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sion Efficiency

검색결과 2,766건 처리시간 0.262초

P3HT:PCBM 활성층을 갖는 유기 박막태양전지의 후속 열처리 효과 (The Post Annealing Effect of Organic Thin Film Solar Cells with P3HT:PCBM Active Layer)

  • 장성규;공수철;장호정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3-6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P3HT와 PCBM 물질을 전자도너와 억셉터 광활성층 물질로 사용하여 벌크이종접합 구조를 갖는 Glass/ITO/PEDOT:PSS/P3HT-PCBM/Al 구조의 유기박막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P3HT와 PCBM은 각각 0.5 wt%의 농도로 톨루엔 용액에 용해하였다. 광활성층 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P3HT:PCBM= 3:4, 4:4, 4:3 wt%의 농도비로 소자를 제작하고, 농도비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활성층의 후속열처리 온도가 소자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3HT와 PCBM의 농도비가 4:4 wt%의 비율에서 가장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때 단락전류밀도 ($J_{SC}$), 개방전압 ($V_{OC}$), 및 충실인자 (FF)는 4.7 $mA/cm^2$, 0.48 V 및 43.1%를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전력변환효율(PCE)은 0.97%의 값을 얻었다. 최적화된 농도비를 갖는 태양전지 소자에 대해 $150^{\circ}C$에서 5분, 10분, 15분, 20분간 후속 열처리를 실시한 결과 P3HT 전자도너의 흡광계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후속 열처리 조건이 $150^{\circ}C$에서 15분인 경우 전기적 특성이 열처리 하지 않은 소자에 비해 특성이 개선되었다. 즉, 이때의 전기적 특성은 $J_{SC},\;V_{OC}$, FF, PCE의 값이 각각 7.8 $mA/cm^2$, 0.55 V, 47%, 2.0%를 나타내었다.

Ag의 두께에 따른 V2O5/Ag/ITO 구조의 다층 박막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 (The Effect of Ag thickness on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V2O5/Ag/ITO Multilayer)

  • 고영희;박광훈;고항주;하준석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1
    • /
    • 2014
  • 최근 유기태양전지의 효율향상을 위하여 고분자의 PEDOT:PSS 양극(Anode) 버퍼층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효율 태양전지의 개발과 더불어 새로이 적용되고 있는 역구조 유기 태양전지에는 이 같은 친수성의 PEDOT:PSS 고분자가 소수성의 양극이나 광활성층 상에 균일하게 코팅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양극 버퍼층으로 $V_2O_5$와 같은 p-type 금속산화물을 사용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항을 낮추고 홀 이동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Ag를 삽입층으로 한 $V_2O_5$/Ag/ITO 구조의 다층 박막을 제작하고 Ag두께에 따른 전기적, 광학적, 구조적 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가시광 영역에서는 Ag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광 투과율이 감소하는 반면 전기적 특성은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광소자의 투명전극산화물로 적합한 구조인지 평가하기 위해 Figure Of Merit(FOM)의 값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Ag의 두께가 4 nm에서 가장 좋은 특성을 나타냈다. $V_2O_5$/Ag/ITO 구조의 다층 박막은 가시광 영역에서 Ag의 두께가 4 nm일 때 88%의 광 투과율을 나타내었고 저항 값은 $4{\times}10^{-4}{\Omega}cm$로써 광소자로 적합한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사료내 다시마(Laminaria japonica) 첨가에 따른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의 성장, 체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Plasma Chemistry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조성환;민병희;이진영;이상윤;김하나;안신홍;나경석;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59-564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source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plasma chemistry of juvenile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Juvenile fish (N=810; average mass=8.9 g) were distributed among twenty-seven 200 L flow-through tanks (30 fish per tank). Nin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control (Con) without additives; sea tangle powder at 0.1%, 0.5%, 1%, 2%, 3% and 5%, (P-0.1, P-0.5, P-1, P-3 and P-5 diets, respectively); and fresh sea tangle (F-1); and 1% sea tangle extract (E-1). Each powdered additive was substituted for an eqaul amount of wheat flour, and the extract was substituted for an equal amount of water in the respective experiemtnal diets. Each diet was fed to triplicate groups of fish.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Feed consumption by fish fed the P-1 diet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P-3 and P-5 diets.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whole-body ash content (excluding the liver), liver moisture, and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of fish were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None of the fish plasma criteria were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with the exception of plasma glucose. In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sources of sea tangl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growth, feed efficiency, body composition or plasma chemistry of juvenile black porgy.

