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 Packing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1초

저장실의 온습도, 제통수분함량 및 제통중량이 황색종 가공엽의 탄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Storage Room, Moisture Content and Packing Weight of Leaf on the Carbonization of Processed Flue-cured Leaf Tobacco)

  • 김상범;안동명;이윤환;김용규;복진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30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al condition in storage room, moisture content and packing weight of leaf on the carbonization of processed flue-cured leaf tobacco, and find out a regression model able to pre-estimate the degree of carbonization.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storage room on the carbonization was high,, while that of packing weight was relatively low, However, high moisture content and packing weight of leaf accelerated the carbonization under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 Thus the leaf tobacco under the condition of 4$0^{\circ}C$, 7$0^{\circ}C$ R.H. in storage room, 16% moisture content and 286 kg/box of packing weight could be carbonized within one month. The pH, total sugar content, lightness(L) and yellowness(b) of leaf were closely related to carbonization of leaf during storage. There were significant regression and yellowness of leaf. It is considered that the certification and/or pre-estimation of carbonization during storage may be possible by applying the regression equation.

  • PDF

보관조건에 따른 유통생약 지실의 품질변화 연구 (Change of Quality in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 이아영;천진미;장설;추병길;이혜원;김호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8-191
    • /
    • 2008
  •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has been used as the immature fruit of the trifoliate orange tre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nge of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depending on packing materials (vacuum packing, PP (polypropylene) packing, gunny sack packing), storage places and storage periods up to 12 months. The change of loss on drying content, content of poncirin were measured during the 12 months. As a result, the loss on drying content was decreased rapidly in gunny sack packing after storage of 12 months at room temperature. The content of poncirin was decreased generally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and its average loss percent was 38.8%.

음료의 포장디자인 표현방법이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과즙 음료 원재료의 표현방법 (사실적 표현 : 비사실적 표현)을 중심으로 - (Effects of Expression in Packing Designs of Drinks on Consumers' Preference for Brands - Focusing on expression of ingredients in juice (Realistic : Unrealistic) -)

  • 신해용;김덕용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69-78
    • /
    • 2005
  • 광고매체, 대형할인마트 등에서 소비자의 눈길을 끌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고 차별화 된 포장디자인을 통한 강력한 브랜드의 이미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유출하기 위해서 포장디자인의 중요성을 깨닫고 시각적인 측면에서 과실음료 포장디자인의 표현방법에 따른 소비자의 선호도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음료의 포장디자인에서 원재료를 사실적인 방법으로 표현하였을 경우 비사실적 표현방법보다 소비자가 느끼는 과즙 함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웰빙(Well-being)의 관심도와 원재료의 포장디자인에서 표현방법에 따른 소비자 브랜드 선호도에서는 웰빙(Well-being)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사실적 표현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음료의 용기재질로는 유리병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선호하는 오렌지 주스의 종류는 100%과즙함유로 나타났다. 따라서, 웰빙(Well-being)의 관심도와 음료의 원재료에 대한 표현방법은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즙의 함유량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질소치환포장 및 ${\gamma}-Oryzanol$ 첨가가 유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Gas Packing and ${\gamma}-Oryzanol$ Treatment on the Shelf Life of Yukwa(Korean Traditional Snack))

  • 박윤정;전향숙;김상숙;이종미;김규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17-322
    • /
    • 2000
  • 전통 유과의 저장성을 증진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써 Al증착필름 질소치환포장(AN포장군), PE필름 함기포장(PE포장군) 및 ${\gamma}-oryzanol$첨가 질소치환포장(ANA포장군)을 적용하여 $60^{\circ}C$에 20일 동안 저장하면서 유과의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과산화물가, 산가 및 공액이중결합지방산 함량의 경우, PE포장군과 AN포장군은 저장일수가 늘어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세 포장군 가운데 ANA포장군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hexanal 함량은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높았고, 색도에 있어서도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황색도, 적색도가 더 높았다. 유과의 색도 결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저장 중 수분함량은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약 3배 정도 높았다. 유과의 질소치환포장시 완전탈기할 경우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났고 형태를 유지할 경우 잔존 산소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포장지내 잔존 산소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유과의 경우 질소치환포장의 적용은 완전 탈기가 어려워 일반 유탕스낵에 비해 효과가 낮으며, 유과의 저장성 증진을 위해서는 항산화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변량 분산분석을 이용한 포장 재질에 따른 쌀의 신선도 분석 (Analysis of freshness of rice depending on packing materials using MANOVA)

  • 김성주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7호
    • /
    • pp.1421-142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포장 재질에 따라 쌀의 신선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적용해 보았다. 쌀의 신선도는 쌀의 수분 함량과 식미치로 측정하였다. 포장 재질은 일반 종이와 종이 뒷면에 숯을 코팅한 종이를 비교하였다. 쌀을 보관하는 장소를 블록으로 간주하였다. 쌀의 수분 함량과 식미치를 나타내는 이변량 관측값에 대하여 완전 확률화 블록 설계에 의한 다변량 분산분석을 적용해 본 결과 포장 재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쌀의 수분 함량과 식미치 각각을 단일변량 관측값으로 간주하고 분산분석을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쌀의 수분 함량에 대해서는 포장 재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식미치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 관측할 수 없었다.

