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aware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3초

Context Aware Services using Multi-Environmental Sensors and Its application for Ubiquitous Home Networks

  • Quang, Bui Dang;Torregoza, John Paul M.;Hwang, Won-J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786-798
    • /
    • 2007
  • As we go about our daily lives, people often collect surrounding information and adapt to the situation. Computer development trends show that one wants computers to work like human beings, i.e. computers can sense its context and adapt corresponding to context changes. To implement this expectation, a context aware service layer is needed. In this layer, sensors capture its environment and send this information to the service center. Considering received information as its context, the service center seeks the suitab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ext. Tills paper presents a context aware service which is applied in controlling air-conditioner. The air-conditioner includes sensors which are installed at some special positions in a room. Each of these sensors gathers comfort-influenced information like temperature, humidity and sends them to air-conditioner. The air-conditioner adapts its operation to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ensed information. To control the air-conditioner effectively, we use a genetic algorithm which is suitable in adaptation issues. The simulation shows that the room condition can be maintained at a comfortable level by using context-aware services in the operation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 PDF

동적인 사용자 서비스 요구를 지원하는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스템 (A Context-Aware Workflow System for Supporting Users' Dynamic Service Demands)

  • 최종선;조용윤;최재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4권5_6호
    • /
    • pp.214-227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상황인지 서비스는 동적으로 발생하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지향한다. FollowMe와 uFlow와 같은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서비스의 분기 조건으로 표현한 워크플로우 기반의 상황인지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그들은 워크플로우의 실행 중에도 동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에 대해 진행 중인 워크플로우 시나리오에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행 중인 워크플로우 서비스의 중단없이 사용자가 입력하는 새로운 서비스 요구를 초기 워크플로우 시나리오에 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새로운 서비스 요구에 대해 실행중인 시나리오에서의 변경 위치를 점진적 파싱(Incremental Parsing)을 통해 정확히 인식하고 초기 시나리오에서 영향을 받는 부분만을 신속히 재구성함으로써 동적으로 발생하는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초기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으며, 워크플로우 흐름의 중단없이 계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간과 공간에 관계없이 원하는 서비스를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나리오에 반영할 수 있으며, 기술된 사용자 컨텍스트에 따라 상황인지 서비스의 실행을 보장받을 수 있다.

복합 워크플로우 서비스를 위한 CAWL 기반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시스템 (A CAWL-based Context-Aware Workflow System for Composite Workflow Services)

  • 최종선;조용윤;최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2호
    • /
    • pp.93-102
    • /
    • 2010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매우 다양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상황인지 기반 워크플로우 시스템들은 단일 워크플로우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워크플로우 조합을 통해 복합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약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워크플로우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서비스 흐름을 하나의 워크플로우로 통합 표현할 수 있는 상황인지 기반의 워크플로우 언어인 CAWL(Context-Aware Workflow Language)를 기반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CAWL를 이용하여 작성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복합 워크플로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존재하는 다수의 워크플로우를 복합 워크플로우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일부로써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화 서비스 개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컨텍스트 인지 시스템을 위한 요구사항 도출 및 명세화 방법 (A Study of Requirements Elicitation and Specification for Context-Aware Systems)

  • 최종명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8호
    • /
    • pp.394-406
    • /
    • 2008
  • 컨텍스트 인지 시스템에서 컨텍스트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기존 요구공학은 컨텍스트를 도출하고 명세화하는 방법을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컨텍스트 인지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방법과 명세화 방법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요구사항 도출 방법은 6단계로 구성된 점진적이고 반복적인 프로세스로서 비즈니스 로직을 위한 요구사항을 먼저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컨텍스트 로직을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컨텍스트 모델링과 서브시스템 식별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요구사항 명세화 방법으로는 컨텍스트 인지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컨텍스트의 개념을 표현할 수 있는 컨텍스트 다이어그램, 컨텍스트 타입에 영향을 받는 유스케이스를 표현하는 컨텍스트타입-유스케이스 의존 다이어그램을 제안한다. 논문에서는 또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에 대한 사례연구를 소개하고, 이를 정성적으로 평가한 내용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가 컨텍스트 인지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명확히 기술하며,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유비쿼터스 학습공간과 OWL 상황 모델 설계를 통한 상황 인식 학습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Context aware Learning System by Designing Ubiquitous Learning Space and OWL Context Model)

