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nterfactual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Simulation in VTS

  • 정기남;김종철;박건호;박금배;박수환;김만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6-298
    • /
    • 2015
  • 자율적인 행위자들로서 서로 영향을 끼치며 상호작용하는 선박들을 관제하는 VTSO는 불확실성으로 인한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상황을 파악하여 최선의 의사결정을 하여야 한다. VTSO는 항상 미래의 상황을 예측하면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때 VTSO에게 요구되는 것이 바로 시뮬레이션 능력이다. 시뮬레이션은 삽화기억의 구성적 성격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삽화기억의 메커니즘은 미래 계획에도 그대로 활용된다. 본고에서는 반사실적 사고가 시뮬레이션에 어떻게 작동되는가를 살펴보고, VTS 상황에 이를 적용하여 보았다. 특히 반사실적 사고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VTSO가 업무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떻게 학습하여야 하는가를 고찰하였다.

  • PDF

An Introduction to Causal Mediation Analysis With a Comparison of 2 R Packages

  • Sangmin Byeon;Woojoo Le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4호
    • /
    • pp.303-311
    • /
    • 2023
  • Traditional mediation analysis, which relies on linear regression models, has faced criticism due to its limited suitability for cases involving different types of variables and complex covariates, such as interactions. This can result in unclear definition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s an alternative, causal mediation analysis using the counterfactual framework has been introduced to provide clearer definition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hile allowing for more flexible modeling methods. However,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is approach based on the counterfactual framework remains challenging for applied researchers. To address this issue, the present article was written to highlight and illustrate the definitions of causal estimands, including controlled direct effect, natural direct effect, and natural indirect effect, based on the key concept of nested counterfactuals. Furthermore, we recommend using 2 R packages, 'medflex' and 'mediation', to perform causal mediation analysis and provide public health examples. The article also offers caveats and guidelines for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Evaluation of the Policy Effects of Free Trade Agreements: New Evidence from the Korea-China FTA

  • Xiang Li;Hyukku Lee;Seung-Lin Hon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6권6호
    • /
    • pp.41-60
    • /
    • 2022
  • Purpose - The policy implications of free trade agreements have traditionally been a matter of debate among economists. The official signing of the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provides economists with a quasi-natural experiment to analyze the FTA's policy effects. This article aims to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impact of Korea's FTA accession on the macro economy. Design/methodology - This study adopts the counterfactual method based on panel data to find common factors in the generation process of macro data to fit the counterfactual path, to accurately evaluate the effect of the macro policy. Findings - Our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signing of the Korea-China FTA has a relatively significant short-term positive effect on Korea's economic growth. On average, Korea's real GDP growth rate has increased by 2.1%. This study finds evidence in support of FTA signing not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GDP growth in the long run. Additionally, we evaluated the impact of the FTA on Korea's imports and exports and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in the short term, but the trade effect of the FTA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xternal macro-environment. Originality/value - First, this study uses macro panel data at the national level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Korea-China FTA on Korea, and more accurately describes the policy effect of the FTA. Second,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Korea-China FTA policy impact is subject to occasional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geopolitical conflict (crisi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 US-China trade war. Finall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hort-term effect of FTA is significant but the long-term is uncertain, which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debate on whether joining FTA can promote national economic growth.

사후가정사고의 심리적 기능과 응용적 가치 (Psychological functions and values of counterfactual thinking)

  • 허태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2호
    • /
    • pp.171-190
    • /
    • 2002
  • 이미 일어난 사실과 다른 가상의 상황을 상상해 보는 "만약 ...다면, ...했을 텐데"와 같은 사고과정을 사후가정사고라 하며, 이러한 사고가 흔히 '후회'와 같은 부정적 감정의 경험을 수반하고 심리적 부적응과 관련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후가정사고와 후회경험의 긍정적 측면, 즉 인간의 동기에 부합하거나 또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능적 역할을 지지하는 연구들을 통합하여 그 응용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사회심리학자들은 사후가정사고에서 가상상황이 현실의 사실보다 나을 때와 못할 때에 따라 각각 상향적과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로 분류하였으며, 또한 그 구조에 따라 첨가형과 삭제형 사후가정사고로 분류하였다.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후회, 실망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동반하며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안도, 기쁨과 같은 긍정적 감정을 동반한다. 사후가정사고의 기능적 가치를 제안하는 일련의 연구를 통해, 사회심리학자들은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정서적 기능(부정적 감정의 완화와 긍정적 감정의 증대)을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미래준비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나아가, 조절적 동기에 관련된 일련의 연구들에서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향상적 동기와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예방적 동기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후가정사고와 후회의 경험이 반드시 통제해야만 하는 부정적인 경험이 아닌 미래의 성공을 위한 준비적 기능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사후 가정사고의 다양한 현실사회에서의 응용 가치와 그 제한점들을 논의하였다.

