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Planning

검색결과 1,310건 처리시간 0.032초

문화콘텐츠기획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Planning Model)

  • 김천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75-84
    • /
    • 2018
  • 본 연구는 관계적 접근으로 문화콘텐츠기획 모형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콘텐츠의 개념적 접근틀을 설정하고, 문화콘텐츠 분석 및 기획을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센텐스문화콘텐츠기획의 일반모형을 제시한다. 그것의 내용은 컨셉기획모형, 기표개발 선택기획모형, 기표배열 배치기획모형이다. 문화의 중요성은 문화인식의 중요성에서 찾아진다. 그것은 삶의 중요성 인식이기에 그러하다. 문화가 삶의 질서 속에서 구성되는 삶의 방식으로 드러나는 만큼, 문화인식은 문화콘텐츠 인식으로서의 삶의 인식으로 간주된다. 문화콘텐츠기획은 바로 이러한 건강한 삶의 질서를 구성하는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가지며 올바른 문화콘텐츠기획의 존재의미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콘텐츠기획 모형 연구는 이론과 실천면에서 유용성을 가지며 연구의 정당성과 가치공헌을 꾀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것이다.

디지털콘텐츠 산업에서 선도기업 육성 방안 연구 - 가치사슬모형을 통한 - (A Study on Cultivating Planning of Leading Company in Digital Contents Industry)

  • 노규성;최성;김민철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7-18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cept and cultivating planning of leading company in digital contents industry to promote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Korea. Analysis of this study focuses on concept of leading company in digital contents industry through the delphi method. And in addition, we propose the cultivating planning through the value chain method and AHP method.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various implication and policy planning.

  • PDF

비시가화지역의 경관친화적 계획 유도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관련 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District Unit Planning to Induce Landscape-Friendly Planning in Non-Urban Areas)

  • 김진효;나정화;권오성
    • 농촌계획
    • /
    • 제27권2호
    • /
    • pp.1-11
    • /
    • 2021
  • In this study, in order to induce landscape-friendly various development plans established at the district level, the contents of landscape plans appearing in domestic laws and systems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are reviewed and comparative analysis is performed to advance the district-level landscape plan. The main focus was to explore the institutional methodology for th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landscape plan content prescribed in the National Territory Planning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the landscape plan content for natural elements and the landscape plan content for artifacts appeared mixed. Next,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andscape plan contents in the Landscape Act,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and the landscape plan establishment guidelines, it is analyzed that the content mainly intended to improve the artificial landscape in terms of aesthetics, such as color, lighting, and buildings. Became.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landscape plan contents in the district unit plan establishment guidelines,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plan for the skyline, night view, color, advertisements, and viewpoint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andscape plan contents in the preceding study, the plan contents for ecological, recreational, and micro-visual aspects were revealed, and all three aspects aim to establish a landscape plan within the range of minimizing damage to nature. there was. Appeared to b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able to induce more landscape and nature-friendly district unit plans being conducted at the district level.

지능형 스토리텔링 콘텐츠 기획지원도구 모델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가족이야기(familyHistory)를 중심으로 사례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Contents Planning Supporting System(ICPS) in familyHistory)

