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tton Stalk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of dietary cotton stalk on nitrogen and free gossypol metabolism in sheep

  • Rehemujiang, Halidai;Yimamu, Aibibula;Wang, Yong L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233-240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otton stalk on nitrogen and free gossypol in sheep. Methods: Treatments included 25% cotton stalk (Treat 1), 50% cotton stalk (Treat 2), and a control (no cotton stalk). Six Xinjiang daolang wethers were cannulated at the rumen and duodenum and fed one of these diets. The effects of these diets on nitrogen and free gossypol absorption and metabolism were determined. Fifteen healthy Xinjiang daolang wethers were assessed for daily gain, tissue lesions, and free gossypol accumulation. Results: Dry matter intake decreased with increasing dietary cotton stalk. Total tract dry matter digestibilit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reatments. Dietary cotton stalk significantly decreased volatile fatty acids and increased ammonium nitrogen in the rumen. Nitrogen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reat 2 than in the control or Treat 1. Nitrogen retention and free gossypol intake increased with dietary cotton stalk. Duodenal free gossypol flow did not increase, and free gossypol almost disappeared from the rumen. The free gossypol content of plasma and tissue was increased with dietary cotton stalk with liver free gossypol>muscle free gossypol>kidney free gossypol. Elevated dietary free gossypol decreased platelets, hemoglobin, and serum iro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gamma}$-glutamyltransferase increased in Treat 2. With high long-term dietary cotton stalk intake, liver cells were swollen, and their nuclei dissolved. Renal cells were necrotic and the interstitia were enlarged. Conclusion: With short-term cotton stalk administration, only a small amount of free gossypol is retained in the body. In response to long-term or high free gossypol cotton stalk feeding, however, free gossypol accumulates in, and damages the liver and kidneys.

부레옥잠과 바나나 잎, 줄기를 사용한 배지에서의 느타리버섯 균사생장 (Mycelial growth of oyster mushroom by substrates of water-hyacinth and banana leaf and stalk)

  • 장현유;이선인;노문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5-48
    • /
    • 2009
  • 느타리버섯 재배에 있어서 부레옥잠과 바나나 잎, 줄기는 단독으로 배지재료로 쓰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면실피를 주재료로 하고 부레옥잠과 바나나 잎, 줄기를 첨가재료로 사용할 경우 부레옥잠을 20% 혼합하였을 때 115mm로 대조구와 같은 균사생장속도를 나타냈고 50%를 혼합하였을 때 103mm로 균사생장속도는 약간 느리지만 균사밀도가 높아 50%까지 대체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나나는 20%를 혼합하였을 때 106mm의 생장속도를 보였고 그 이상의 혼합비에서는 균사생장속도가 늦어지고 균사밀도가 약해졌다. 이는 부레옥잠에서는 주재료의 대체 비율이 20%이상 50%미만 이었고, 바나나 잎, 줄기에서는 20%미만 이었다. 부레옥잠과 바나나 잎, 줄기는 대체배지로 그 생산량이 많고 저가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실증재배를 해 볼 필요가 있다.

  • PDF

팔레높시스의 PLB 증식에 미치는 배지와 배양온도 및 광도의 영향 (Effect of Culture Medium,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PLB Propagation of Phalaenopsis)

  • 김미선;은종선;김재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15-219
    • /
    • 2001
  • 팔레높시스 대량생산시 PLB 증식에 미치는 배지와 배양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PLB 증식량은 MS배지에서 높았지만, 증식된 PLB상태는 NDM배지가 더욱 양호하였다 천연첨가 물인 CW 10% 또는 사과와 감자의 사용은 PLB 증식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이었다. 배지내 지지물에 따른 PLB 증신률은 gelrite가 첨가된 고체배지가 흰색과 분홍색계통 모두 액체탈지면 배지보다 증식이 양호하였다. PLB 증식시 적정 sucrose 농도는 10g/L이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PLB가 유식물체로 재분화되었고 저농도 일수록 증식과 유식물체의 재분화가 모두 억제되었다. PLB증식을 위한 적정 PPF와 온도는 각각 14.3 $\mu$mol.s$^{-1}$m$^{-2}$ , $25^{\circ}C$이었다.

  • PDF

시비량과 재식밀도가 목화의 개화 및 결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tilizer Levels and Plant Densities on Flowering and Bolling in Cotton)

  • 김상곤;박홍재;성병열;정동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36-441
    • /
    • 1992
  • 목화 재배에 있어서 시비량별 재배밀도에 따른 화뢰의 착생, 개화 및 결삭의 양상과 이들 화뢰 또는 삭의 낙하에 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화는 적채면 수확한계기인 8월 25일(목포지방)까지의 전체 개화수의 67%가 개화하였고 그 후 목채면으로 수확할 수 있는 개화수비율은 약 30%였다. 2. 비료수준은 1.5배비(표준비 4-4-5kg/10a)에서 화뢰, 개화 및 삭수가 가장 많았다. 3. 휴폭 50cm의 협폭하에서는 밀식할수록 양분쟁탈에 의한 생육 부진으로 개체당 화뢰, 개화 및 삭수의 감소가 심하였으나 다비조건의 70cm의 광폭에서는 주간이 좁을수록 그 수가 많은 반면에 소식에서는 과번무의 양상을 볼 수 있었다. 4. 화뢰수에 대한 개화비율은 약 70% 정도이고 개화수에 대한 결삭비율은 48% 내외였으며 개화수가 많으면 결삭비율은 오히려 낮아졌다. 5. 화뢰의 낙하비율은 30% 내외이며 협휴밀식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낙뢰율이 높을수록 낙삭율은 낮았다.

