였으며 딥러닝 모델(U-net, DeeplabV3+, Ensemble), 입력 이미지 크기(64 × 64 pixel, 256 × 256 pixel), Stride 적용(50%, 100%) 조합을 통해 12가지 토지피복도를 구축하였다. 라벨 이미지와 딥러닝 모델 기반의 토지피복도의 정합성 평가결과, U-net과 DeeplabV3+ 모델의 전체 정확도는 각각 최대 약 87.9%와 89.8%, kappa 계수는 모두 약 72% 이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64 × 64 pixel 크기의 데이터세트를 활용한 U-net 모델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딥러닝 모델에 앙상블 및 Stride를 적용한 결과, 최대 약 3% 정확도가 상승하였으며 Semantic Segmentation 기반 딥러닝 모델의 단점인 경계간의 불일치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임관 제거가 루브라참나무림의 셀룰로오스 분해와 질소 무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nopy Removal on Cellulose Decompositi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in Quercus rubra Stands)

  • Kim, Choonsi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2호
    • /
    • pp.219-230
    • /
    • 1995
  • Although many studies of nutrient cycling in forest ecosystems have reported that clearcutting creates increased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and nitrogen (N) mineralization in soils, little is known about the change of these factors following various levels of canopy removal. A series of experimental plots with four levels of canopy cover, i.e., clearcut, 25%, 75%, and uncut, was established in northern red oak (Quercus rubra L.) stands in northern Lover Michigan, U.S.A. I examined decomposition of cellulose filter papers and N mineralization using an in situ soil incubation technique in the top 15cm of mineral soil during the second growing season (1992, May-October) following stand manipulation. Mass loss from cellulose filter papers was more rapid in the canopy removal treatments than in the uncut treatment. similarly, net N mineraliz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canopy removal treatments than in the uncut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t N mineralization rates among the three levels of canopy removal. Net N mineralization for the growing season was 58 kg/ha for the clearcut, 54 kg/ha for the 25% canopy cover, 51 kg/ha for the 75% canopy cover, and 22 kg/ha for the uncut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ven only small amounts of canopy removal (leaving 75% canopy cover) let to substantial increases of cellulose de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available soil nitrogen.

  • PDF

위성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 분류 항목별 딥러닝 최적화 연구 (A Study on Deep Learning Optimization by Land Cover Classification Item Using Satellite Imagery)

  • 이성혁;이명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591-1604
    • /
    • 2020
  •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공간객체별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Fully Convolutional Network계열의 알고리즘을 선정하였으며, Kompasat-3 위성영상, 토지피복지도 및 임상도를 활용하여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을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각각 최적 하이퍼파라미터를 산출하였다.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이후 최종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전체 정확도는 DeeplabV3+가 81.7%로 가장 높게 산정되었다. 그러나 분류 항목별로 정확도를 살펴보면, 도로 및 건물에서 SegNet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활엽수, 논의 항목에서 U-Net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DeeplabV3+의 경우 밭과 시설재배지, 초지 등에서 다른 두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통해 토지피복 분류를 위해 하나의 알고리즘 적용에 대한 한계점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공간객체별로 적합한 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높은 품질의 토지피복분류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인항공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도시지역 토지피복 분류 기법의 공간적 재현성 평가 (Spatial Replicability Assessment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Urban Area)

  • 박건웅;송봉근;박경훈;이흥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3-80
    • /
    • 2022
  • 현실의 공간을 가상의 공간으로 구현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복잡한 도시 내의 정밀한 공간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복잡한 경관을 가진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무인항공기를 통해 영상을 취득하고 고해상도 영상에 적합한 영상분류 기법인 객체기반 영상분석 기법과 의미론적 분할 기법을 적용하여 토지피복 분류를 수행하였다. 또한, 동일시기에 수집된 영상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학습하지 않은 지역에 대해 각 인공지능 모형의 토지피복 분류 재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 지역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모형을 학습하였을 때, 토지피복 분류 정확도가 OBIA-RF는 89.3%, OBIA-DNN은 85.0%, U-Net의 경우 95.3%로 분석되었다.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검증 지역에 인공지능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OBIA-RF는 7%, OBIA-DNN은 2.1%, U-Net은 2.3%의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형태학적인 특성과 분광학적인 특성을 모두 고려한 U-Net이 토지피복 분류 정확도 및 재현성 평가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밀한 공간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기초자료 생성 방법으로써 도시환경 연구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sidual U-Net을 이용한 토지피복지도 자동 제작 연구 (Automatic Generation of Land Cover Map Using Residual U-Net)

  • 유수홍;이지상;배준수;손홍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535-546
    • /
    • 2020
  • 환경부에서는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지도를 1998년부터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으나, 권역별 제작 주기가 달라 활용성이 저하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정사영상과 Landsat 8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지도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지피복지도를 자동적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딥러닝 기반 세그먼테이션 방법의 하나인 Residual U-Net을 활용하였다. 토지피복지도의 제작 시기와 가장 근접한 시기의 항공 및 위성영상을 신경망을 통하여 학습하고, 학습결과를 3가지 실험군으로 나누어 토지피복지도와 비교하여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군으로 대분류 7개 전체를 활용한 결과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대분류 4개에만 적용된 결과보다도 향상된 86.6 %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중분류를 일부 포함한 2개의 실험군의 경우에는 71 %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경망을 활용한 대분류 항목에 대한 자동 분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중분류 및 세분류에 대한 기초연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