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s Preferences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28초

컬러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기업 로고를 중심으로 (Research about the Influence of Color Communication on Brand Images - based on Industrial Logos)

  • 이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54-162
    • /
    • 2012
  • 컬러는 어떠한 다른 요소보다 앞선 단계에서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에 영향을 주며 형태보다 강하게 소비자에게 다가갈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컬러 마케팅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컬러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여 컬러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브랜드 이미지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효과적 연구를 위해 기존 연구 자료와 문헌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실증 조사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신뢰(credibility)와 호감을 갖는 브랜드는 컬러커뮤니케이션 보다는 여러 마케팅 활동으로 인한 신뢰 있는 기업의 브랜드를 선호한다고 볼 수 있다. 또, 선호하는 컬러의 차이는 분명하지만, 선호하는 브랜드 로고의 컬러와 자신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컬러와는 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브랜드 로고의 컬러 보다는 신뢰와 호감을 느껴 선호하는 브랜드가 있으며 이 또한 자신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컬러와는 독립적임을 알 수 있다. 소비자의 자아 이미지를 나타내는 컬러와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감성적 컬러와의 영향은 없으며, 선호하는 컬러가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감성적 컬러와의 영향관계는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 자아 이미지를 나타내는 컬러 보다는 표적 시장의 소비자 선호 컬러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서 컬러커뮤니케이션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활용하며, 기존의 컬러커뮤니케이션 연구와 달리 각 브랜드 로고의 컬러 감성을 통한 이미지와 소비자 선호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포장재와 저장온도에 따른 소포장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all Package Kimchi according to Packing Material and Storage Temperature)

  • 박혜영;안지아;서해정;최혜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3-73
    • /
    • 2011
  • Cabbage (Baechu) Kimchi in its truncated form was placed in four different packing materials, Ny/PE/LLDP, OPP/AL/PE, PP and PET, and quality changes were observed during storage. Changes in pH and total acidity showed an x-shaped cross-curve as pH decreased and total acidity increased during storage. PP tray showed the slowest change at $5^{\circ}C$ with time. The pH was initially 6.25, but decreased to 4.12~4.16 at 20 days, and total acidity showed a 4 to 4.8-fold increase after 20 days of storage compared to the initial value. During storage at $5^{\circ}C$, total bacterial count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 rapidly increased after 4 days. The total bacterial quantity decreased after a period of time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packaging material; OPP/AL/PE packaging showed the most dramatic decrease. Change in microbial count mostly followed a similar pattern to that of total acidity for all packaging materials. Changes in the color of Kimchi liquid, when examined by color index in $L{\cdot}b$/a form, rapidly decreased over time, similar to pH. Small Ny/PE/PP and OPP/AL/PE packages of Kimchi were examined for changes in free volume inside the packaging. After 13 days of storage at $5^{\circ}C$, the volume was 243 mL, but storage at $20^{\circ}C$ resulted in a volume of 372 mL, a more than 1.5-fold increase in free volume. There were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all package Kimchi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packaging material, and large changes in pH, total acidity, and microbial count were evident upon storage at $5^{\circ}C$ for 8 days, which was the optimum palatability period. Mostly, PP treatment showed the slowest quality changes upon storage at $5^{\circ}C$. However, due to small package Kimchi's fast consumption system, the appropriate choice of packaging material must consider the product's turnover ratio. Further, the varieties of small package Kimchi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different consumer preferences by offering Kimchi with different maturity levels. Further, since the leading consumer base ranges in age from the teens to thirti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s targeting such consumers is necessary.

