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rs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31초

기록분류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적용 구조 및 운용 분석 -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Application Framework of the Business Reference Model to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s in Korean Central Government Agencies)

  • 설문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51
    • /
    • 2013
  • 이 연구는 정부기능분류체계가 기록분류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6개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리전문직 6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친 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선 공공기록물관리법률 분석을 통해 기록물분류제도를 살펴본 후, 정부기능분류체계를 기록분류에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편익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면담 자료를 토대로 단위과제를 활용한 기록물철 분류의 실태와 문제점을 구조 및 운용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A Recommendation System using Dynamic Profiles and Relative Quantification

  • Lee, Se-Il;Lee, Sang-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7권3호
    • /
    • pp.165-170
    • /
    • 2007
  • Recommendation systems provide users with proper services using context information being input from many sensors occasionally unde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But in case there isn't sufficient context information for service recommendation in spite of much context information, there can be problems of resulting in inexact result. In addition, in the quantification step to use context information, there are problems of classifying context information inexactly because of using an absolute classification course. In this paper, we solved the problem of lack of necessary context information for service recommendation by using dynamic profile information. We also improved the problem of absolute classification by using a relative classification of context information in quantification step. As the result of experiments, expectation preference degree was improved by 7.5% as compared with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s using an absolute quantification method where context information of P2P mobile agent is used.

지식분류에 대한 동서양의 비교 - 베이컨의 분류와 사고전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con의s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SAGOJEONSEO Classification)

  • 이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5-38
    • /
    • 2000
  • 지식 분류는 그 대상 목적 시대, 지역, 학자에 따라 각기 다른 지식 체계의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분류의 내용을 살펴보면, 지식의 표현 방식이 다르고 지식표현의 배열이 우선 순위로 차이가 있을 뿐이지, 그 시대나 지역에서 내용의 류구분은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지식분류나 문헌분류는 그 시대의 사회적 구조를 반영하는 형태를 취하며 그 시대의 사회철학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과거의 지식 체계의 기본 골격은 고대에 형성된 후 계속해서 변화해 왔다. 이 변화의 과정에서 학문의 발전은 다른 학문 분야를 형성시켜 전체 학문 체계의 변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앞으로도 이러한 발전은 계속해서 일어나 많은 새로운 분야의 지식이 나타날 것이며 지식분류의 한자리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 PDF

영양사 배출 관련학과의 전공과목 강화 및 개발에 관한 연구 제2보 -교과과정 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inforcement and Development of Course Programs 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Related Studies 2nd Report - A Study on Course Programs Analysis at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

  • 박명희;최봉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31
    • /
    • 1996
  • In order to reinforce and develop major courses in dietitian producing department, this study analysed and compared the courses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related studies at 4-year and 2-year colleg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major courses provided by universities(33.2 courses) and junior colleges(32.6 courses), and universities(103) showed higher than junior colleges(79.9) with respect to total credit of courses. 2. Food Chemistry had highest credit(universities=1,532, junior colleges=1,037), while Nutrition Education had lowest credit (universities= 143, junior colleges=99) in the distribution of courses by way of major or classification. 3. The number of courses provided by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was similar by way of minor classification. Especially, courses related to Food Chemistry showed highest frequency (universities=15, junior college=11) and percentage of credit (universities=32.6 junior college=34.3%), while courses related to Nutrition Education were one subject and percentage of credit was 3.0%. 4. Compared to percentage of the number of questions occupied in national qualifying examination for dietitians,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credit provided by courses programs is higher in Biochemistry(universites 10.6%, junior colleges 7.5%) and Food Chemistry and Principles of Cooking(universites 27.0%, junior colleges 25.2%), but is lower in Diet Therapy(universites 7.6%, junior colleges 6.7%) and Nutrition Education(universites 4.9%, junior colleges 4.8%)

  • PDF

어선원 기초안전교육 교육과정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Safety Training Course and Regulation for Fishing Vessel Seafarers)

  • 조장원;한세현;김기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857-868
    • /
    • 2017
  • The basic safety training for fisheries is being conducted to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and prevent the maritime accidents. A new joined person must be educated the safety training and a refresher must be completed the refresher training course every 5 year in according to the STCW-F and seafarers' Ac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marine safety training,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trainees by ship's type and the courses should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equipment of fishing vessels. However, sinc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seafarers' Act are unclear, the officer of fishing vessels which is over G/T 25 tons has been trained through the same course and curriculum for merchant ship's seafarers. About 80 % of domestically registered fishing vessels are small size ships(less than 100 tons) and there is not many safety equipment required by law. In case of marine accidents such as collision, the small vessel losses its buoyancy and stability caused by damage of hull. despite fisheries fall into the sea during fishing work in bad weather on the deck, there was no safety equipment by law. So fisheries must be trained by a safety training course suitable for fishing vess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suitable course for fisheries by analysis current curriculum and rules. so suggested the basic safety training course for fisheri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의 시간당 수강료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Hourly Course Fee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ourse)