생굴(Crassostrea gigas)의 선도 변화에 포장용기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ackaging Container on the Freshness of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 윤나영;안병규;인정진;한형구;이우진;서정화;정삼근;심길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3-77
    • /
    • 2022
  • The shelf life of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two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containers, polyethylene (P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as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pH, glycogen and soluble protein content, turbidity, and viable cell count. After 7 days of storage, the pH of the packing water in the PE container decreased to 5.88, while the pH in the PET container decreased to 6.03. In the PE container, the glycogen content of the oysters decreased by 0.85 g/100 g and the soluble protein content and turbidity of the packing seawater increased by 1,927.21 mg/100 g and 3.24 McF, respectively. In the PET container, the glycogen content of the oysters decreased by 0.96 g/100 g and the soluble protein content and turbidity of the packing seawater increased by 1,674.75 mg/100 g and 0.98 McF, respectively. The reaction rate constants (K) were as follows: glycogen content, -0.18 (PE) and -0.10 (PET); soluble protein content, 0.29 (PE) and 0.26 (PET); and turbidity, 0.41 (PE) and 0.06 (PE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T can be used as a new packaging container material for raw oysters because the quality is maintained and it offers more convenient handling during distribution.

Optimization of particle packing by analytical and computer simulation approaches

  • He, Huan;Stroeven, Piet;Stroeven, Martijn;Sluys, Lambertus Johannes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9권2호
    • /
    • pp.119-131
    • /
    • 2012
  • Optimum packing of aggregate is an important aspect of mixture design, since porosity may be reduced and strength improved. It may also cause a reduction in paste content and is thus of economic relevance too. Several mathematic packing models have been developed in the literature for optimization of mixture design. However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 will be used as the main tool for this purpose. A basic, simple theoretical model is used for approximate assessment of mixture optimization. Calculation and simulation will start from a bimodal mixture that is based on the mono-sized packing experiences. Tri-modal and multi-sized particle packing will then be discussed to find the optimum mixture.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at computer simulation is a good alternative for mixture design and optimization when appropriate particle shapes are selected. Although primarily focusing on aggregate, optimization of blends of Portland cement and mineral admixtures could basically be approached in a similar way.

굴(Crassostrea gigas)의 선도에 따른 pH, 글리코겐, 가용성단백질, 탁도와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of pH, Glycogen, Soluble Protein, and Turbidity between Freshness of Raw Oyster Crassostrea gigas)

  • 손광태;심길보;임치원;윤나영;서정화;정삼근;정우영;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95-500
    • /
    • 2014
  • We examined chemical changes in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packing water that were sold after storage at 5, 10, and $20^{\circ}C$. The pH of oysters stored at $5^{\circ}C$ dropped to 5.81 after 10 days of storage, while that of oysters at $10^{\circ}C$ and $20^{\circ}C$ dropped to 5.37 after 8 days and to 5.04 after 4 days, respectively. The glycogen content of oysters stored at $5^{\circ}C$ decreased from 718.89 to 421.85 mg/100g during storage, while that of oysters at $10^{\circ}C$ decreased to 351.49 mg/100 g after 4 days. The turbidity and soluble protein in packing water increased slightly. The viable cell count of oysters did not exceed 6 log CFU/g after 10 days of storage at $5^{\circ}C$, but that of oysters at $10^{\circ}C$ did so after 8 days. Additionally, the viable cell count of packing water was lower than that of oysters. We performe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ere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55.03%-57.24%)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 (42.76%-44.97%) described most variation.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included the pH of oysters and packing water, and the glycogen content of oysters. A Pearson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had a higher R value than that between other components. Freshness was evaluated using the pH of oysters and packing water, and glycogen. We found that soluble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pH and glycogen content.

반도체 패키지 봉지재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신뢰특성에 미치는 실리카 고충전 영향 (Effect of High Filler Loading on the Reliability of Epoxy Holding Compound for Microelectronic Packaging)

  • 정호용;문경식;최경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51-63
    • /
    • 1999
  • 무기 충전제를 고충전시킨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 반도체 패키지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Ouchiyama 등의 모델로부터 최대충전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고충전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최대충전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감소하였고, 흐름성이 개선되었다. 충전제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습 특성이 향상되었고 열팽창계수를 낮춤으로써 저응력화를 달성할 수 있었으나, 임계 충전제 함량 이상에서는 금속 리드프레임과의 접착강도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균형 있는 신뢰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충전제 함량을 적정하게 선택해야 하며, 충전량을 더욱 높여 고신뢰성을 얻기 위해서는 최적의 충전제 조합을 선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장기유통을 위한 포장방법이 포도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cking Materials on the Quality of Grape for Long-Term Market Circulation)

  • 남상영;김경미;강한철;황종택;김태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15-319
    • /
    • 1998
  • 유통을 위한 포도 보존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보존기간 연장에 효과적인 적정 포장재 제작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포도 캠벨얼리를 공시하여 스치로폴 상자, 마닐라상자 등 6처리를 두어 시험한 결과, 중량감소는 유통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많았으며, 처리 간에는 15일 보존시 스치로폴상자에 비해 스치로폴상자+(스치로폴접시 + BioPE 필름밀봉), 스티로폴상자 + (스치로폴접시 + 랩 밀봉)처리가 적었으며, 비정상과는 밀봉구에서 많았으나, 축과는 밀봉으로 인한 수분증발 억제로 인하여 오히려 감소하였다. 외관상 품질 및 식미는 보존기간이 경과할수록 저하되었으나, 5일 보존 시에는 바이오상자 처리 포도의 품질이 우수하였고, 경도는 스티로폴상자 + (스치로폴접시 + 바이오필름) 처리에서 감소 폭이 가장 적었으며, 성분변화는 보존기간 경과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밀봉처리에서 당도의 감소 폭이 컷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