  • 이은령;김교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607-614
    • /
    • 2010
  • 가족이야기(familyHistory)를 중심으로한 지능형 스토리텔링 기획지원도구란 가족의 역사, 개인의 인물사등 선형적인 서사 장르의 이야기의 저작 과정을 지원하는 도구이다. 서사의 영역은 극, 신화, 전설, 역사 등의 언어적 서사물 뿐만 아니라, 영화, 연극, 발레, 오페라 등의 비언어적 서사도 포괄되나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서사물로서 각 가정의 구성원에 대한 인물사 및 가족역사를 중심으로 한다. 본 스토리텔링 기획 지원 도구는 샘플DB와 지식DB를 통하여 가정의 역사와 이야기에 대한 장르별 스토리텔링을 재구성하고, 내용의 가치와 완성도 높은 이야기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스토리텔링 기획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과 비용의 최소화를 지향 한다. 가족, 가정에 대한 스토리텔링은 창작 콘텐츠의 가장 원초적인 기반을 이루는 핵심적 단계이나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작성할 수 있는 기획 및 저작도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창작 인프라가 부족한 한국의 현황에서 본 연구가 제시한 기획지원도구는 대중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매커니즘을 개방화, 구조화 시킴으로서 향후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 창작 도구로 연동 가능한 모델을 설계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에 있어 농촌경관계획과 경관사업부문의 위상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tus Change in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Landscape Project in the General Agriculture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이수현;조동범
    • 농촌계획
    • /
    • 제25권4호
    • /
    • pp.119-128
    • /
    • 2019
  • Although the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andscape formation and management in rural area,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project sectors was not stable by fluctuation variables. On the basic understanding the institutional status of rural landscape planning, some conclusions could be discuss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and the background factors. The rural landscape plan lacked its own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and the landscape project of the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was mainly focused on the environment-improving H/W project for expanding the basic living infrastructures.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become independent rural landscap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tents so that the S/W business such as the deepening landscape awareness and empowerment linked with improving the physical landscap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system to have its own status, and it seems to seek to supplement with what is included S/W contents reflecting the context of higher level landscape planning. The landscape sector of the General Agricultural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proved to be in the process of shrinking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despite the temporary expansion in the past. In addition, considering the distortion of the contents of landscape projects in rural sites, it seems that the rural landscape-related public project are now in a position to seek a new phase change beyond quantitative expansion. In particular, along with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secure the independent status of rural landscape planning that contributes to village community regeneration and social sustainability through the role of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n landscape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 the integrated landscape plan, which is established in advance and led by the residents in the early stages,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to enhance meaning of the landscape planning goes beyond the facility design or space improvement.

목포 삼학도의 장소성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기획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Performance Contents Using the Placeability of Samhakdo Island in Mokpo.)

  • 정지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83-392
    • /
    • 2022
  • 목포는 한반도 서남부에 있는 항구도시이다. 대중가요인 《목포의 눈물》은 전 국민의 가슴속에 심어진 노래이다. 이 가사에 목포지역인 유달산과 삼학도가 있기에, 사람들은 이 지역을 막연하게 알고 있지만 친숙한 곳이다. 특히 삼학도는 목포를 상징하는 지역으로 대표적인 브랜드이며, 지역의 정체성을 가진 장소이다. 목포시는 삼학도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시설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 지역경제를 관광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발판인 것이다. 하지만 지역문화의 소프트파워를 위한 공연콘텐츠 개발은 미약하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지역의 관광매력도를 위하여 목포의 대표브랜드인 삼학도에 대하여 공연콘텐츠를 제시한 것이다. 연구진행은 목포에서 삼학도의 장소성을 활용한 공연콘텐츠 기획 연구한 것이다. 먼저 지역의 장소성을 기반으로 하는 공연콘텐츠 기획 이론 배경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목포 삼학도에서 공연콘텐츠 기획을 제안하였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연구 - 런던, 뉴욕, 베를린, 시드니,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perational Systems & Planning Contents of Parks & Green Space Plan - Focused on London, New York, Berlin, Sydney, Seoul -)

