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3초

관상동맥우회술시 부적절한 좌내흉동맥의 변형 활용에 대한 경험 (Reconstruction of Injured or Inadquate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in Cornonary Artery bypass Graft)

  • 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0호
    • /
    • pp.897-902
    • /
    • 1999
  • Use of the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ITA) to bypass the left anterior descending(LAD) coronary artery has become the standard of care based on its superior graft patency, reduced cardiac events, and enhanced survival. But rarely we encountered with injury to the artery during harvesting which leads to loss of the merits of surgery. We reconstructed inadequate ITAa with other arterial conduits so proximal stump to be a blood source if possible. Maternal and method: Between January 1996 and March 1999, 12 patients received bypass with the reconstructed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grafts to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because of an injury(n=8), short or small(n=4). Right or left ITA was used to LAD as a free graft(n=2). And the other 10 left ITAs were extended with radial artery(n=6), right ITA(n=3), saphenous vein(n=1). Composite "T" graft was made with other arterial conduits in these extended graft(n=5). Result: There was only one morbidity of minor would problem, and no mortality. The patency of extended graft to LAD was complete in 5 patients who received angiography during the period of 2wks to 2 years postoperative, but one of side branch of "T" graft occluded. All of these patients were well. Conclusion: Reconstructive extension with the use of other arterial conduit for the injured proximal ITA is warranted in any patients with acceptable results. acceptable results.

  • PDF

관상동맥우회술 후 CT 조영술을 이용한 이식편의 조기 열림의 판정 (Determination of Early Graft Patency Using CT Angiograph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이미경;류대웅;최순호;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7호
    • /
    • pp.570-577
    • /
    • 2004
  • 관상동맥우회술 후 이식편의 조기 열림을 판정하기 위한 CT 조영술은 비침습적이고 간단하며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관상동백 우회술 환자들에서 수술 후 퇴원 전에 CT 조영술을 시행하여 이식편의 조기 열림의 판정에 대한 여부와 영상에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50예에서 수술 후 퇴원 전에 4개의 검출기를 가진 CT기로 조영술을 시행하고 내흉동맥 이식편(50편), 요골동맥편(18편), 대퇴정맥편(56편)의 조영상해로 이식편의 열림을 조사하고 이식편의 조영상태와 문합혈관의 직경, 부행혈류 및 협착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좌관상동맥계에 문합되는 정맥편(24편, 32문합부)은 모두 잘 조영되었으나, 우관상동백계에 문합된 정맥편(30편, 35문합부) 중 3편 (4.7%)은 CT 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았고 대퇴동맥을 통한 침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에서도 폐쇄된 소견을 보였다. 내흉동맥편 중 39편(78%)은 CT 조영술에서 잘 조영되었고 8편(16%)은 일부 좁아지거나 끊기는 불완전한 조영을 보였으며 3편(6%)은 조영되지 않았으나 동맥을 통한 침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에서는 모두 정상적인 열림 소견을 보였다. 결론: 관상동맥조영술 후 CT 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는 정맥편은 페쇄를 의미하나, CT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는 동맥편은 폐쇄가 아닌 관상동맥과 이식편 사이의 상경혈류 때문에 일어날 수 있으므로 조영이 안 되는 동맥편의 열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침습적인 관상동맥조영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do-Coronary Artery Bypass due to Progression of the Celiac Axis Stenosis

  • Yeom, Sang-Yoon;Hwang, Ho-Young;Kim, Ki-B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4호
    • /
    • pp.251-253
    • /
    • 2012
  • We report a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in a 55-year-old man. Angina recurred 7 years after the initial surgery. Coronary angiography showed all patent grafts except a faint visualization of the in situ right gastroepiploic artery (RGEA) graft, which was anastomosed to the pos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associated with celiac axis stenosis. Redo-CABG was performed at postoperative 10 years because of aggravated angina and decreased perfusion of the inferior wall in the myocardi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The saphenous vein graft was interposed between the 2 in situ grafts used previously; the right internal thoracic artery and RGEA grafts. Angina was relieved and myocardial perfusion was improved.

