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acoclavicular ligamen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Anatomic reconstruction for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ies: a pilot study of a cost-effective new technique

  • Pattu, Radhakrishnan;Chellamuthu, Girinivasan;Sellappan, Kumar;Kamalanathan, Chendray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4권4호
    • /
    • pp.209-214
    • /
    • 2021
  • Background: The treatment for acromioclavicular joint injuries (ACJI) ranges from a conservative approach to extensive surgical reconstruction, and the decision on how to manage these injuries depends on the grade of acromioclavicular (AC) joint separation, resources, and skill availability. After a thorough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researchers adopted a simple cost-effective technique of AC joint reconstruction for acute ACJI requiring surgery.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conducted between April 2017 and April 2018. For patients with acute ACJI more than Rockwood grade 3, the researchers performed open coracoclavicular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synthetic sutures along with an Endobutton and a figure of 8 button plate. This was followed by AC ligament repair augmenting it with temporary percutaneous AC K-wires.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Constant Murley shoulder score. Results: Seventeen patients underwent surgery.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 showed an anatomical reduction of the AC joint dislocation in all patients. During follow-up, one patient developed subluxation but was asymptomatic.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0 months (range, 24-35 months). The mean Constant score at 24 months was 95. No AC joint degeneration was noted in follow-up X-rays. The follow-up X-rays showed significant infra-clavicular calcification in 11 of the 17 patients, which was an evidence of a healed coracoclavicular ligament post-surgery.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a simple cost-effective technique with a short learning curve for anatomic reconstruction of acute ACJI. The preliminary results have been very encouraging.

오구 쇄골간 슬링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by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Augmented with Coracoclavicular Sling)

  • 김덕원;김성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88-193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네 가닥의 Ethibond로 오구 쇄골간 sling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을 이용한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의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 소견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9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네 가닥 Ethibond sling으로 보강된 변형된 Phemister 술식으로 30예의 견봉 쇄골 관절 탈구를 치료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8.2(24~33)개월 이었다. 술 후 기능 평가는 Weitzman 분류로 하였고 오구 쇄골 간격의 정복 정도를 방사선 영상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Weitzman 분류를 이용한 기능 평가에서는 우수 24예, 양호 4예, 보통 2예였고 오구 쇄골 간격은 수상 시 16.9 mm간격에서 수술 직후 7.3 mm로 정복되었고 최종 추시 시 건측과 비교하여 오구 쇄골 인대의 간격 비율은 평균 1.24 (0.68~1.71) 이었다. 합병증으로 5예에서 K-강선 후퇴와 4예에서 관절 운동 제한이 있었다. 결론: 견봉 쇄골 관절의 탈구에서 네 가닥의 Ethibond로 오구 쇄골간 sling으로 보강된 변형 Phemister 술식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변형된 Neviaser 술식을 이용한 견봉쇄골관절 탈구의 치료 (The Treatment of th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using the Modified Neviaser Method)

  • 한수일;김준석;이영국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4권1호
    • /
    • pp.24-29
    • /
    • 2001
  • Purpose: To describe a technique of the modified Neviaser method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of the technique in the treatment of the comple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 We evaluated 20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a modified Neviaser method from June 1996 to January 1999, They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two years. The operative technique includes fixation of the acromioclavicular joint, repair of coracoclavicular ligament and transfer of the anterolateral band of coracoacromial ligament. Results: The 20 patients were evaluated clinically using Kang's criteria. The satisfactory results obtained in 85%. The mean coracoclavicular interval ratio was decreased from 2.22 preoperatively to 1.07 postoperatively. At the time of two year follow-up, the mean ratio was 1.20. There was no definite complication such as re-dislocation of the joint. Conclusion: In above type 3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the modified Neviaser method provided the advantage of strong and stable fixation with a low complication rate.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one of the useful operative technique.

