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Free Gramma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1초

확장된 PLR(1) 문법에 대한 단일 틈 파싱 (A One-Gap Parsing with Extended PLR(1) Grammars)

  • 이경옥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3호
    • /
    • pp.361-366
    • /
    • 2015
  • 틈(Gap) 파싱은 완전하지 않고 틈이 있는 입력 스트링에 대한 구문 분석을 수행한다. 이런 틈 파싱에 관한 기존 연구로서 임의의 문법에 대한 단일 틈 파싱 알고리즘과 LL(1) 문법에 대한 단일 틈 파싱 알고리즘이 제안되었으며, 이들의 시간복잡도는 각각 $O(n^3)$$O(n^2)$이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PLR(1) 문법에 대한 단일 틈 파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확장된 PLR(1) 문법은 LR(1) 문법의 부분 클래스이지만 LL(1) 문법보다는 휠씬 넒은 범위의 문법 클래스이다. 이 문법 클래스에 대한 단일 틈 파싱 알고리즘이 LL(1) 문법에 대한 기존에 알려진 단일 틈 파싱 알고리즘의 복잡도와 동일한 $O(n^2)$임을 보인다.

XML 문서 편집을 위한 추상문법 (An Abstract Grammar for XML Document Editing)

  • 신경희;최종명;유재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3_4호
    • /
    • pp.268-277
    • /
    • 2003
  • 문서내의 태그를 정의하는 문서타입정의(DTD)는 구문구조를 정의하는 XML 문서문법으로 이문법에 따라 작성되는 XML 문서는 파싱처리로 적합성을 확인해야 한다. XML 문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한 파싱 방법으로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결정적 파싱은 표준에서 언급한 모든 엘리먼트선언에 대한 결정적 내용 모델에 대한 정의를 만족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적합한 XML 문서 처리를 위하여 구문 편집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구문편집에 기본이 되는 DTD의 내부표현과 그에 따른 알고리즘에 대하여 기술한다. 문자열로 표현되는 DTD의 엘리먼트선언과 어트리뷰트선언의 문서 논리구조는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그래프구조와 데이블구조로 변환되고, 특히 테이블구조의 구문정보는 속성값을 갖는 문맥자유문법형태로 구문지향적 편집기에 이용되는 문법이 된다. 이 문법을 XML 추상문법이라고 하고 문법생성결과 및 구문편집 예를 보인다.

복합 레이블을 적용한 한국어 구문 규칙 (Korean Syntactic Rules using Composite Labels)

  • 김성용;이공주;최기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2호
    • /
    • pp.235-24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구문 분석 및 구문 트리 표현을 위한 복합 레이블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구문 트리 표현에서는 미리 정의된 구문 트리 레이블을 사용하여 구문 정보를 표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 규칙하에서 품사태그 정보만을 이용하여 구문 레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구문 레이블은 두 개의 하위 구성체의 품사정보를 적절히 구성하여 형성되며, 동시에 현 구성체의 상태 및 역할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품사태그 정보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구문 트리에 반영시킬 수 있었다. 또한, 품사 정보와 이진규칙만을 이용하여 구문 트리를 표현하기 때문에, 다양한 구문 규칙을 채택하고 있는 서로 다른 구문 분석기의 결과를 정규화 하는 데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일본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다. 약 31,080 문장에 대한 구문 분석의 결과, 79.30%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제안된 구문 트리 표현 방법이 구문 분석기의 효율에도 좋은 영향을 미침을 보이는 것이다.