관상동맥 우회술 후 12개월 환자와 일반인의 삶의 질 비교 (A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Patients with 12 Month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nd General Population)

  • 송영숙;이정선
    • 임상간호연구
    • /
    • 제14권1호
    • /
    • pp.25-32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quality of life with patients in 12 month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compared with general population. Method: A cross-sectional comparative study was designed. Study participants were 90 adults who had undergone CABG surgery (n=45) in experimental group and general population (n=45) in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asked the questionnaire (SF-36, Short Form-36)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3.0 program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x^2$ test,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wo groups including physical functioning (t=-.938, p=.351), role-physical limitation (t=-.322, p=.748), bodily pain (t=-.938, p=.351), general health (t=-.1418, p=.888), vitality (t=-.816, p=.417), social functioning (t=.720, p=.474), role-emotional limitation (t=-.710, p=.479), mental health (t=-.431, p=.667). Conclusion: Even though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operation experience, the quality of life examined on the time of 1 year after bypass surgery is similar in that of general population. We suggest the study change the design as examination of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 PDF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후 응급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 경험 (Emergency Coronary Artery Bypass Following Un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A Case Report-)

  • 안욱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373-378
    • /
    • 1988
  • Since the introduction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PTCA] by Grunt-zig in 1977, this is widely used in some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nd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urgery for many patients. Indications for emergency coronary artery bypass graft[CABG] after PTCA are prolonged chest pain, worsening of coronary artery obstruction, "current of injury" by electrocardiogram, cardiogenic shock, and in a lesser incidence, ventricular fibrillation, coronary artery dissection[without obstruction], heart block, and intractable cardiac arrest.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emergency CABG following unsuccessful PTCA. The patient was 54 year-old male and admitted with complaint of angina pectoris. The routine electrocardiogram revealed within normal limit. The treadmill test revealed severe chest pain after 2 min. exercise. Coronary cineangiogram revealed 95% segmental stenosis of the proximal right coronary artery. Our cardiologist was planned PTCA. During PTCA, severe chest pain and ischemic pattern on electrocardiogram were developed. But they were not relieved even by morphine and nitroglycerin till 90 min. So we performed emergency singl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from aorta to proximal right coronary artery with great saphenous vein. The patient had an excellent postoperative recovery and was free from anginal attack. He has shown striking improvement in general status[NYHA functional class 1] during 6 months after operation.operation.

  • PDF

관상동맥 우회로술 154예이 조기 임상 결과 (Clinical Analysis of the Early Resul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송창민;안재범;김우식;신용철;유환국;김병열;김인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476-482
    • /
    • 2005
  • 최근 들어 관상동맥 질환과 관상동맥 우회술은 점차 증가하고 수술성적은 점차 나아지고 있다. 국립의료원에서도 1985년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작한 이래 154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성적을 분석,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148명을 대상으로 154예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전 진단, 관상동맥 질환 정도, 시행한 수술의 종류, 이식된 혈관의 종류, 원위부 문합수, 동반된 술식, 수술 후 심기능 보조를 위한 대동맥내 풍선펌프의 이용 추이,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48명에서 성비는 남녀 각 84명$(56.8\%)$, 64명$(43.2\%)$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8.9\pm8.3$세였다. 수술 전 진단은 불안전성 협심증 97예$(63.0\%)$, 안정성 협심증 31예$(20.1\%)$, 급성 심근경색이 12예$(7.8\%)$, 심근경색 후 협심증이 14예$(19.1\%)$이였다. 수술 전 관상동맥 조영상 좌주 관상동맥질환 12예$(7.8\%)$, 삼혈관 질환 68예$(44.2\%)$, 이 혈관 질환 39예$(25.3\%)$, 일혈관 질환 55예$(22.7\%)$이었다. 총 154예 중 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이 78예$(50.6\%)$, 비체외순환하 수술이 76예$(49.4\%)$였고, 3예에서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로의 전환이 있었다. 원위부 문합수는 총 319개, 평균 $2.06\pm0.96$이었다. 관상동맥 우회술시 다른 수술이 동반되었던 경우가 총 10예$(6.5\%)$였다. 수술 후 대동맥내 풍선펌프는 21예$(13.6\%)$에서 이용하였으나, 비체외순환하 수술에서는 4예$(5.1\%)$로 줄었으며, 전체 사망환자는 12명$(7.9\%)$이었으나, 2001년 이후에는 111예 중 5명$(4.5\%)$으로 감소하였다. 수술합병증으로 수술 전후의 심근경색증 9예$(5.8\%)$, 저심박출증 17예$(11\%)$, 부정맥 30예$(19.5\%)$등이었다. 결론: 국립의료원 흉부외과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작한 이래 수술경험의 축적, 비체외순환하 관상동맥 우회술의 도입, 내흉동맥 및 요골동맥으로의 이식편 이용 변화에 따라 수술성적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임상경험의 축적 및 장기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관상동맥우회술 후 1년 개존성에 관한 연구 (One-year Graft Patenc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김기봉;김현조;성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190-1196
    • /
    • 1997
  • 1994년 7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 78례 중 49례 (62,8%)에서 수술 1년 후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이식 혈관의 개존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술 전,후 및 수술과 관련된 여러 위험 요소들이 개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관상동맥 우회술 후 평균 13.4$\pm$2.1개월 째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내유동맥으로 문함을 시행한 60개소 중 3개소에서 string sign을 보였으나, 폐쇄 없이 전례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요골동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4개소는 모두 개존성이 유지되었다. 복제정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81개소 중 69개소(85.2%)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12개 소(14.8%)에서 폐쇄되었다. 개존성에 미치는 위험요소로 수술 전,수술 중 그리고 합병증 등의 수술 후 요소로 나누어 일원적 및 다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내유동맥의 협착 과 복재정맥의 개존성, 폐쇄에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내유동맥은 환자의 연령(60세 이상),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수술 후 출혈, 및 급성신부전 등 합병증이 이식 혈관의 협착과 관련된 위험 인자였으며, 복제정맥은 우회술을 시\ulcorner 받은 관상동맥의 직경이 1.5mm 이하인 경우가 이식 혈관의 폐쇄 위험성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 분석되었다(p<0.05). 관상동맥 우회술 1년 후 이식 혈관의 개존성은 내유동맥이 복재정맥보다 우수함을 보였으며 환자 연령 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여부, 출혈,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 및 문합된 관상 동맥의 직경 등이 개존에 관련된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술 후 이식혈관의 폐쇄 여부에 대한 11측과 수술 방법이나 수술 후 환자의 추적 관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우위대마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수술;임상적 및 혈관촬영에 의한 단기결과