  • PDF

견봉 쇄골 탈구의 봉합 나사못과 오구 견봉 인대 이전술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재건술 (Coracoclavicular Ligaments Reconstruction for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using Two Suture Anchors and Coracoacromial Ligament Transfer)

  • 신상진;노권재;정병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1호
    • /
    • pp.46-52
    • /
    • 2008
  • 목적: 본 논문은 견봉 쇄골 탈구에서 2개의 봉합 나사못과 오구 견봉 인대 이전술을 이용한 오구쇄골 인대 재건술의 소개와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전 방사선학적 사진에서 견봉 쇄골 탈구 환자 5명은 제3형, 4명은 제4형, 그리고 31명은 제5형이었다. 2개의 봉합 나사못을 각각 원추인대와 삼각인대의 오구 돌기 기시부에 해당하는 오구 돌기 기저부의 전외측과 후내측에 위치시켜 원위 쇄골을 오구돌기에 고정시켰으며, 오구 견봉 인대를 원위 쇄골 하면으로 이전하여 보강하였다. 결과: 평균 28개월의 추시 결과, Constant 점수는 9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40명 모두 술 후 평균 3.2개월에 일상 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였다. 마지막 방사선학적 결과는 34명에서 해부학적인 정복을 보였으며, 3명은 완전 재탈구를 나타내었지만 임상적 결과는 만족할만하여 재수술을 시행하지 않았다. 또한 수상 3주 경과 후 수술한 견봉 쇄골 탈구 환자의 임상적 결과는 수상 3주 이내에 수술한 환자들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견봉 쇄골 탈구에서 2개의 봉합 나사못과 오구 견봉 인대 이전술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재건술은 견봉 쇄골 관절의 물리적 안정성 얻을 수 있는 안전하고 유용한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견봉쇄골 탈구와 동반된 오구돌기 골절 - 2예 보고 - (Acromioclavicular Separation with the Fracture of the Coracoid Process - 2 Cases report -)

  • 유재호;한성호;양보규;안영준;주민홍;이승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124-130
    • /
    • 2007
  • 견봉쇄골 관절 탈구는 흔한 손상으로 심한 경우 대개 오구쇄골 인대의 파열이 동반된다. 견봉쇄골 관절 탈구에 드물게 오구쇄골 인대의 파열 없이 오구돌기 골절이 동반될 수 있다. 지금까지 31례만이 보고된 상기 손상을 저자들은 두 증례에서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오구돌기 골절은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전후방 방사선 촬영에서는 발견하기 쉽지 않다. 고도의 견봉쇄골 관절 탈구가 있으면서 오구쇄골 간격이 늘어나지 않은 경우 오구돌기의 골절을 의심할 수 있다.

Anatomical Locking Plate with Additional K-wire Fixation for Distal Clavicle Fracture

  • Nam, Woo-Dong;Moon, Sung-Hoon;Choi, Ki-Yo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0권4호
    • /
    • pp.230-235
    • /
    • 2017
  • Background: Neer type II distal clavicle fractures have the drawback of coracoclavicular instability and insufficient distal bony fragment,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adequate fixation. Although various surgical treatments have been described for Neer type II fracture, the optimal treatment remains controversial.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results and usefulness of anatomical locking plate with additional K-wire fixation. Methods: A totally of 21 patients with type II distal clavicle fracture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surgical procedure reduced the fracture temporarily; it included insertion of one or two K-wire from the lateral margin of the distal fragment to the proximal fragment through the fracture site, followed by application and fixation of the locking plate. The bony union and migration of K-wire was evaluated in the follow-up radiography. The coracoclavicular distance and acromioclavicular joint arthrosis were assessed at the final follow-up. The Constant Score (CS) and Korean Shoulder Score (KSS) were evaluated for clinical scoring. Results: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At the final follow-up, coracoclavicular distance of the injured shoulder was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intact shoulder (p=0.002), with no accompanying clinical symptoms. No K-wire migration was observed. At the final follow-up, K-wire irritation was observed in two cases and acromioclavicular arthrosis in one case, with no other adverse effects. Pain visual analogue scale, CS, and KSS were improved in all cases. Conclusions: The method of anatomical locking plate with additional K-wire fixation could be useful in achieving beneficial clinical results.

