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us Monitoring Processe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7초

미국에서 노인을 위한 "스마트홈(SmartHome)" 개념의 요소와 적용 (Elements and Application of "SmartHome" Concept for Older Adults in USA)

  • 문창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14
    • /
    • 2011
  • This paper is intended to suggest some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elderly housing design, especially smart home, in Korea, by reviewing the elements and applications of smart home concept for older adults in USA. Research method includes collecting materials by attending the regular SmartHome$^{(R)}$ part meeting, the navigation of related homepages, and the analysis of collected materials. Current researches in Korea look initial stage and show some general principles without practical concept & technologies of elderly facilities. SeniorSmart$^{(R)}$ Center in USA started on August 2007 with the 3 parts of SmartHOME$^{(R)}$, SmartWHEELS$^{(R)}$ and SmartBRAIN$^{(R)}$. The Center has been doing various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but slowing down the planned processes due to national economic recession. The major researches of SmartHome$^{(R)}$ par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S-PFP( Continuous Scale Physical Function Performance) laboratory is being in operation to help older adults and families make the difficult decision regarding the ability and safety to live independently. Three levels of necessary laboratories from uninhabited space to senior living environment were accommodated for field research. As core technologies of SmartHome$^{(R)}$, predicting & warning system of fall risk on recognizing gait signature patterns to identify any deviation from the normal patterns of the older adults, home monitoring system which will send alerts to a specified relative and/or health care professional when vital signs of the older adults will not be within normal parameters, and Mobility & Research Clinic for evaluating, treating the older adults & multidisciplinary research are under development. SmartHome$^{(R)}$ has made collaborative research agreements for field laboratory with various retirement communities and also is continuing to work for experimental software engineering with the Fraunhofer Institute, Germany.

물이끼(Sphagnum palustre) 생육이 가능한 인공습지 사례보고 (A Case Report on the Constructed Wetland for the Growth of Sphagnum palustre)

  • 홍문기;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3-107
    • /
    • 2013
  •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wetland for the growth of Sphagnum palustre with emergent macrophytes (Phragmites australis, Typha angustifolia, and Zizania latifolia) was firstly tried and the growth of those plant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al combinations has been monitored for three years. Above-ground dry weight of Z. latifolia ($1,500g/m^2$) was higher than T. angustifolia ($900g/m^2$) and P. australis ($500g/m^2$) under most environmental conditions. In overall, planted emergent macrophytes seemed to prefer polishing sand without moss peat as a substrate and relatively deep water-depth condition (20cm) rather than shallow water-depth (5cm). Despite of high calcium content in inflow water (> 15ppm) into the constructed wetland, S. palustre populations have survived in most experimental plots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Substrate layer including moss peat with high surface-area might play a role as an ion-filter. After three years, relatively thicker litter-layer in Z. latifolia plots due to vigorous growth appeared to heavily depress S. palustre by physical compressing and complete shading processes. Most of all,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S. palustr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substrate must be carefully managed. In addition, companion emergent species should be also cautiously selected not to depress S. palustre by much litter production. We suggest P. australis and T. angustifolia as companion species rather than Z. latifolia.

A Review on the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for Ammonia in Air

  • Das, Piw;Kim, K.H.;Sa, J.H.;Kim, J.C.;Lee, S.R.;Jeon, E.C.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72-584
    • /
    • 2007
  • The quantification of ammonia concentrations has received a lot of scientific attention. Numerous devices for the quantification of $NH_3$ in the ambient air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more technical possibilities for research in abating $NH_3$ emission from various source processes. For the proper quantification of $NH_3$, a number of sampling methods have been discussed by grouping them into different categor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functioning. In general, active samplers employ pumps to draw air in, while passive samplers are exposed to air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obtain integrated signature of $NH_3$. In case of the former, impingers and absorption flasks can be employed simultaneously with suitable absorbents to capture $NH_3$ passing through them. The methods of analysis include both in-situ and laboratory determination. In the laboratory, colorimetric or ion chromatographic methods are generally used for its quantification. In the field, a number of real time analyzers have been proven to be useful. These real time analyzers can be grouped according to their principle of operation. These analyzers may use the principle of spectroscopy (e.g. DOAS), photoacousticics (e.g. photoacoustic monitor) or Chemiluminescence ($NO_x$ analyzer). The automated annular denuder sampling system with on-line analyzer is also suitable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ammonia in air.