Lactococcal plasmid pGKV21의 SSB-coated 229-nt ssi signal 상에서 E. coli RNA polymerase에 의한 시발체 RNA 합성 (Primer RNA Synthesis by E. coli RNA Polymerase on the SSB-coated 229-nt ssi Signal of Lactococcal Plasmid pGKV21)

  • 정진용;김은실;김삼웅;강호영;박정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5-310
    • /
    • 2009
  • 플라스미드 pGKV21에는 229-nt single-strand DNA initiation (ssi) signal이 존재한다. Asymmetric PCR 기법으로 합성된 229-nt ssDNA 단편을 이용하여 실제로 RNA polymerase에 의한 priming ability와 protein interaction을 확인하였다. in vitro primer RNA 합성 실험 결과, 229-nt ssDNA 단편은 filamentous M13 phage의 주형 DNA에서와 비슷한 효율로 시발체 RNA를 합성하였으며, 이 반응은 strand-specific하게 이루어졌다. DNase I footprinting과 gel retardation 실험 결과, RNA polymerase와 SSB 단백질은 229-nt ssDNA 단편에 stable interaction을 하며, 시발체 RNA를 합성하였다. 또한, in vivo 조건 하에서 RNA polymerase의 저해제인 rifampicin을 처리하여 세포내에 ssDNA 중간체가 집적되는 정도를 비교하여 본 결과, 플라스미드 pGKV21은 rifampicin-sensitive RNA polymerase가 상보가닥 합성에 관여 함을 보여 주었다.

Enrichment of Pork with Omega-3 Fatty Acids by Tuna Oil Supplements: Effects on Performance as well as Sensory, Nutritional and Processing Properties of Pork

  • Jaturasitha, S.;Wudthithumkanaporn, Y.;Rurksasen, P.;Kreuzer,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1호
    • /
    • pp.1622-1633
    • /
    • 2002
  • The effects of tuna oil supplementation (0, 1, 2 and 3%) to pig diets on growth and carcass yield as well as meat quality were determined in 40 crossbred pigs. Animals were fattened from 30 to 90 kg of live-weight. Twenty-four hours after slaughter, following various early- and late-post mortem measurements, loin, backfat and belly were prepared from the carcasses. Bacon was produced from the belly part by curing and smoking. Neither performance (feed intake, daily gains, feed conversion efficiency) nor carcass quality (slaughter weight, dressing percentage, lean percentage, nutrient composition of the loi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una oil supplementation. Tuna oil also had no clear effects on early- and late-post mortem meat quality traits, water-holding capacity and tenderness of the M. longissiumus dorsi (LD). Colour traits of LD and backfat, and backfat firmnes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una oil, either. However, there was a certain trend to elevated fat contents of LD (and bacon), but not of backfat, with increasing levels of tuna oil in feed. Pigs receiving elevated proportions of tuna oil expressed lower V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blood plasma, whereas the cholesterol content of LD, backfat and bacon did not reflect this trend. Effects of tuna oil on fatty acids in LD, backfat and bacon were often small in extent, except those concerning the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ith 3% tuna oil in the diet, the contents of the particularly desired omega-3 fatty acids, C20:5 and C22:6, were 0.1 and 0.2 g/kg in LD.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backfat and bacon were 2.6 and 12.6 g/kg, and 1.3 and 9.2 g/kg, respectively. Tuna oil supplementation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n flavour and overall acceptance of bacon (not significant in LD although numerically the same trend was noted), but these effects on sensory ratings were limited in extent. Also shelf life of the products, determined as TBA value after different storage periods at $4^{\circ}C$ in LD, backfat and bacon, was significantly reduced. Overall,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omega-3 fatty acids may be enriched in pork by feeding tuna oil with few undesired side-effects, particularly those on sensory perception and shelf life, suggesting immediate consumption of the products is advisabl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performance, slaughter and physical meat quality) remained unaffected.