  • PDF

The Effect of Counterfactual Thinking on Post-purchase Behavior of Retail Management

  • Kim, Young-Ei;Yang, Hoe-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5-33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counter-factual thinking on post-purchase behavior producing consumer regret at HMR selection and purchase. We have analyzed the factors that HM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businesses should consider becaus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trategy reflecting consumers' deman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direst structured questionnaire to students at 'J' college. A total of 237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at 'J' university. For the hypothesis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regression and structure equation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 The consumers who often resented HMR purchase did counter-factual thinking on post-purchase behavior were likely to do switching purchases. Counter-factual thinking on post-purchase behavior had a negative influence upon consumer's satisfaction with HMR safety and marketing characteristics. Conclusions - Consumers who had been satisfied to a certain degree might have cognitive dissonance of minor mistakes of HMR product were likely to have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through contrast effects. Therefore, HMR producer and distribution businesses that ha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marketing strategy to satisfy consumers by raw material, freshness and safety were likely to switch to another product at one time mistake of selection, purchase and use.

반사실적 데이터 증강에 기반한 인과추천모델: CausRec사례 (A Causal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the Counterfactual Data Augmentation: Case of CausRec)

  • 송희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4호
    • /
    • pp.29-38
    • /
    • 2023
  • A single-learner model which integrates the user's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is proposed by augmenting counterfactual data to the interaction data between users and items, which are mainly used in collaborative filtering in this study. The proposed CausRec showed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NCF model in terms of F1 value and AUC in experiments using three published datasets: MovieLens 100K, Amazon Gift Card, and Amazon Magazine. Compared to the existing NCF model, the F1 and AUC values of CausRec showed 1.2% and 2.6% performance improvement in MovieLens 100K data, and 2.2% and 10% improvement in Amazon Gift Card data, respectively. In particular, in experiments using Amazon Magazine data, F1 and AUC values were improved by 11.7% and 21.9%,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 The performance of CausRec is improved because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item were reflected in the recommendation at the same time. It is judged that the proposed method was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llaborative filtering because it can simultaneously alleviate the sparsity and imbalance problems of the interaction data.

이행적 인과 경로를 통한 원인 효과에 대한 해명: 구조 방정식에 토대한 인과 모형의 원인 효과 개념에 대한 평가와 대안 (Causal Effects Along Transitive Causal Routes: Reconsidering Two Concepts of Effects Found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 김준성
    • 논리연구
    • /
    • 제18권1호
    • /
    • pp.83-133
    • /
    • 2015
  • 이 글에서는 상반된 이중 원인 효과를 해명하는 데 히치콕(Hitchcock 2001a)이 제시한 두 가지 원인 효과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 비판을 상쇄할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다섯 가지를 논의한다. 첫째, 상반된 이중 원인 효과에 관한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오테(Otte 1985)와 엘스(Eells 1987)의 논쟁을 검토한다. 이 검토는 이중 원인 효과에 대한 이해와 그와 관련해 논의할 히치콕, 카트라이트(Cartwright 1979, 1989, 1995), 엘스(Eells 1991, 1995)의 이론들을 비교, 평가하는 준비가 된다. 둘째, 구조 방정식 모형에서 두 원인 효과에 착안하여, 히치콕이 제시한 원인 효과의 두 개념, 망 효과와 요소 효과를 소개한다. 셋째, 이중 원인 효과를 해명하는 데 카트라이트와 엘스의 논쟁을 논의하면서, 동질적 부분 집단의 역할, 인과 상호 작용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넷째, 이중 원인 효과를 해명하는 데 히치콕이 적용한 두 원인 효과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엘스의 이론에 대한 히치콕의 비판을 다시 비판한다. 다섯째, 구조 방정식 모형의 조절 효과 개념을 인과에 대한 확률 이론에 응용하여, 이중 원인 효과에서 초래된 인과 상호 작용을 선언(disjunctive) 관계와 반 사실적 요인으로 형식화하여 보여준다. 조절 효과에 대한 논의는 최근에 많은 주목을 받은 구조 방정식 모형에 토대한 인과 모형 이론들이 인과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선언 관계, 반 사실적 조건을 이용한 인과 상호 작용에 대한 논의는 통계적 방법론으로서 구조 방정식 모형을 제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미디어의 범죄유발 효과에 있어서 사후가정사고의 역할: 처벌결과의 전환성에 따른 범죄의도 (The Role of Counterfactual Thinking in Media's Criminogenic Effects: Criminal Intent with the Mutability of Punishment Consequences)