  • PDF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of Rehmannia glutinosa L. with Glutathione S-Transferase Gene (Gh-5)

  • Lim, Jung-Dae;Sung, Eun-Soo;Yang, Deok-Chun;Yun, Song-Joong;Chung, Ill-Min;Kim, Myong-Jo;Yu, Chang-Yeo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89-297
    • /
    • 2003
  • Using Agrobacterium-me야ated transformation method the auxin-regulated cotton GST (Gh-5) constructs were used to transform Rehmannia glutinosa L. The PC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ransgenicity. Based on the PCR analysis, there was verified that the 988 bp DNA band had showed in transgenic plant genomes in PCR anaJysis using Gh5-1 and Gh5-2 primers. The effects of cocultivation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regeneration and selection conditions on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of Chinese foxglove (Rehmannia glutinosa L.) were investigated. Factors such as cocultivation period, use of acetosyringone, postcultivation in darkness, and different kanamycin concentrations for selection were assessed. In vitro regeneration, the number of leaves, shoot lengths and numbers on MS medium were superior to on B5 and WPM medium, and the shoot formation rate was highest level of 95% in cultured base part containing leaf stalk. Addition of acetosyringone at concentration of $200{\mu}M$ to cocultivation medium and 3-day of cocultivation improved transformation frequencies. Exposure of explants to darkness for 4 weeks on selection medium resulted in further increased the regeneration frequency of transgenic shoots. In PCR analysis, the amplified fragments of Gh5 gene were detected (988 bp), and GST-expressing transgenic R. glutinosa L. plants had approximately three-fold higher activity in leaf extracts compared with control plant.

우리나라 야생잡초 참외의 자생지 분포지역 및 생태 (Distribution of Habitats and Ecology of Weedy Melons (Cucumis melo var. agrestis Naud.) in Korea)

  • 이우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652-655
    • /
    • 2013
  • 한국에서 야생(잡초)참외의 자생분포지역은 서해의 옹진군으로부터 남으로 보령 서산(태안), 서천, 군산, 부안, 고창, 영광, 무안, 신안, 해남, 진도, 완도, 고흥, 여수, 하동, 남해, 고성, 통영, 거제시 등의 해안 또는 도서 지방과 제주시, 북제주군 및 남제주군이었다. 이들 지역에서 농경지 또는 그 부근에서 현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야생참외가 자생하고 있는 장소는 농경지 및 그 부근이었다. 지방별 자생하고 있는 농경지내용은 대두밭에서 가장 많았다. 다음은 녹두밭, 고구마밭, 고추밭, 참깨밭, 목화밭, 땅콩밭 순위의 빈도였다. 조 밭 주변, 개울가의 논두렁, 밭두렁, 수박밭, 옥수수밭, 농가인접의 채소밭, 감귤밭, 퇴비무더기, 폐농지, 도로변 및 기타 농가정원에서도 자생하고 있었다. 대체로 키가 낮은 작물의 경작지이면서 광선공간이 있고 다소 건조한 곳에서 자생이 많았다. 과실의 숙기는 7월 상순에서 10월 하순까지였는데 9월의 응답빈도가 많았다. 과실이 성숙되면 꼭지가 빠지는데 이는 자생에 효율적인 특성으로 추정되었다. 과실의 용도는 장난감과 식용이 많았다. 과실을 사람이나 가축이 먹고 분으로 배설된 것을 밭거름으로 사용하면 거기서 발아되어 결실되고 익은 과실은 추수기에 사람이나 가축이 다시 먹게 되어 세대가 유지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수확 후 배지의 가축 사료화를 위한 느타리 생육배지 톱밥 대체재료 선발 연구 (Sawdust Substitution in Growth Medium of Oyster Mushroom for Using Its By-product Spent Mushroom Substrates as Ruminant Feed)

  • 김정한;장명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07-414
    • /
    • 2020
  • 느타리 수확 후 배지의 가축 사료화를 위해 생육배지의 톱밥을 대체하고자 면실피펠렛, 옥대펠렛, 콘코브를 활용하여 생육시험을 수행하고, 그 수확후 배지의 사료로서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톱밥 대체재료별 혼합배지의 생육결과 콘코브, 면실피펠렛 처리구의 배양기간이 27일, 초발이소요일수 4일, 생육일수 3일 소요되어 전체 재배기간이 34일로 대조와 같았다. 병당 수량은 콘코브 처리구가 134 g으로 대조구 130 g과 유사하였고, 면실피펠렛처리구는 112 g, 옥대펠렛 처리구 68 g으로 낮았다. 생물학적 효율은 콘코브가 80.1%로 대조구 68.7%보다 우수하였다. 톱밥 대체재료별 수확 후 배지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콘코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NDF는 같지만 ADF와 리그닌 함량이 낮고, 단백질 함량은 높아 사료로서 영양학적 가치가 더 우수하였다. 향후, 농가 현장의 적용시험을 통하여 생산성을 검증한다면 느타리 수확 후 배지도 사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