Tamoxifen Resistance and CYP2D6 Copy Numbers in Breast Cancer Patients

  • Motamedi, Sahar;Majidzadeh, Keivan;Mazaheri, Mahta;Anbiaie, Robab;Mortazavizadeh, Seyed Mohammad Reza;Esmaeili, Rezv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101-6104
    • /
    • 2012
  • Background: Breast cancer accounts about one million from total annual ten million new diagnosed cases of neoplasia worldwide and is the main cause of death due to cancer in women. Tamoxifen is the most popular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used in anti estrogen treatments. Tamoxifen must be converted into its metabolite endoxifen for biologic effects; this conversion process is catalysed by highly polymorphic cytochrome P450 2D6 (CYP2D6). This study surveyed copy number variation of the CYP2D6 gene and its possible correlation with Tamoxifen resistance i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This case control study was performed on samples taken from 79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used tamoxifen in Yazd and Tehran Cities, Iran. Real time reactions were conducted for 10 healthy samples using the comparative $C_t$ (Cycles threshold) method, each pair of genes being compared and samples with ratios around 1 were taken as control samples. Proliferation reactions were done by Real-Time PCR ABI Prism 7500. All registered data were transformed into SPSS 15 program and analyzed. Results: Efficiency of PCR for both CYP2D6 and ALB genes was 100%. From all 23 drug resistant patients 21.7% had one copy, 47.8% two copies and 30.4% had three copies. Also from all 56 drug sensitive patients, 26.8% had one copy, 51.8% two copies and 21.4% had three copies.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one and two copies was similar between two groups but patients with three copi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drug resistant group more. Odd ratios for one and two copies were 0.759 and 0.853 respectively, indicating possible protective effects while that for three copies was 1.604. Conclusions: Based on our study there is no significant link between CYP2D6 gene copy numbers and tamoxifen resistanc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But more studies considering other influencing factors appear warranted.

식물성오일 레진을 이용한 고기능성 나노 복합재료의 개발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Nanocomposites using Functionalized Plant Oil Resins)

  • 한송이;정영희;오정석;강신영;홍창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1호
    • /
    • pp.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오일로부터 여러 가지 기능기를 가진 soybean resin(AESO, MAESO)을 제조하였으며, nanoclay를 사용하여 새로운 고기능성 바이오-나노 복합 재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제조된 soybean resin을 바인더로 이용하여 $TiO_2$ 광전극을 제조하고 친환경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개발하다. 제조된 나노복합재료의 형태는 고분자의 삽입에 의해 층간 간격이 증가된 형태와 박리된 형태를 조절하였으며 나노 클레이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증가하였다. 또한 COOH기가 첨가된 MAESO에서 분산도가 향상되었고 초음파 처리에 의해 분산도가 더욱 향상되어 물리적 특성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또한 $TiO_2$를 질산처리 한 후 soybean resin을 바인더로 이용하여 나노 다공성 $TiO_2$ 광전극을 제조하였으며 염료를 흡착시킨 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AESO와 MAESO를 바인더로 제조한 $TiO_2$ 광전극에서는 향상된 분산성과 표면적 증가로 인해 염료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높은 전류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첨가된 기능기의 영향으로 $TiO_2$ 계면의 저항이 낮아져 매우 좋은 광전기화학적 특성과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TSSG 법으로 육성한 $LiB_3O_5 $ 단결정의 제2조화파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Second Harmonic Generation in $LiB_3O_5 $ Crystals Grown by TSSG Method)

