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rection of molar relationship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인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의 TTBA 치료 후 상악골 견인 효과 (Maxillary protraction effects of TTBA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 therapy in Korean Class III children)

  • 김혜진;전윤식;임원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1-240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하여 새로이 고안된 Tandem Traction Bow Appliance(TTBA)의 상악골 견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한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중 TTBA로 치료받은 88명(소년 42명, 소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시작 시 연령은 7세 6개월${\pm}$1년 6개월이었으며, 평균 치료 기간은 13개월${\pm}$3개월이었다. 치료 전과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계측이 동일 조사자에 의해 투사 및 중첩되었으며, modified McNamara analysis과 pitchfork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치료 전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악과 상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하악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이 양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악치열은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Net dental changes와 apical vase change가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 III급 부정교합 치료에 유리한 방향으로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이 일어났다. Total molar relationship correction에 대한 기여 정도는 net dental movement 26%, apical vase change 74%였다. 이상의 결과는 TTBA 치료가 상악골 결핍을 가진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유의한 상악골 견인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Orthodontic treatment in a patient with Moebius syndrome: A case report

  • Lee, Sanghee;Moon, Cheol-Hy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451-460
    • /
    • 2022
  • Moebius syndrome (MBS) is a congenital neurologic disorder that causes cranio-facial abnormalities. It involves paralysis of the VI and VII cranial nerves and causes bilateral or unilateral facial paralysis, eye movement disorder, and de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The orofacial dysfunctions include microstomia, micrognathia, hypotonic mimetic and lip muscles, dental enamel hypoplasia, tongue deformity, open bite or deep overbite, maxillary hypoplasia, high arched palate, mandibular hyperplasia or features indicating mandibular hypoplasia. This case report presents a 7-year-old male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MBS at the age 2 years. The patient displayed typical clinical symptoms and was diagnosed with Class II malocclusion with a large overjet/overbite, tongue deformity and motion limitation, and lip closure incompetency. Treatment was initiated using a removable appliance for left scissor bite correction. After permanent tooth eruption, fixed appliance treatment was performed for correction of the arch width discrepancy and deep overbite. A self-ligation system and wide-width arch form wire were used during the treatment to expand the arch width. After 30 months of phase II treatment, the alignment of the dental arch and stable molar occlusion was achieved. Function and occlusion remained stable with a Class I canine and molar relationship, and a normal overjet/overbite was maintained after 9.4 years of retainer use. In MBS patients, it is important to achieve an accurate early diagnosis, and implement a multidisciplinary treatment approach and long-term retention and follow-up.

상악 제 2 대구치 발거에 의한 교정치료의 효과 (A STUDY ON TREATMENT EFFECTS OF MAXILLARY SECOND MOLAR EXTRACTION CASES)

  • 정규림;박영국;이영준;이성희;김성훈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93-104
    • /
    • 2000
  • Orthodontic treatment in conjunction with second-molar extraction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among orthodontists over many decad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ects of upper second molar extraction cases. The sample included 19 upper second molar extraction orthodontic cases(ten Angle's Class I's and nine Class II's, average age=13Y 6M) cared at Kyung-Hee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dontic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reatment. Seventy-nine points were digitized on each cephalogram and 38 cephalometric parameters were computed comprising 22 angular measurements, 13 linear measurements, and 3 facial proportions. The data obtained from each malocclusion group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statistical results disclos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keletal pattern after treatment except for that accountable by growth 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dentoalveolar and soft tissue pattern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jork sum, posterior facial height /anterior facial height and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anterior facial height. No significant changes in anteroposterior position of maxilla and palatal plane were manifested. Although facial axis and lower facial height was slightly increased and the mandible was rotated backward and downward, there was no remarkable change in the mandibular plan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distal movement of upper first molar, molar key correction and overjet reduction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he occlusal plane. The upper lip was slightly retracted simultaneously with slight increase in nasolabial angle. These results signify that distalization of upper dentition with the second molar extraction does change occlusal relationship without gross modifications in the craniofacial skeletal configurationson. Henceforth the second molar extracted would be recommended to treat severe anterior crowding and protrusion with minor skeletal discrepancy.

