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 recognition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26초

MOnCa2: 지능형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사용자 이동 행위 인지와 경로 예측 기반의 고수준 콘텍스트 추론 프레임워크 (MOnCa2: High-Level Context Reasoning Framework based on User Travel Behavior Recognition and Route Prediction for Intelligent Smartphone Applications)

  • 김제민;박영택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3호
    • /
    • pp.295-306
    • /
    • 2015
  • MOnCa2는 스마트폰에 장착된 센서와 온톨로지 추론 기반의 지능형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다. 기존에 연구되었던 MOnCa는 온톨로지 인스턴스로 등록된 센서 값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판단 및 추론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공간 정보나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가 무엇인지 판단하는 것은 가능하나 사용자의 물리적인 콘텍스트(이동 행위, 이동할 목적지 등등)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본 논문에서 설명하는 MOnCa2는 사용자 개개인의 물리적인 콘텍스트를 판단 및 추론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장착된 센서를 바탕으로 행위 및 이동 상황에 대응하는 인지 모델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실시간 행위 및 이동 상황에 대해 1차적인 추론을 수행하며, 추론된 1차적인 콘텍스트에 대해 온톨로지 기반의 2차 추론을 통해 지능형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고수준 사용자 콘텍스트를 생산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동에 필요한 행위를 인지하는 기법, 스마트폰의 GPS 신호를 바탕으로 이동 목적지와 경로를 예측하는 기법, 온톨로지 실체화를 적용하여 고수준 콘텍스트를 추론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을 한다.

모바일 및 웨어러블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식사상황 인식 시스템 (A Context Recognition System for Various Food Intake using Mobile and Wearable Sensor Data)

  • 김기훈;조성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5호
    • /
    • pp.531-540
    • /
    • 2016
  • 최근 모바일 환경의 다양한 센서 정보를 이용한 상황인지 서비스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및 웨어러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해 다양한 맥락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용자의 식사상황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확률모델을 제안한다. 식사행위와 관련된 상황들을 체계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해 행위이론의 4가지 행위 요소 및 육하원칙의 5가지 구성 요소들을 모바일 및 웨어러블의 저수준 센서 데이터로 추론 가능한 범위에 맞게 통합하여 인식모델을 구축하고, 트리구조의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링 방식을 사용하여 인식의 경량화를 시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1주일간 다양한 배경의 4명 사용자로부터 식사상황 및 일상생활에 대한 383분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 대표적인 분류기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인식률(93.21%)이 도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 시나리오를 통한 내부 분석을 수행하여 인식에 사용되는 각 요소들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실내 및 실외 위치 기반 사용자 상황인식과 시각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User Context Recognition Based on Indoor and Outdoor Location and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for Visualization)

  • 노현용;오세원;이진형;박창현;황금성;조성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4-89
    • /
    • 2009
  • 핸드폰, PMP, MP3 플레이어 등으로 대표되는 개인 모바일 장치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런 모바일 환경의 발전은 사용자의 일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라이프로그 연구를 활성화하고 있다. 즉, 모바일 장치의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개인의 일상을 기록한 라이프로그는 복잡한 일상에 대한 기억 보조 도구로 사용가능하기에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PS에 의한 실외 위치뿐만 아니라 무선랜에 의한 실내 위치를 고려하여 상황을 추론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내에서 GPS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무선랜을 기반으로 한 실내 위치 추정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황 인식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지도 인터페이스 및 블로그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화 방법을 개발하였다. 실험에서는 모바일 장비를 가지고 실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상황을 인식하고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스마트폰 기반 영어 어휘 상황학습 에이전트 개발 (Development of a English Vocabulary Context-Learning Agent based on Smartphone)

  • 김진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44-351
    • /
    • 2016
  • Recently, mobile application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is being developed actively. However, most mobile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pplications did not effectively connected with the technical advantages of mobile learning. Also,the study of mobile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pp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paper development a english vocabulary context-learning Agent that can practice context learning more reasonably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based on smart phone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gent, we have measured the precision and usability. As results of experiments, the precision of learning vocabulary is 89% and 'Match between system and the real world', 'User control and freedom', 'Recognition rather than recall', '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 appeared to be respectively 3.91, 3.80, 3.85, 4.01 in evaluation of usability. It were obtained significant results.