  • 권택용;오학태;주정진;백현호;김정남;윤수인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4-79
    • /
    • 1994
  • 이 연구에서는 TSSG 법으로 육성한 LiB3O5(LBO) 단결정의 1064nm 광에 대한 type I 및 type II 제 2 조화파 발생(SHG) 특성을 조사하였다. Type I SHG의 위상정합각은 $\theta_m=90^{\circ}, \phi_m=11.6^{\circ}$였고 angular acceptance bandwidth는 각각 $\delta\theta_{int}L_{1/2}=3.3^{\circ}-cm^{1/2}, \theta\phi_{int}L=0.27^{\circ}-cm^{1/2}$로 측정되었다. Type II SHG의 위상정합각은 $\theta_m=20^{\circ}, \phi_m=90^{\circ}$였고 angular acceptance bandwidth는 각각 $\delta\theta_{int}L_=0.65^{\circ}-cm, \theta\phi_{int}L^{1/2}=3.5^{\circ}-cm^{1/2}$로 측정되었다. Type I NCPM SHG 온도는 $149^{\circ}C$였고 temperature bandwidth $\DeltaTL$$4.8^{\circ}C-cm$였다. Nd:YAG 레이저의 peak power 가 $171 MW/\textrm{cm}^2$ 일때 두께가 2.6 mm 인 LBO 결정의 SHG 변환효율은 약 1.8%였고, 이차 비선형 계수 $d_{32}는 약 0.74\pm0.05 pm/V$로 측정되었다.

  • PDF

Blocking layer 적용을 통한 HgI2 방사선 변환센서의 신호대 잡음비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Signal to Noise Ratio for HgI2 Radiation Conversion Sensor Using Blocking Layer)

  • 박지군;윤인찬;최수림;윤주선;이영규;강상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97-1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적충 구조를 이용하여 누설전류를 저감 시키는 기술을 적용하여 입자침전법을 이용한 방사선 영상 센서의 변환 물질을 개발하였다. 이는 디지털 방사선 영상 검출기의 두 가지 방식 중 하나인 직접방식에 사용되는 핵심 소자로 기존의 비정질셀레늄(a-Se)을 대체하여 더욱 효율이 높은 후보 물질들이 연구되어지는 가운데 태양전지와 반도체 분야에서 이미 많이 사용되어온 이종접합을 이용해 누설 전류를 저감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입자 침전법 제조방법은 검출 물질 제작이 용이하고 높은 수율과 대면적의 검출기 제작에 적합하나 높은 누설 전류가 의료 영상에 있어서 문제가 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적충 구조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를 저감시킨다면 PIB법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향상된 효율의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를 제작 할 수 있다고 사료 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누설 전류와 민감도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제작된 적충 구조의 방사선 검출 물질의 특성 평가가 이루어 졌다.

식물추출혼합물의 니코틴 분해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hyto-Extract Mixture on the Nicotine Decomposition)

  • 정종문;김지훈;이동희;조희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4
    • /
    • 2002
  • 천연식물소재 및 한약재 추출제재인 식물추출 혼합제재가 인체내에서 니코틴 분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FRCFR5 세포주, Xenopus oocyte, 임상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체내에 잔존하는 니코틴이 식물추출 홉합 제재에 의해 무독한 대사산물인 코티닌으로 분해량이 증가되고 동시에 NNK, NNN, NNA 등과 같은 폐암 유발물질인 니트로사민 유도체 생성 경로가 억제될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식물추출 혼합 제재에는 니코틴에서 코티닌으로 전환시키는 대사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나, 실제로 어떤 유효성분들이 관여하는지 그리고 정확한 작용 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분석 및 생화학적 연구가 앞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간세포에서 유래된 FRCFR5 세포주 실험 결과, 니코틴과 식물추출 혼합 제재가 첨가된 배지에서 니코틴과 물을 첨가한 배지보다 니코틴에서 코티닌으로 전환능력이 약 2∼3배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Xenopus oocyte에 직접 주사한 경우와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임상실험 결과 식물추출 혼합 제재음료를 음용하고 담배를 피운 실험군이 물을 음용하고 담배를 피운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은 코티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실험군의 소변 중에 계속적으로 다량의 코티닌이 배출되는 것을 의미하며, 식물추출 혼합 제재 섭취시 체내에 존재하는 니코틴이 코티닌으로 지속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 이상의 생체 내·외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식물추출혼합물은 니코틴에서 코티닌 생성을 약 2배정도 증가 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