  • 최영섭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9-249
    • /
    • 2019
  • 현재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재정 지원은 NCS 직종 분류에 따라 설정된 NCS 기준 단가에 따라 집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준단가 제도는 훈련분담금-지원금 제도가 운영되는 경우 그에 필요한 행정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NCS 기준단가가 훈련과정별 수강료를 기준으로 함에 따라 직업훈련 정책의 사회통합적 기능을 왜곡시킬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앞으로 합리적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로서, 훈련기관에서 책정하는 훈련과정별 수강료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로 훈련기관의 독점적 성격이나 훈련참여자의 높은 지불의사가 수강료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정부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재정지원에서 이러한 영향을 제거하고 실제 훈련공급비용에 가까운 지원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훈련정책이 사회적 통합성 제고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근본적으로 모든 훈련과정의 정확한 훈련공급비용을 보전해 줄 수 없다면 정부의 정책적 판단을 중심으로 하는 지원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시계열 분류를 위한 PIPs 탐지와 Persist 이산화 기법들을 결합한 시계열 표현 (Time Series Representation Combining PIPs Detection and Persist Discretization Techniques for Time Series Classification)

  • 박상호;이주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97-106
    • /
    • 2010
  • 시계열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시계열 표현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SAX(Symbolic Aggregate approXimation)는 단편화와 이산화 기법들을 결합한 시계열 표현 방법으로, 시계열 분류 문제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SAX는 시계열의 움직임을 평활하여 시계열의 중요한 동적 패턴들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 세그먼트 수를 크게 해야 한다. 본 논문은 PIPs (Perceptually Important Points)탐지 기법과 Persist 이산화 방법을 결합한 시계열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시계열의 중요한 변곡점들을 나타내는 PIP 들을 탐지하여 고차원 시계열의 동적 움직임을 저차원 공간에서 표현한다. 그리고 시계열의 자기 전이와 주변 확률 분포를 KL 다이버전스에 적용하여 최적의 이산화 영역들을 결정한다. 제안된 방법은 시계열의 차원 축소과정에서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여 시계열 분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과색소침착질환에 대한 침구의학적 처치 및 분류체계에 대한 고찰 (Review of Acupuncture and Related Treatments and Classification of Hyperpigmentation Disorders in Traditional Medicine)

  • 강기완;김의별;김민지;장인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69-77
    • /
    • 2016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xternal approaches using acupuncture and related treatments of hyperpigmentation disorders and their classification in traditional medicine. Methods and Results : Hyperpigmentation wa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Treatise on the Pathogenesis and Manifestations of All Diseases published in 610 A.D. This suggests that the symptom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disease in East Asia for more than 1,400 years. Over the course of several centurie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evolution in the traditional treatments for hyperpigmentation.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therapy, including body acupuncture, intradermal acupuncture, ear acupuncture, ear acupressure, blood-letting treatment, pharmacopuncture, plum-blossom needle therapy, burning acupuncture therapy, moxibustion, and guasha. In addition,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hyperpigmentation has been changing shape. However, no attemp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the academic linkage between the modern classification of hyperpigmentation disorders and the traditional one, on account of different concepts and names of the ailment. This study was designed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linkage of the categorization of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KCD) and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Conclusions : Through this literature review, we found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evolution in the treatment of hyperpigmentation disorders in East Asia.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for skin disease, including hyperpigmentation, is expected to be further developed with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딥러닝을 이용한 강좌 추천시스템 (Cours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 임민아;황승연;신동진;오재곤;김정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93-198
    • /
    • 2023
  • 딥러닝을 이용한 학습자 맞춤 강의 추천 프로젝트를 연구한다. 추천시스템은 웹과 앱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이 특성을 이용한 예제는 사용자 클릭으로 특성 영상 추천과 SNS에서 평소 사용자가 관심 있던 분야의 아이템을 광고하는 것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장 유사도인 Word2Vec를 주로 이용하여 2번의 필터링을 거쳤으며 Surprise 라이브러리를 통해 강좌 추천을 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사용자에게 간편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분류의 강좌 데이터를 제공한다. Surprise 라이브러리는 Python scikit-learn 기반의 라이브러리이며 추천시스템에 편리하게 사용된다.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스템을 빠른 속도로 구현하고 딥러닝을 사용하여 강좌 단계를 거쳐 보다 더 정밀한 결과를 구현해낸다. 사용자가 관심 있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키워드와 강좌 제목과의 유사도를 실행하고 추출된 영상 데이터로 또 음성 텍스트와의 유사도를 실행하여 추출된 데이터로 Surprise 라이브러리를 통해 가장 높은 순위의 영상 데이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