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rol Area(CT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Assessment of Capsular Insertion Type and of Capsular Elongation in Patients with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nd It's Correlation with Surgical Outcome: A Quantitative Assessment with Computed Tomography Arthrography

  • Kim, Do Hoon;Kim, Do Yeon;Choi, Hye Yeon;Park, Ji Soon;Lee, Ye Hyun;Oh, Joo 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9권3호
    • /
    • pp.155-162
    • /
    • 2016
  • Background: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type of capsular insertion and the extent of capsular elongation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by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ir computed tomography arthrographic (CTA) finding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these parameters with surgical outcom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71 patients who underwent CTA and arthroscopic capsulolabral reconstruction for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between April 2004 and August 2008. The control group comprised 72 patients diagnosed as isolated type II superior labrum anterior to posterior (SLAP) lesion during the period. Among the 143 patients, 71 were examined with follow-up CTA at an average 13.8 months after surgery. It was measured the capsular length and cross-sectional area at two distinct capsular regions: the 4 and 5 o'clock position of the capsule. Results: With regards to the incidence of the type of anterior capsular insertion, type I was more common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type III more common than in the instability group. Anterior capsular length and cross-sectional area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instability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mong patients of the instability group, the number of dislocations and the presence of anterior labroligamentous periosteal sleeve avulsion le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terior capsular redundancy. Postoperatively, recurrence was found in 3 patients (4.2%) and their postoperative capsular length and cross-sectional area were greater than those of patients without recurrence. Conclusions: Capsular insertion type and capsular redundancy derived through CTA may serve as important parameters for the management of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우리나라 공역 법제의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irspace Legislation in Korea)

  • 김종대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1-114
    • /
    • 2018
  • 최근들어 '공역'은 뜨거운 이슈가 되었는데, 의외로 우리나라의 공역 법과 제도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된 자료는 없어, 민 군 공역 법제와 실무를 함께 정리하여 보았다. 우리나라의 항공법 분야는 적어도 법적인 측면에서는 민간항공기와 군용항공기 관련 법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국토부교통부장관은 "항공안전법"에서 부여된 각종 권한을 갖고 업무를 수행한다. 우리나라 항공관련 내용은 너무 많은 사항을 국토부 고시나 규정으로 규율하고 있고, 그 고시나 규정들도 상위 법규의 어떤 조항과 연결되는지 잘 알 수 없는 것들이 많다. 따라서, 현행 고시의 내용을 검토해서 가능한 법규명령으로 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고, 고시 내용도 위임된 사항에 한하여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서술되도록 정비할 필요가 있다. 공역체계에 있어서는, 일반인이 이해하기에는 공역 분류체계가 너무 복잡하고, 법규와 실무의 괴리도 일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단순하면서도 실무현실에 부합하는 공역 분류 체계로 재정립해 보는 것은 어떤가 생각된다. 군에서 하는 공역이나 항공 관련 업무는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위탁받은 것과 군 고유의 권한을 명확히 구분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 위탁사항과 관련해서는, 본래 국토교통부의 업무이기 때문에 관련 업무 지침 작성시 국토교통부와 긴밀히 협조해야 하고,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국방부로 위탁한 것을 대부분 예하 비행단급까지 재위임하고 있는데 재위임 부대의 적정성을 한 번 고민해 볼 필요가 있고, 관련 지침의 작성 주체도 명확히 해 둘 필요가 있다. 군사작전활동으로서의 공역통제와 관련해서는, '노력의 통일'과 같은 공역통제에 관한 군사교리에 충실한 정책이나 지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