온라인 추천시스템에서 고객 사용의도를 위한 시스템 투명성과 피드백의 영향 (Influences of Transparency and Feedback on Customer Intention to Reuse Online Recommender Systems)

  • ;이홍주;최재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9-299
    • /
    • 2013
  • 고객 취향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전자상거래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전자상거래 그러나 온라인 추천시스템으로서 알려진 소셜 필터링은 전자상거래에서 기술적 접근이 활발히 연구되어왔다. 온라인 추천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과 관련하여 적절한 제품을 필터링하여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의사결정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제품 탐색과 선택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다수 추천시스템의 선행연구들은 추천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집중해 왔으며 사용자 기반의 인터페이스나 사용자 관점의 사용방식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추천시스템의 추천 상황에 대한 시스템 투명성과 사용자의 추천에 대한 피드백을 통한 추천방식 개선을 통하여 본 연구는 사용자 관점의 추천시스템 활용에 대한 시스템 투명성과 피드백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에 따라, 시스템 투명성과 사용자 피드백 모두 추천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된 신뢰, 프로세스 가치, 인지된 즐거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된 신뢰, 프로세스 가치, 즐거움은 사용자가 추천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의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 정보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추천 시스템 (A Deep Learning Based Recommender System Using Visual Information)

  • 문현실;임진혁;김도연;조윤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3호
    • /
    • pp.27-44
    • /
    • 2020
  • 사용자의 정보 과부하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하는 추천 시스템은 개인의 선호를 추론하여 이에 부합하는 아이템을 필터링하여 제공한다. 추천 시스템 관련 기법 중 가장 성공적으로 알려져 있는 협업 필터링은 최근까지 다양한 성능 개선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협업 필터링의 성공에 기반하여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각 정보를 추천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는 VizNCS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비정형 데이터인 시각 정보에서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합성곱 신경망으로 부터 도출된 이미지 특성 정보를 추천 시스템에 반영하기 위하여 기존의 딥러닝 기반의 추천 시스템 중 다른 정보로 확장이 용이한 NCF 기법을 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VizNCS의 성능 비교 실험 결과 기본 NCF보다 더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카테고리별 성능 비교 실험을 통해 시각 정보에 영향을 받는 카테고리와 그렇지 않은 카테고리를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VizNCS는 시각정보를 개인화된 추천에 직접 활용함에 따라 시각 정보에 영향을 받는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 행태를 반영할 수 있어 추천 시스템 성능 향상에 기여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활용이 미미했던 이미지 데이터로 추천 시스템의 원천 데이터 영역을 확장함에 따라 다양한 원천 데이터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과 중국 20대 여성들의 의복소비가치가 럭셔리 패션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도시 패션마켓을 중심으로 (Consumption Values,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Post-teen Korean and Chinese Women)

  • 진유;황춘섭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2호
    • /
    • pp.107-118
    • /
    • 2014
  • Purpose - Due to the recent slowdown of growth in global luxury brands, which have been an engine of our domestic fashion market growth,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velop a global market for domestic high-priced fashion brands. In spite of the large scale of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with respect to fashion products, current trade concentrates on middle- and low-priced products rather than high-priced products. Diversification of th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n terms of the price levels of trade products is needed. An understanding of Chinese consumption valu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luxury fashion brands will be very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level of trade with regard to high-priced fashion products. Therefor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f South Korean and Chinese women in their 20s,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how those values affect thei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ample consisted of 283 Korean and 306 Chinese women in their 20s, residing in Seoul, Beijing, Guangzhou, and Shanghai.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3 to 15, 2014. A total of 589 completed response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Fivefactors for clothing consumption values were formulated: conspicuous/social value, fashionability value, personality expression value, hedonic value, and practical valu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except social valu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With regard to clothing consumption values, Chinese women attached more importance to fashionability value, personality expression value, hedonic value, and practical value than South Korean women. In addition, Chinese women's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were higher than South Korean women's. Second, in the case of South Korean women, social value, practical value, and fashionability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references for luxury fashion brands, while attractive/personality expression value and hedonic value had no influence. In contrast, in the case of Chinese women, social value and fashionability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reference for the luxury fashion brands. Third, in the case of South Korean women, social value and practical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s for luxury fashion brands. In contrast, in the case of Chinese women, social value, personality expression value, and fashionability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fashion brands. Conclusions -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clear that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re needed for luxury fashion brand markets i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at will help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uxury fashion brand marketing strategies in Korea and China.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중국 수입맥주 시장에 관한 연구 (Using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in the China Market of Imported Beer)