영상 감시용 네트워크카메라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영상분배서버 구현 (Implementation of a Video Distribution Server to Enhance QoS of Network Cameras for the Video Surveillance System)

  • 정태영;임강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9호
    • /
    • pp.67-74
    • /
    • 2008
  • 본 논문은 네트워크카메라 기반 영상감시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단위 네트워크 간 영상정보 공유 불가, 사용자 증가에 따른 대역폭 및 처리부하 증가, 네트워크 변경내역 지속적 모니터링 불가 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버의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서버는 영상분배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문제들을 해결하면서도 대용량 영상감시시스템을 위하여 다수의 네트워크카메라 및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관리와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구현한 영상분배서버를 실제의 영상감시시스템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100여대의 네트워크카메라에 대한 접속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수백여 사용자의 동시 접속을 처리하면서도 납득할 만한 서비스 픔질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영상분배서버를 활용하면 교통상황 정보 및 재난재해 감시 등의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대용량 영상감시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외선 광여기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Si 표면 위에 Ge 나노구조의 성장 동역학에 관한 실시간 연구 (Real-time Observation of Evolution Dynamics of Ge Nanostructures on Si Surfaces by Photoelectron Emission Microscopy)

  • 조우성;양우철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5-152
    • /
    • 2007
  • 자외선 광여기 전자현미경 (Ultraviolet - Photoelectron Emission Microscopy: UV-PEEM)을 이용하여 Si (001)과 (113) 표면에 Ge을 증착하면서 실시간으로 나노구조의 형성과 크기 및 형태 변화과정을 조사하였다. Ge은 PBEM에 부착된 e-beam 증착기를 이용하여 $450-550^{\circ}C$ 온도에서 in situ로 증착하면서 표면의 변화를 PEEM으로 관찰하였다. Ge을 ${\sim}0.4\;ML/min$의 증착율로 ${\sim}4\;ML$ 이상 두께로 증착했을 때, 두 Si 표면에서 Ge의 균일한 변형층(strained layer) 위에 island 구조가 형성되었다. 초기에 형성된 원형 모양의 island는 연속적인 Ge 증착에 따라, ripening 과정에 의해 크기가 점차 성장되었고 밀도는 감소하였으나, 형태는 원형 모양을 유지하였다. 시료 성장 후 공기 중 AFM 측정 결과, Si(001) 표면에는 dome 형태의 Ge island가 Si(113) 표면에는 윗면이 평판하고 다면의 옆면을 지닌 island 구조가 형성됨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sim}0.15\;ML/min$의 낮은 증착율로 Ge을 증착했을 때, Si(113) 표면에서 원형의 Ge island가 길죽한(elongated) 형태의 나노선 구조로 변형됨이 관찰되었다. 또한, 계속적인 Ge 증착 두께를 증가시킴에 따라 표면에는 새로운 island가 형성되지 않고, 기존의 island들이 점차 길이 방향으로 크기가 증가하면서 [$33\bar{2}$] 방향으로 배열하였다. 이와 같은 Ge 나노구조의 형성과 형태 변화는 나노구조 형성과정에서 변형이완(strain relaxation)과 가원자(adatom)의 표면 동역학적 효과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생태계와 대기 간의 가스 교환 메카니즘 규명을 위한 안정동위원소의 응용 (Application of Stable Isotopes in Studies of Gas Exchange Processes Between Biosphere and the Atmosphere)

  • 한광현;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42-251
    • /
    • 2010
  • 이 논문은 장기간에 걸쳐 논 생태계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순교환량 과 이와 동시에 모니터링된 다양한 환경요소들과의 상관관계들을 살펴보고, 이들 플럭스와 환경 요소 및 생태계 요소들이 어떻게 교환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동위원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생육기간 동안 관측된 이산화탄소 및 메탄의 순교환량은 는 담수기에는 각각 일사량과 토양온도의 변화에 따라 경시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낙수기를 전후해서는 토양에 저장되어 있던 가스들이 낙수 후 확산장벽이 사라짐으로 인해 급격히 대기 중으로 대량 방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플럭스의 변화는 토양 중에 저장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저장량 감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었고, 이에 상응하는 순교환량 중 토양의 기여분 증가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및 메탄의 농도 증가 및 동위원소비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환원상태에서 진행되는 메탄생성의 결과로, 기질인 이산화탄소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13}C$ 동위원소가 축적되는 반면, 생성물인 메탄은 가벼운 $^{12}C$ 동위원소가 축적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토양 유래 이산화탄소는 식물체 호흡 유래 이산화탄소와 구분되는 동위원소 특성을 지내게 된다. Keeling plot 혼합 모델로 추정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가스교환 동위원소 지문은 담수기와 낙수기에 걸쳐 매우 뚜렷한 변화를 보였으며, 그 변화 정도는 토양 중 가스 저장량, 교환된 플럭스의 크기 및 방향, 이동 경로, 부분적인 방출 이산화탄소의 재흡수도, 메탄의 산화정도 등에 의해 크게 달랐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자연상태에서 관측된 플럭스와 결합된동위원소 기술이 생태계 내 다양한 가스 교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였다.