이진 삼차 재귀 신경망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문맥-자유 문법의 추론 (Inference of Context-Free Grammars using Binary Third-order Recurrent Neural Networks with Genetic Algorithm)

  • 정순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25
    • /
    • 2012
  • 이 논문은 이진 삼차 재귀 신경망(Binary Third-order Recurrent Neural Networks: BTRNN)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맥-자유 문법을 추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BTRNN은 각 입력심볼에 대응되는 재귀 신경망들의 다층적 구조이고 외부의 스택과 결합된다. BTRNN의 매개변수들은 모두 이진수로 표현되며 상태 전이와 동시에 스택의 한 동작이 실행된다. 염색체로 표현된 BTRNN들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긍정과 부정의 입력 패턴들의 문맥-자유 문법을 추론하는 최적의 BTRNN를 얻는다. 이 방법은 기존의 신경망 이용방법보다 적은 학습량과 적은 학습회수로 작거나 같은 상태 수를 갖는 BTRNN을 추론한다. 또한 문법 표현의 염색체 이용방법보다 parsing과정에서 결정적인 상태전이와 스택동작이 실행되므로 입력 패턴에 대한 인식처리 시간복잡도가 우수하다. 문맥-자유 문법의 비단말 심볼의 개수 p, 단말 심볼의 개수 q, 그리고 길이가 k인 문자열이 입력이 될 때, BTRNN의 최대 상태수가 m이라고 하면, BTRNN의 인식처리 병렬처리 시간은 O(k)이고 순차처리 시간은 O(km)이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WAP 게이트웨이용 WML 컴파일러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ML Compiler for WAP Gateway for Wireless Internet Services)

  • 최은정;한동원;임경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2호
    • /
    • pp.165-182
    • /
    • 2001
  • 무선 마크업 언어(Wireless Markup Language) 컴파일러는 텍스트로 구성된 문서를 바이너리 문서로 변환, 압축함으로써, 낮은 대역폭을 갖는 무선 선로에서 트래픽을 감소시키며, 낮은 성능을 갖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브라우징 처리를 간단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확장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well-formedness와 validation 과정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서 문서처리 부담을 대폭 경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무선 마크업 언어 컴파일러는 어휘분석기 모듈과 파서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데, 파서 모듈은 파서 생성기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이는 향후 응용 수준에서 보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태그를 확장하거나 무선 마크업 언어의 버전이 업그레이드 될 때에서 변경된 부분에 해당하는 문법만 다시 설계함을써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용된 문법은 LALR(1) context-free 문법으로서, 확장 마크업 언어 1.0과 무선 마크업 언어 1.2의 문서 형태 정의(Document Type Definition)를 기반으로 무선 응용 프로토콜 바이너리 확장 마크업 언어(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inary XML) 문법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구현된 컴파일러의 기능을 실험하여 데모하기 위하여 세 가지 방법(수작업, WML 디컴파일러, 노키아 WAP 툴킷)을 사용하였으며, 다양한 태그 조합을 갖는 임의의 130여 개 문서에 대해 실험한 결과, 최대 85%의 압축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태그나 속성에 비해 일반 문자열 데이타가 많아지면 상대적으로 압축효과가 감소되므로, 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로부터 무선 마크업 언어 문서로 자동 변환된 텍스트를 인코딩하는 경우와 같이 특정한 응용 분야에서는 일반 문자열에 대한 확장 인코딩 기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 PDF

반복학습법에 의해 작성한 N-gram 언어모델을 이용한 연속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N-gram Language Models Constructed by Iterative Learning)

  • 오세진;황철준;김범국;정호열;정현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2-70
    • /
    • 2000
  • 일반적으로 통계적 언어모델의 확률을 추정하는 방법은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출현빈도가 높은 단어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 태스크에서 적용할 언어모델의 경우 시간적, 비용적 측면을 고려할 때 대용량의 텍스트의 사용은 비효율적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태스크에서 사용하기 위해 소량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효율적인 언어모델을 작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언어모델을 작성할 때 출현빈도가 낮은 단어의 빈도를 개선하기 위해 같은 문장을 반복하여 학습에 참가시키므로 단어의 발생확률을 좀 더 강건하게 하였으며 제안된 언어모델을 이용하여 3명이 발성한 항공편 예약관련 200문장에 대하여 연속음성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식실험 결과, 반복학습에 의해 작성한 언어모델을 이용한 경우가 반복학습 적용 전에 비하여 평균 20.4%의 인식률 향상을 보였다. 또한 기존의 문맥자유문법을 이용한 시스템과 비교하여 인식률이 평균 13.4% 향상되어 제안한 방법이 시스템에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PDF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의 저작권 관리를 위한 디지털 라이센스 프로토타입 (Digital License Prototype for Copyright Management of Software Source Code)