  • 고지화;오장건;고봉;장준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6호
    • /
    • pp.57-64
    • /
    • 2018
  • Purpose -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great changes have happened in the Chinese beer market. The scale of imported beer is increasing. However, the sales of native Chinese beer decrease in recent years. It is because more Chinese customers prefer beer with unique attributes than those with lower prices. In order to take an advantage in this market, practitioners should develop new products to satisfy Chinese customers. Scholars have also focused on beer characteristics to estimate consumers' behavior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beer industry. However, most studies are theoretically centered on marketing strategy management or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market. It is not enough for us to explain customers' consumption patterns. Some empirical research did attempt to find out beer attributes that may influence their choice behavior. However, they failed to verify what can increase customers' utility through a new product. More importantly, few evidence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imported beer which may associate with customers' preferen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ith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e found out four main imported beer attributes and the levels of each factor. A pre-test is constructed to check the problems in the questionnaire protocol. With the results of pre-test, the revised questionnaire is processed among customers who have purchased and had imported beer in China regions such as Beijing, Shanghai, Jiangsu, Guangdong and so on. The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is applied to analyze the useful data of 205. Results - Results indicate that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is the effective method to estimate customers' choice behavior. Results also indicate that country of origin, price, taste, and package affect customers' preference and the importances of imported beer attribut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 Country of origin, price, taste, and package are important for customers to make an imported beer choice decision. Marketers should consider these determinants and their importance to develop new products. Moreover,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should be the useful method for practitioners to develop a new product of imported beer for sustainable business in the competitive industry.

우리나라 성인여성(成人女性)의 브래지어 구매실태(購買實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urchashing Condition of Brassiere for Korean Women)

  • 김영숙;손희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3권3호
    • /
    • pp.27-3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r the basic data useful to the effective production and marketing of the brassiere befitting adult women's body shapes and preferences, and thereby, help them improve their apparel life. For this purpose, 563 Korean adult women aged between 20-59 were sampled to survey their practices of purchasing the brassieres and positively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s and thereupon, determine the correlations among them by age group. Data is processed by a computer(SAS)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2$-test, ANOVA, Duncan-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dult women tend to use such mass media as TV, magazines, catalogues and DM to decide for themselves which brassiere befits them most, and to check the brand-name(78.8%) or the sizes(93.4%), but more than 90% of them purchase their brassieres without trying on them. 2. The places of purchasing on which adult women rely most for their brassiere are department stores(32.6%), agencies(26.1%) and discount or pension shops(25.4%), while more than 90% of the sample women often visit bargain sale shops. The average number of brassieres possessed by our adult women is 5.7, and an adult women buys 2.6 brassiere costing 10-30 thousand wons a year on average and consumes a brassiere for the period from 6 months to 2 years. 3. It had been disclosed that the brand favored most by adult women is Venus(56.2%), followed by Vivien (17.6%), Wacoal(6.8%), Amie(2.5%) and Body Guard(2.3%).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popularity of brands are fitting condition(40.3%) and design(23.8%), which suggests that consumers appreciate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The most important reference affecting our women's choice of brassiere is size(64.4%), followed by design and functionality. The brassiere style favored most by adult women is a wire-type 3/4 cup brassiere made of thin material with sewing lines, while the most favorite color is white. In all, it has been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adult women's practices of buying their brassieres differ by age group, which may well suggest that brassiere production need to take such age-wise practices into consideration in setting up their brassiere produc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 PDF

고항산화능 소재 선발을 바탕으로 한 산수유와 황금을 이용한 약주 개발 (Development of Rice Wines Using Cornus officinalis and Scutellaria baicalensis by Antioxidant Activity Tests)