  • PDF

Pendulum 장치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증례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WITH A PENDULUM APPLIANCE)

  • 이현정;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23-531
    • /
    • 2008
  • 상악골과 치조골 전돌을 가진 II급 부정교합 증례 중 상악 치아 발치의 적응증이 아닌 경우와 하악 구치의 전방 이동을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Pendulum 장치는 환자의 협조도 없이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로 소구치를 안정화시키며, 구개측 고정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구치부 정출로 하안면 고경이 증가할 수 있고, 전치부 전방 이동이 동반되며, 추벽부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과 환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pendulum 장치를 사용하여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킴으로써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대구치 관계를 개선한 증례들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orrection of dental Class III with posterior open bite by simple biomechanics using an anterior C-tube miniplate

  • Ahn, Hyo-Won;Chung, Kyu-Rhim;Kang, Suk-Man;Lin, Lu;Nelson, Gerald;Kim, Seong-H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270-278
    • /
    • 2012
  • In the correction of dental Class III molar relationship in skeletal Class II patients, uprighting of the mandibular posterior segments without opening the mandible is an important treatment objective. In the case reported herein, a C-tube miniplate fixed to the lower labial symphysis and connected with a nickel-titanium reverse-curved archwire provided effective uprighting of the lower molars, without the need of orthodontic appliances on the mandibular anteriors. Using this approach, an appropriate magnitude of force is exerted on the molars while avoiding any negative effect on the mandibular anteriors.

Bioprogressive Mechanism에 의한 Angle씨 II급 2류 부정교합의 치험례 (Angle's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 Treated by Bioprogressive Mechanism: Report of a Case)

  • 변상길;이희경;진병로;오명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51-156
    • /
    • 1987
  • 본 증례는 Angle씨(氏) 2급 2류 부정교합 환자로서 Bioprogressive Mechanism을 적용시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며 치료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소인 상하악 전치부 crowding을 해소하였다. 2) 구치부 관계는 Angle씨(氏) classII에서 classI으로 개선되었다. 3) Overbite와 overjet를 기능적으로 해소시킴과 동시에 전치부 torque control에 의한 만족스러운 치축경사도로 개선시켰다.(Photo.5) 4) 치료기간은 1년 11개월이 소모되었다.

  • PDF

상악 제1대구치 이소 맹출의 예측 인자 (Predictive Factors of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 선지민;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84-291
    • /
    • 2016
  • 본 연구는 이소맹출한 상악 제1대구치의 자율적 수정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상군과 가역성과 비가역성 이소맹출의 차이점을 비교 평가하고자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상악 제1대구치와 인접치아 간의 장축과 교합평면간의 각도를 파노라마상에서 측정하였고, 제2유구치의 교합관계도 조사하였다. 이소맹출군과 정상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 < 0.05), 가역성과 비가역성 이소맹출군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 그리고 제2대구치 치배 간의 각도는 정상군에 비해 이소맹출 군에서 작은 값을 보였으며, 근심 계단형이 이소맹출군에서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치배의 각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소맹출한 상악 제1대구치는 상악 저성장의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상악구치부 후방이동장치 효과 (Noncompliance screw supported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in a parallel manner)

  • Nalcaci, Ruhi;Bicakci, Ali Altug;Ozan, Fatih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0-259
    • /
    • 2010
  • 상악 구치의 후방이동을 위한 구강 내 장치 중 환자의 협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방법은 제II급 부정교합의 개선에 성공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는 구강 내 후방이동 장치를 소개하고 그 효율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Angle Class II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21명의 환자(여자 11명, 남자 10명; 평균 연령 14.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2개의 스크류를 incisive foramen 후방에 식립하고, 식립한 즉시 힘을 주어 상악 제1대구치의 후방이동에 사용하였다. 상악 구치를 후방이동시켜 제I급 구치관계를 얻기 위해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는 구강 내 후방이동 장치를 사용하였다. 치료 전후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과 3차원 모델 분석을 통해 골격 및 치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상악 구치는 평균 3.95 mm 후방이동하였고, 추가적인 고정원 소실 없이 제I급 구치관계를 확립하였다. 상악 대구치는 $1.49^{\circ}$ 후방경사 되었고, 회전된 정도는 좌우 각각 $0.74^{\circ}$, $0.54^{\circ}$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새롭게 고안된 장치는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어 환자의 협조도를 요하지 않으며 특별한 고정원 소실 없이 구치의 치체이동을 통한 후방이동을 얻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트윈블록을 이용한 성장기 II급 아동의 성공적인 하악골 성장 치료 (Successful treatment of growing skeletal class II children with Twin-Block appliance.)

  • 김성식;김성훈;김용일;박수병;손우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2호
    • /
    • pp.103-112
    • /
    • 2018
  • The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 growing patient is to move the mandible into the Class I molar positon via facilitating mandibular growth. The functional appliances are to be designed to exert three major functions such as palatal expansion, forward growth of mandible and increase of the posterior vertical dimension. One of the devices that can achieve both the palatal expansion and the eruption of the mandibular molar is the Twin-Block introduced by Clark in 1982. In this part, we present the treatment method with Twin-Block functional appliance for the correction of skeletal Class II growing pati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