  • 채진해;조경진;김승주;허윤경;황주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1-102
    • /
    • 2014
  • 최근 도시정책에서 도시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되고 있다. 좋은 도시공원체계 확보를 위해서 공원정책 및 계획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주요도시의 공원녹지 관련 계획의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적 차원에서의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연구대상지로는 영국 런던, 미국 뉴욕, 독일 베를린, 호주 시드니, 국내 서울을 선정하였고, 분석자료는 각 도시별 공원녹지 관련 기본계획 및 전략보고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은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계획을 관련자원과 연계된 오픈 스페이스 계획으로 수립함으로써 자원의 통합적 관리 및 형평성에 대한 실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둘째, 공원녹지계획이 초기의 양적 공급에서 질적가치의 향상으로 더 나아가 재활성화 및 재생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셋째, '공급중심의 계획'에서 '수요에 기반한 평가' 모델로 전환함으로써 인구학적 변화, 트렌드 변화, 선호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계획 모델로 수립되고 있다. 넷째, 계획의 주체, 수립단계별 참여 기회 확대, 참여구성원의 다양화를 통해 수동적 참여에서 적극적 참여계획으로 전환되고 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실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에 관한 새로운 인식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공원 거버넌스를 수용을 도입하며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유연한 계획접근이 필요하다.

Motivation-based Hierarchical Behavior Planning

  • 송웨이;조경은;엄기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79-9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동기 기반의 계층적 행동 계획 시스템을 제안한다. 가상 시뮬레이션 게임 환경에서 에이전트는 행동 계획 시스템을 통해 적합한 행동을 선택하게 된다. 행동 선택 시스템은 동기를 추출하고 목표를 선택하고 행동을 생성하고 최적화를 수행한다. 동기를 평가할 때 갑작스럽게 발생하거나 누적된 이벤트에 대해 계산한다. 동기를 선택할 때는 확률 분포를 사용하여 무작위로 선택한다. 계층적 목표 트리를 탐색한 후에 목표를 실행할 수 있다. 행동들을 비교한 후 가장 적합한 행동을 선택하게 된다. 선택을 할 때 안전도 값과 만족도 값을 비교하여 최적화된 행동을 선택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식당경영 게임에 적용했다.

  • PDF

기능성게임 제작을 통한 기획접근 프로세스 사례 (A Case Study of a Planning Process through Developing Serious Games)

  • 은광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97-204
    • /
    • 2010
  • 본 논문은 기능성 소재 게임 제작을 통해서 기능성 게임 기획 접근에 대한 프로세스 사례를 연구한 기획 교육실습에 관한 내용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순기능 소재의 게임 제작을 통해서 게임 직무의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인 기획에 대한 교육실습 과정을 '기능성 게임기획 프레임워크'로 구성하였으며 실제 기능성 게임 제작을 통해서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내용을 검증해 보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순기능이란 목적을 지닌 기능성 게임기획에 대한 접근 과정은 일반적인 접근 프로세스와 달리 단계별 정량적인 접근 기준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기획 접근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향후, 기능성 게임 교육의 참고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국내 경관계획 관련지침 및 계획내용 분석 (Analysis of Guidelines and Content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

  • 주신하;김영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10
    • /
    • 2011
  • 본 연구는 경관법 제정 이후 경관법에 의한 경관계획 관련지침과 경관계획의 내용을 분석하여 경관계획 진행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경관계획의 특정을 살펴보기 위해 경관계획 수립 시 기초가 되는 경관계획수립지침과 경관계획보고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경관계획수립지침 분석은 실제 경관계획을 수립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중요도-성취도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 지침 내용의 유효성과 현실적용 정도 등을 분석하였다. 경관계획보고서 분석은 법정계획으로 기본경관계획이 이미 수립된 자치단체 중 광역시, 시, 군별로 각 2곳을 선정하여 총 6개의 경관계획 보고서를 경관계획수립지침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관자원조사 및 분석단계는 가장 체계화된 틀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실제 경관계획 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있었다. 반면, 경관구조분석은 경관구조분석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과 기법 등의 구체적 방안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관기본구상단계는 기존의 현황조사 결과와 상위계획 등을 반영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지자체 아이엔티티의 확립이 필요하며, 경관계획수립지침에서도 보다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관기본계획단계는 지자체 간의 수준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서, 경관계획수립지침에서 계획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경관계획수립지침 상 경관자원조사 및 분석단계에서는 '경관자원조사 종합 및 과제도출'과 기본경관계획단계의 '조망점 계획'이 추가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