Anatomic coracoclavicular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triple flip-buttons leads to good functional outcomes and low reduction loss: a case series

  • Raul Aguila;Gonzalo Gana;J Tomas Munoz;Diego Garcia de la Pastora;Andres Oyarzun;Gabriel Mansilla;Sebastian Coda;J Tomas Rojas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2호
    • /
    • pp.140-147
    • /
    • 2023
  • Background: The management of acromioclavicular (AC) joint dislocation remains controversial. Recently, anatomic coracoclavicular (CC) fixation with a double clavicular tunnel and three flip-buttons has shown promising result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functional and radiolog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high-grade AC joint dislocation treated with anatomic CC fixation using double clavicular tunnels and three flip-buttons. Methods: A retrospective, unicentric study was performed. The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high-grade AC joint dislocation who underwent surgery with anatomic CC fixation using double clavicular tunnels and three flip-buttons. Demographic data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 functional evaluation using subjective shoulder value (SSV), visual analog scale (VAS), and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questionnaires was performed, and an evaluation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arative Zanca view images was performed.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outcomes and radiological AC reduction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83 patients completed follow-up and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mean SSV, VAS, and DASH scores were 92.8, 0.8, and 6.4, respectively. Patients who had complications experienced significantly worse functional outcomes (DASH: P=0.037). Suboptimal final AC reduction was observed in nine patients (11.1%), an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in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P=0.031) and in surgeries performed more than 7 days after injury (P=0.034). There were two reoperations (2.4%). Conclusions: Anatomic CC fixation with a double clavicular tunnel and three flip-buttons leads to good functional outcomes, low complication rates, and high rates of optimal AC reduction.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의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 - 예비 보고 -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Endobutton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 Preliminary Report -)

  • 조철현;정구희;신홍관;이영국;박진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5
    • /
    • 2011
  • 목적: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을 시행하고 그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오구 쇄골 인대 손상이 동반된 Neer 제 2형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로 TightRope$^{(R)}$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연속적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오구 쇄골 간격 측정 및 골유합을 판단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ASES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8예 (88.9%)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9 (9~16)주였다. 술 후 및 최종 추시 평균 오구 쇄골 간격은 5.6 mm, 6.2 mm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정복의 소실은 없었다 (p>0.05). ASES 점수는 평균 90.3 (78~96)점으로 우수 6예, 양호 2예, 보통 1예였으며, 8예 (88.9%)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초기 정복 소실로 인하여 불유합이 발생하였으며, 보통의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그 외 고정물의 파손 및 감염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TightRope$^{(R)}$ 고정술은 고정물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위 골편의 고정이 어려운 골절에서 안정된 고정을 얻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ightRope®를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 수술 술기 및 예비 보고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 for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 Surgical Technique and Preliminary Results)

  • 조철현;손승원;강철형;오건명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65-171
    • /
    • 2008
  •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를 이용한 수술 술기를 소개하고 유용성 및 예비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1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2.4(8~16)개월이었다. 견봉 쇄골 관절의 내측 1 cm 부위에서 오구돌기 방향으로 4 cm의 피부 절개를 가하여 삼각근을 분리한 후 TightRope$^{(R)}$를 이용하여 오구 쇄골 인대 강화술을 시행하였으며, 술후 안정성을 주기 위해 2개의 1.6 mm K-강선을 이용하여 일시적인 견봉 쇄골 관절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UCLA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에서는 해부학적 정복이 7예, 경도의 정복 소실이 2예, 중등도의정복 소실이 1예였다. UCLA 점수는 평균 30.8(24~35)점으로 우수 6예, 양호 3예, 보통 1예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를 이용한 치료는 최소 침습적이며, 비교적 술기가 간편하고 안정된 고정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정확한 결과 분석을 위해서는 장기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