MANET에서 IEEE 802.15.4 WPAN Standard 기반의 UoC Architecture 구현 (Implement of UoC Architecture for IEEE 802.15.4 WPAN Standard in MANET)

  • 두경민;이강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361-364
    • /
    • 2008
  • 최근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이 가능한 Ubiquitous Computing System 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식 (Context-awareness) 컴퓨팅 기술 또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biquitous Computing System 을 구현하기 위해 복합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상황 정보에 대해 CRS(Context Recognition Switch) 개념을 포함하여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제안된 DOS(Dynamic and Optimal Standard) 개념으로부터 노드의 고유 속성을 분석하여 특화된 시스템 서비스가 가능한는 IEEE 802.15.4 WPAN Standard 기반의 UoC(Ubiquitous system on Chip) Architecture 를 제안하였다.

  • PDF

Context-Free 언어의 인식을 위한 일차원 시스토릭 어레이의 설계 (Design of One-Dimensional Systolic Array for Recognition of Context-Free Language)

  • 우종호;한광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30-36
    • /
    • 1990
  • Context-free language can be recognized by Cocke-Younger-Kasami algorithm. This algorithm is a class of polyadic-nonserial dynamic programming technique and has the O(n**3) time complexity. In this paper, a one-dimensional systolic array for recognition of context-free language is designed. The designed triangle type two-dimensional array is projected and transformed to an one-dimensional array. The designed one-dimensional array has n processing elements and \ulcornern+1)/2\ulcorner(n-1)+3n-1 time units to process the algorithm (n is the length of input string). The time complexity is O(n\ulcorner.

  • PDF

멀티 모달 감정인식 시스템 기반 상황인식 서비스 추론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ntext Awareness and Service Reasoning Technique for Handicapped People)

  • 고광은;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4-39
    • /
    • 2009
  • 사람의 감정은 주관적인 인식 작용으로서 충동적인 성향을 띄고 있으며 무의식중의 사람의 욕구와 의도를 표현하고 있다. 이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나 지능형 로봇의 사용자가 처한 환경의 상황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는 사람의 얼굴 영상에서의 표정과 음성신호에서의 Spectrum 통계치 및 생체신호(근전위, 뇌파, 등)등 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인식 활용의 편의와 효율성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상과 음성을 이용한 감정인식에 대하여 개별 결과물만을 산출하고 그 인식률을 검토한다. 또한 임의의 상황에서의 인식률 향상을 위하여 영상과 음성의 특징을 기반으로 최적의 특징 정보들을 구별해 내고, 각각의 개별 감정 특징에 대한 융합을 시도하는 특징 융합 기반의 Multi-Modal 감정인식 기법을 구현한다. 최종적으로 감정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 설정 시나리오와 베이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의 확률 추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황 정보 기반 양방향 추론 방법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물체 인식 (Object Recognition for Mobile Robot using Context-based Bi-directional Reasoning)

  • 임기현;류광근;서일홍;김종복;장국현;강정호;박명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6-8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reasoning system for object recognition and space classification using not only visual features but also contextu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erceive object and classify space in real environments for mobile robot. especially vision based. Several visual features such as texture, SIFT. color are used for object recognition. Because of sensor uncertainty and object occlusio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vision-based perception. To show the validities of our reasoning system. experimental results will be illustrated. where object and space are inferred by bi -directional rules even with partial and uncertain information. And the system is combined with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

  • PDF

A Development of Gesture Interfaces using Spatial Context Information

  • Kwon, Doo-Young;Bae, Ki-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1호
    • /
    • pp.29-36
    • /
    • 2011
  • Gestures have been employed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to build more natural interface in new computational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describe our approach to develop a gesture interface using spatial context information. The proposed gesture interface recognizes a system action (e.g. commands) by integrating gesture information with spatial context information within a probabilistic framework. Two ontologies of spatial contexts are introduced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of gestures: gesture volume and gesture target. Prototype applications are developed using a smart environment scenario that a user can interact with digital information embedded to physical objects using gestures.

음성인식을 이용한 상황정보 기반의 스마트 흠 개인화 서비스 (Smart Home Personalization Service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using Speech)

  • 김종훈;송창우;김주현;정경용;임기욱;이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80-89
    • /
    • 2009
  •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발전하면서, 스마트 홈 환경에서 개인화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상황정보 기반의 스마트 홈 개인화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서비스에서는 OSGi 프레임워크 기반의 서비스 이동 관리자, 서비스 관리자, 음성인식 관리자, 위치 관리자로 구성된다. 스마트 홈 공간을 정의하고 정의된 공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닛의 명령어 및 센서 정보, 사용자 정보를 상황정보로 구성하였다. 특히, 본 서비스는 음성인식의 훈련모델과 패턴매칭 분석을 통하여 RFID로 구별하기 어려운 동일한 공간의 사용자들을 구별하고 상황 및 개인 정보를 사용하여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의 개인화 서비스를 지원한다. 실험 결과, 동일 공간에서 사용자 확인을 통한 OSGi 기반의 자동화되고 개인화 된 서비스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