  • 홍명우;이용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9-109
    • /
    • 2011
  •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은 유비쿼터스 학습 즉 u-러닝의 출현을 이끌며 미래 학교 교육의 개선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에서는 우선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을 위해 다양한 내장형 컴퓨터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이러한 기기들을 도처에 편재시키고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지능적인 학습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상황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공유하도록 상황 지식과 상황 추론이 가능한 상황 인식 서비스를 도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실제 학교를 대상으로 상황 인식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온톨로지 상황 모델 설계 및 적용에 대한 연구결과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은 상황 인식 기반의 유비쿼터스 학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기존 LAN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학교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USN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학습 공간을 제안하고, OWL을 사용해 유비쿼터스학교 환경에대한온톨로지기반의상황모델을설계한다. 또한제안한유비쿼터스학습공간과온톨로지상황모델이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에 적합함을 확인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 인식 학습 서비스들을 구현한다.

상황인지 컴퓨팅 환경에서 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시스템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Composite Service Providing System in a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

  • 남진규;허선;주국선;신동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1-57
    • /
    • 2009
  • There are a variety of users and devices in a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 In this environment, the service provided to a user may be the composition of diverse services rather than one independent service. Before user's devices provide the composite service to the user, they should perceive user's needs by gathering related information segments from other surrounding devices and/or sensors. We consider a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 providing composite and adapted service to users and propose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that characterizes the device where the collected data should be processed through services and/or applications. Based on this model, we provide an analytical tool to obtain some performance measures of the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

상황 인식 환경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프로액티브 검색 기법 (Proactive Retrieval Method using Ontology in Context-aware Environment)

  • 김성림;권준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4권3호
    • /
    • pp.8-13
    • /
    • 2007
  • 상황 인식 환경에서는 물리적인 환경, 상황 등을 시스템이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상황 인식 기술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 정보 모델은 상황정보의 공유와 재사용의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식 환경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새로운 프로액티브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온톨로지의 계층적 개념 트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정보의 개념 수준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안된 기법을 설명하고, 실험을 통해 기존 기법보다 제안 기법이 우수함을 보인다.

다치 함수의 차분을 이용한 상황 인식 모델 및 응용 (A Context-Aware Model and It's Application Using Difference of Multiple-Valued Logic Functions)

  • 고현정;정환묵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59-664
    • /
    • 2006
  •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핵심적인 요소 기술인 상황 인식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데 점차 센서의 활용과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상황 인식 서비스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상황 정보를 통합하고 해석 및 추론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매장, 의료, 교육 등의 응용분야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치 함수의 차분 및 구조적 성질을 이용하여 주변 상황 등을 인식하는 방법과 그 인식 결과를 해석하여 주변상황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고 적용 예를 통하여 확인한다.

상황인식 컴퓨팅의 개념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The Concept of the Context-Aware Computi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 이정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9-194
    • /
    • 2012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의 중요한 주제로 거론되고 있는 상황인식컴퓨팅의 도서관 정보서비스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상황인식컴퓨팅은 이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컴퓨팅 기술이다. 상황인식컴퓨팅의 개념은 90년대 말부터 논의되었으나 기술적 제한으로 인해 최근까지는 그 현실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었다.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스마트폰 사용을 필두로 한 모바일 정보검색의 대중화는 상황인식컴퓨팅을 현실에 적용시킬 수 있게 만들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그 유용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본 논문은 상황인식컴퓨팅의 개념을 소개하고 각종 사례를 살펴보며, 상황인식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요구를 조사하여 도서관 환경에 적용해봄으로써 보다 이용자 중심적인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