Process Fault Probability Generation via ARIMA Time Series Modeling of Etch Tool Data

  • Arshad, Muhammad Zeeshan;Nawaz, Javeria;Park, Jin-Su;Shin, Sung-Won;Hong, Sang-Jee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1-241
    • /
    • 2012
  • Semiconductor industry has been taking the advantage of improvements in process technology in order to maintain reduced device geometries and stringent performance specifications. This results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became hundreds in sequence, it is continuously expected to be increased. This may in turn reduce the yield. With a large amount of investment at stake, this motivates tighter process control and fault diagnosis. The continuous improvement in semiconductor industry demands advancements in process control and monitoring to the same degree. Any fault in the process must be detected and classified with a high degree of precision, and it is desired to be diagnosed if possible. The detected abnormality in the system is then classified to locate the source of the variation. The performance of a fault detection system is directly reflected in the yield. Therefore a highly capable fault detection system is always desirable. In this research, time series modeling of the data from an etch equipment has been investigated for the ultimate purpose of fault diagnosis. The tool data consisted of number of different parameters each being recorded at fixed time points. As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or a number of runs, it was not synchronized due to variable delays and offsets in data acquisition system and networks. The data was then synchronized using a variant of Dynamic Time Warping (DTW) algorithm. The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 model was then applied on the synchronized data. The ARIMA model combines both the Autoregressive model and the Moving Average model to relate the present value of the time series to its past values. As the new values of parameters are received from the equipment, the model uses them and the previous ones to provide predictions of one step ahead for each parameter. The statistical comparison of these predictions with the actual values, gives us the each parameter's probability of fault, at each time point and (once a run gets finished) for each run. This work will be extended by applying a suitable probability generating function and combining the probabilities of different parameters using Dempster-Shafer Theory (DST). DST provides a way to combine evidence that is available from different sources and gives a joint degree of belief in a hypothesis. This will give us a combined belief of fault in the process with a high precision.

  • PDF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 대응방향에 관한 소고 (Some Thoughts on Direction to Cope with the Sea level Rise in Korea)

  • 조광우;맹준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27-234
    • /
    • 2007
  •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영향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해수면 상승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중 자연 및 인간 시스템에 가장 큰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중의 하나가 해수면 상승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해수면 상승 영향에 대한 대응 방향은 기본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영향 적응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온실가스 감축의 어려움과 더불어 해양의 큰 관성으로 인하여 해수면 상승을 회피할 수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바 계획적인 적응 전략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해수면 상승 대응은 과학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대응 정책 결정은 정보와 인식 구축, 계획 및 정책구상, 실행, 모니터링 및 평가의 단계로 수행되어야 하며 관련 정책 결정은 환경, 경제, 위험에 대한사회의 태도 등을 고려하면서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응을 위한 과제로는 현황 및 예측에 대한 과학적정보 증진, 적응 대책 검토 및 수립, 국민 의식 증진 및 대응 필요성에 대한 합의 형성 및 이들 과제를 종합적이며 지속적으로 다룰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진발생 대응을 위한 상하수도시설 관리 및 기술 현황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recent advances i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management for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 박정수;최준석;김극태;윤영한;박재형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21
    • /
    • 2020
  • The proper operation and safety management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re essential for providing stable water service to the public. However, various natural disasters including floods, large storms, volcano eruptions and earthquakes threaten public water services by causing serious damage to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pipeline systems. Korea is known as a country that is relatively safe from earthquakes, but the recent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earthquakes has increased the need for a proper earthquake management system. Interest in research and the establishment of legal regulations has increased, especially since the large earthquake in Gyeongju in 2016. Currently, earthquakes in Korea are managed by legal regulations and guidelines integrated with other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large storms. The legal system has long been controlled and relatively well managed, but technical research has made limited progress since it was considered in the past that Korea is safe from earthquake damage. Various technologies, including seismic design and earthquake forecasting, are required to minimize possible damages from earthquakes, so proper research is essential.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legal management systems to prevent damages and restore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fter earthquak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High technologies such as unmanned aerial vehicles, wireless networks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s are already being applied to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and to further establish the optimal system for earthquake response i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continuous research in connection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s essential.

시계열 해수면온도 산출을 위한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 열적외선 관측 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Thermal Infrared Observation System on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for Time-series Sea Surface Temperature Extraction)

  • 강기묵;김덕진;황지환;최창현;남성현;김성중;조양기;변도성;이주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2권3호
    • /
    • pp.57-68
    • /
    • 2017
  •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IORS,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주변 해역은 시 공간적으로 해양 환경 변화가 심하여, 해양-대기교환 과정을 비롯하여 해양 생태계와 기후 변화 연구에 필수적인 해수면온도(SST, Sea surface temperature) 자료의 지속적인 측정이 요구되는 해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해수면온도 연속 관측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자동 대기 보정 및 해양 조건에 따른 방사율 계산이 가능한 해수면온도 추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현장측정 해수면온도 자료와의 비교 및 검증을 통해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2015년 5월 17일부터 26일, 그리고 2016년 7월 15일부터 18일까지 기지에 체류하는 동안 열적외선 관측 시스템으로 측정된 해수면온도와 기지 부착 CT (Conductivity-Temperature) 및 튜브 부착 수온 센서들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측정된 해수면온도 시계열을 비교하여 상호상관계수0.72-0.85, 평균제곱근 편차 $0.37-0.90^{\circ}C$의 정확도를 얻었다. 이 시스템은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뿐만 아니라 신안 가거초 및 옹진 소청초 등의 다른 종합해양과학기지에도 쉽게 구축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써 향후 발사될 인공위성의 해수면온도 산출알고리즘 개발의 테스트사이트나 검보정사이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