  • 윤상연;장디;허태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3호
    • /
    • pp.329-347
    • /
    • 2012
  • 범죄미디어에 대한 시청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지만, 범죄미디어가 시청자들의 범죄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그 심리적 기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대부분 사회학습 이론(Bandura, 1978)을 기초로, 범죄자 체포와 처벌이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결과를 확인하여 왔지만, 여전히 결과에 있어서 완전한 일치를 보이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범죄자 체포과정에 대한 사후가정사고가 사회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체포과정에서의 전환성을 조작하고 그에 따른 범죄의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95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리포트 도용상황을 시나리오로 제시하고, 처벌결과와 전환가능성을 달리하는 세 가지 조건(무처벌조건, 우연처벌조건, 필연처벌조건)에 따른 응답자의 도용의도를 측정하였다. 응답자의 실제 도용경험을 공변량으로 하여 조건에 따른 도용의도를 분석한 결과, 같은 처벌을 받더라도 우연처벌 조건에서는 도용의도는 필연처벌 조건의 도용의도보다 높았으며, 처벌을 받지 않은 조건과 같은 수준이었다. 이는 처벌 여부뿐만 아니라 그 처벌과정에 대한 묘사가 범죄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연구의 주장과 일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가지는 형사정책적인 의의와 범죄미디어의 한계와 향후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재병행수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Parallel Reimportation: The Case of Korean Automobile Market)

  • 장우현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6권4호
    • /
    • pp.71-102
    • /
    • 2014
  • 국내시장에 높은 시장지배력을 지닌 사업자가 존재하여 일반적인 외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 활성화나 병행수입 활성화를 통한 국내시장 경쟁도 제고에 한계가 있을 경우, 해당 사업자가 국내에서 생산하여 해외에 수출한 제품을 다시 수입해 오는 재병행수입의 촉진 또한 사회후생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유효한 도구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사실에 주목하여 자동차산업에서의 재병행수입의 경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내 자동차산업의 수요와 공급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추정하여 국내에서 생산되어 미국시장에서 내수시장에서보다 현저히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는 차종들의 재수입 활성화를 가정한 반사실적 실험을 시행한 결과, 재병행수입의 활성화는 기업들의 이윤을 감소시키지만 그 이상의 소비자후생 증가와 함께 소폭의 추가 재정수입 증가를 가져와 전체적으로 사회의 경제적 후생 증가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재병행수입에 관련된 제약에 의한 정책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으므로, 경쟁정책 당국은 물론 산업 및 무역 정책을 담당하는 정책당국이 이와 같은 비용을 간과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Incorporating Ex-Ante Risk in Evaluating Public R&D Programs: A Counterfactual Analysis of the Korean Case

  • Kim, So Young
    • STI Policy Review
    • /
    • 제4권2호
    • /
    • pp.41-54
    • /
    • 2013
  • R&D is inherently an uncertain endeavor, yet now more than ever those performing R&D with public funding are called upon to clarify the utility of their research. Calls for public accountability are mounting with the increase in constraints on government budgets due to the recent worldwide economic recession, in response to which both policymakers and researchers pay much more attention to rigorously assessing publicly funded R&D. A key issue complicating R&D evaluation in these circumstances is how to adequately account for the nature and degree of risk involved in a given R&D program or project. This study deliberates on certain issues involving the measurement of ex-ante risk in public R&D evaluation: (i)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R&D sponsors and performers, (ii) ambiguity in the measurement of returns in both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evaluation, and (iii) the dilemma between measurement error and omitted variable bias for empirical estimation of R&D performance. The study then presents an analysis of hypothetical evaluation results that apply risk-relevant weights to the annual evaluation outcomes of South Korea's national R&D programs funded during 2006~2012. In this counterfactual re-evaluation of public R&D program performance, high-risk R&D programs turn out to receive higher evaluation than non-high-risk program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R&D evaluation ignoring ex-ante risk is not only conceptually invalid since R&D activities are intrinsically uncertain endeavors, but unfair as R&D performers are asked to be accountable for the results that were in fact out of their re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