  • 이현성;장병철;이성수;김재영;맹대현;박형동;윤영남;장양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151-159
    • /
    • 2000
  • background: The right gastroepiploic artery(RGEA) has been use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from 1987. The RGEA is the most useful arterial conduit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BG) followed by the internal mammary artery, Materials and method: From Septermber 1998 to February 1999 the RGEA was used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11 patients 10 males and 1 female. Postoperative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all of the patients before discharge Result: Early patent rate of the RGEA was 100%. The flow competition of the REGA graft was seen in 4 patients(36.4%) The flow pattern war RGEA dependent type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ipient coronary artery 1.5 mm the inner diameter of the RGEA 2.5 mm and the rtio of inner diameter of the RGEA and the recipient coronary artery 1(p<0.05) Conclusion : Early results of CABG with RGEA was satisfactory. However the RGEA graft has a tendency of flow competition in relation to the inner diameter of graft. Preoperative angiographic evaluation for RGEA and meticulous operative technique are required for a good surgical results.

  • PDF

관상동맥질환에 병발한 좌측쇄골하동맥폐색의 치험 (Combined Repair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Left Subclavian Artery Occlusion)

  • 김상익;김병훈;노정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1호
    • /
    • pp.773-776
    • /
    • 2007
  • 47세 남자 환자로 양측 하지의 파행을 주소로 내원하였는데 심한 흡연력, 당뇨와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다. 평소 허혈성 심질환의 증상과 뇌혈류의 역류로 인한 증상은 없었지만 상 하지 혈관조영술과 동시에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 검사에서 좌측쇄골하동맥 폐색을 포함한 말초혈관질환과 관상동맥에 심한 협착이 관찰되었다. 수술은 좌측 늑강을 경유한 상행대동맥-좌액와동맥 혈관우회술을 시행 후 우내흉동맥을 좌전하행지에 문합하고 복재정맥을 사선지와 인조혈관에 문합하였다. 하지 말초혈관의 폐색은 술 후 18일에 혈관우회술로 교정되었고 결과는 양호하였다.

관상 동맥 우회술 중 발생한 대동맥 박리증 -1예 보고- (Aortic Dissection during th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 case report-)

  • 박지권;양주민;김영학;강정호;정원상;김경수;신진호;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0호
    • /
    • pp.865-867
    • /
    • 2004
  • 관상 동맥 우회술 중 발생되는 수술 중 대동맥 박리증은 매우 드물며 높은 유병률 및 사망률을 가진 치명적인 질환이다. 이 질환의 예후는 신속한 진단 및 응급 처치에 좌우된다. 72세 여자 환자에서 관상 동맥 우회술 중 발생한 수술 중 급성 대동맥 박리증에 대해 인조 혈관을 이용한 상행 대동맥 치환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