  • 차병래;정종근;오수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5-108
    • /
    • 2006
  •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디지털콘텐츠에서 확대하여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에 대한 지적재산권 제도와 기술의 정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지적재산권 중에서 특히 소프트웨어 보호에 대한 인지는 매우 낮은 편이다. 소프트웨어 소스코드의 소유권 분쟁이 발생 시 소유권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원본의 소프트웨어 소스코드를 판별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가 복제되어도 복잡성과 독해 능력 부족으로 정확한 판정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소프트웨어 복제에 대한 판별을 하나의 개별 코드 단위로 시행하지 않고, 전체 소스가 가지는 구조적 일치성을 기반으로 복제를 판별할 수 있는 XMI 타입의 디지털 라이센스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소프트웨어는 구조적으로 Context Free Grammar 기반이며, 그러므로 BNF표기 형태로 표현할 수 있고, 이는 다시 계층 구조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소스코드의 구조적 일치성을 비교하기 위한 계층구조를 갖는 소스코드의 아키텍처를 표현할 수 있다.

  • PDF

문법적 진화기법과 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청소 로봇의 이동 패턴 계획 (Designing the Moving Pattern of Cleaning Robot based on Grammatical Evolution with Conditional Probability Table)

  • 권순조;김현태;안창욱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84-188
    • /
    • 2016
  • 청소 로봇은 가정에서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지능형 로봇이다. 고가형 청소 로봇은 센서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높은 커버리지 성능을 가진 알고리즘이 존재하지만, 저가형의 청소 로봇엔 적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저가형의 청소 로봇과 같은 환경에서 효율적인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문법적 진화기법 기반의 청소 로봇의 이동 패턴을 계획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배커스-나우르 표기법을 사용하여 이동 패턴 문법을 정의하고 진화연산을 통해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생성하였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 생성 과정에서 획득한 문법 요소 간 조건부 확률 정보를 활용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을 위해 청소 로봇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기존 알고리즘과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트리 접합 문법의 LR파싱 알고리즘 (A LR Parsing Algorithm for Tree Adjoining Grammar)

  • 한성국
    • 인지과학
    • /
    • 제6권3호
    • /
    • pp.41-63
    • /
    • 1995
  • 트리접합문법의 LR상향식 파싱 방법을 제시한다.먼저 트리접합문법의 형식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접합규칙 시스템을 도입하여 파싱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트리접합문법은 문맥의존성을 갖고 있는데,접합 순간은 문맥자 유문법 체계로 기술할 수 있음을 보이고,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상향식 파싱방법을 유도한다.본 논문에서 제시한 LR상향식 파싱방법은 트리접합문법에 문맥자유문법의 파싱방법을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A Korean Flight Reservation System Using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 Choi, Jong-Ryong;Kim, Bum-Koog;Chung, Hyun-Yeol;Nakagawa, Seiich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3E호
    • /
    • pp.60-65
    • /
    • 1996
  • This paper describes on the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flight reservation. It adopts a frame-synchronous One-Pass DP search algorithm driven by syntactic constraints of context free grammar(CFG). For recognition, 48 phoneme-like units(PLU) were defined and used as basic units for acoustic modeling of Korean. This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a HMM technique, where each model has 4-states 3-continuous output probability distributions and 3-discrete-duration distributions. Language modeling by CFG was also applied to the task domain of flight reservation, which consisted of 346 words and 422 rewriting rules. In the tests, the sentence recognition rate of 62.6% was obtained after speaker adap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