  • 이승주;김은혜;이형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1-30
    • /
    • 2008
  • 약주 개발을 위한 기능성 소재의 선발을 위해서 총 27종의 약초를 선별하여 45% 에탄올, 15% 에탄올, 물로 각각 추출하여 그 원액과 4단계의 농도에 대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여 항산화능이 전반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난 산수유와 황금이 약주 개발을 위한 주요 부재료로 선정되었다. 산수유를 주요 약재로 하는 약주의 개발은 과일향이 강하고 로제와인과 같은 붉은 색상을 내는 제품으로 개발하였고 황금을 사용하는 경우는 고 항산화능의 기능성 약주 컨셉에 맞게 한약재 향이 적당하고 일반적인 약주의 색상인 노란빛을 띠는 제품으로 개발되었다. 각각의 제품의 특성을 보강하기 위해 자초, 황정, 진피가 부재재로 첨가되었다. 개발 제품의 항산화능 분석 결과 시판 제품에 비해 황금주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산수유주는 기존 제품 중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인 제품과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종의 개발 제품에 대한 기호도 조사 결과 황금주의 경우 신맛과 한약재맛의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산수유주의 경우 산수유의 첨가량 조절을 통한 과일향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최종 제품 출시를 위해 기호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배합비를 조정하고 기존 시판 제품과의 비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며 개발된 제조기술은 현지의 기술 지도를 통하여 제품의 산업화 및 상품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중복유형모형(重複類型模型)과 화폐(貨幣)의 순수교환기능(純粹交換機能) (An Overlapping Types Model and the Pure Medium of Exchange Role of Fiat Money)

  • 박우규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4권2호
    • /
    • pp.189-203
    • /
    • 1992
  • 본고(本稿)에서는 화폐(貨幣)보다 더 우월(優越)한 가치저장기능(價値貯藏機能)을 가진 실물자산(實物資産)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화폐가 존재해 온 현상이 화폐경제(貨幣經濟)의 특징이라고 파악하였다. Wallace(1980)의 중복세대모형(重複世代模型)이 이러한 화폐경제의 특징을 설명하지 못하는 이유는 화폐존재의 근본원인인 "상품교환욕구(商品交換欲求)의 상호불일치(相互不一致)"가 모형(模型)에 내재(內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고(本稿)에서 제시한 중복유형모형(重複類型模型)에서는 이질적(異質的) 선호(選好)를 가진 소비자가 이질적(異質的) 재화(財貨)를 가지고 이질적(異質的) 장소(場所)에 태어나기 때문에 불확실성(不確實性), 거래비용(去來費用), 정보부족(情報不足) 등이 배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치저장기능이 다른 실물자산(實物資産)보다 열위(劣位)한 화폐가 순수교환기능(純粹交換機能)을 수행하면서 존재하게 된다. 중복유형모형(重複類型模型)에서의 화폐경제는 비화폐경제(非貨幣經濟)보다 항상 우월한 자원배분(資源配分)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파레토"최적성(最適性)을 보장해 주지는 않는다. 화폐는 경제구조(經濟構造)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존재하며, 따라서 경제구조(經濟構造)의 불완전성(不完全性)을 일부(一部)는 극복하게 해주지만 전부(全部)를 항상 극복하게 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본고(本稿)에서는 이러한 중복유형모형(重複類型模型)의 최적성(最適性) 특성(特性)이 향후 화폐경제의 제반문제(諸般問題)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 PDF

시판 소주 제품들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Liking of Commercial Sojues Marketed in Korea)

  • 지주희;이혜성;이진원;서동순;김희섭;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60-165
    • /
    • 2008
  • 묘사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시판소주 제품들의 관능적 특성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남녀 224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검사를 수행하여 브랜드 노출 효과가 주어졌을 때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소주의 묘사분석 결과, 향미 및 감각특성 13가지가 개발되었으며, 7가지 시판소주 제품 간의 모든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 브랜드 비노출 그룹의 경우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브랜드 노출그룹의 경우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고, 이들 중 서울지역에서 주로 판매되는 JIC와 DOC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판소주의 기호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맛에 의한 영향보다 브랜드 효과 등 비관능적 요소의 영향이 큰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