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s Recognition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5초

상품으로서의 온라인 게임 세계와 역할 놀이자로서의 온라인 게임 소비자의 행동특성 (The Online Game World as a Product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Online Game Consumers as Role Player)

  • 황상민;김지연;임정화
    • 감성과학
    • /
    • 제7권3호
    • /
    • pp.37-5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가장 대표적인 디지털 컨텐츠 제품으로 등장한 온라인 게임 중 물리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전혀 다른 형태의 세계로 발전해간 두 개의 제품, 리니지와 에버퀘스트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게임 인식과 소비 행위에 따라 게임의 성격이 어떻게 다르게 규정되고, 그리고 소비자의 행동 특성이 특정 제품의 성격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탐색하였다. 첫째로 각각의 게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게임의 매력과 만족을 주는 주된 활동, 친구관계, 캐릭터의 선택과 육성의 측면에서 비교해 본 결과, 리니지 게이머들은 리니지 세계를 현실과 유사한 가치와 의미를 지닌 새로운 생활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에버퀘스트 게이머들은 에버퀘스트 세계를 게임 자치로서의 기능에 초점을 둔 환타지 세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게임 인식에 따른 게임 소비 행동을 게임 속 공동체 활동과 연애와 같은 사적인 관계의 측면에서 비교해본 결과, 구체적인 게임 소비 행동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게임과 같은 사이버 공간의 가상의 디지털 이미지 또는 컨텐츠 제품들의 경우, 소비자가 지닌 경험이나 가치에 따라 제품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런 인식의 차이는 각각의 소비자들이 동일한 제품도 다르게 소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디지털 이미지 또는 컨텐츠 제품들의 가치와 의미는 소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한국 연예인 광고모델 속성이 중국 소비자 한국 패션브랜드 구매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Attributes of Korean Celebrity Advertising Models on Chinese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Fashion Brands)

  • 권유진;홍병숙;서시원;조미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77-488
    • /
    • 2009
  • As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such as drama, films, music, gained popularity in China, Korean fashion brands used Korean celebrities as their models to as a sales promotion strategy for Chinese consumers. With the point of view that the advertising model as a human capital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attributes of Korean celebrity advertising model, and to analyze effects on fashion brand recognition, preference,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With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 surveyed Shanghai consumers in their 20's to early 30's who had purchased Korean fashion items. The 291 respons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Korean celebrity advertising model attribute factors were divided into similarity, familiarity, popularity, attractiveness and trust. Second, the brand recognition was affected by similarity, familiarity and popularity factors, and the brand preference was affected by similarity, familiarity, popularity and attractiveness factors. Third, the trust of Korean fashion brands was affected by similarity, familiarity, attractiveness, trust, brand recognition and brand preference. Lastly,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Fashion brand was affected by similarity, familiarity, attractiveness, brand recognition, brand preference and brand trust.

캐릭터 활용 패션브랜드에 대한 소비자행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sumer's Behavior on the Fashion Brands Applying the Characters)

  • 유지헌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3-187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nsumer's behavior on the brands applying the characters by gender, age and residential district, and then to propose the future planning of brands applying the characters and distribution strategies. From Junior on middle school to forty-year old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areas were grouped to five for comparing the residential distinction.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with 25 questions. Nominal scale and 5-interval scale were used for analysis. The SPSS 12.0 was used to analyze the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average, frequency, t-test, ANOVA, and $x^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haracters influenced on remembering the brand's name regardless gender, agen and residential district. 2) When consumer bought the brand with character,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brand name recognition. 3) It would be desirable to use the one or two mixed methods which express the characters on the clothes. 4) When they distribute the character brands, they would supply more feminine characters in 3rd district, more manly one in 4th district and less quantities in the 3rd and 4th district for lowering inventory. The next must be follow to succeed the character using strategy of fashion brands. It is needed to segment the target for new character creation of specific generation, and to grasp the point of the trend which oriented by the target, and to reflect what they like and what they feel sympathy on character image and brand concept.

  • PDF

가정에서의 냉장고를 이용한 제빙 실태와 제빙 설비 개선에 대한 요구도 조사 (Preparation of Ice at Home and Consumer's Demand for Auto Icemaker in Refrigerator)

  • 이영미;장정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1-220
    • /
    • 199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bout preparation of ice at home and developing points which met consumer's demand that was focused on auto icemaker. According to purposive quota sampling method, residences in Seoul and Kyunggi-do area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by trained interviewer at August 199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66.3% of respondent usually prepared ice in ice-making container of refrigerator and used when they needed. 85% of them used ice in summer and seldomly used in other seasons. Boiling water with barley was major drinking water(45.6%), and broiled or purified tap water was used to make ice(38.6%) commonly. Numbers of ice-making container were two(66.0%). Above 50%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felt off-flavor in ice usually. After felt off-flavor, 54.7% of respondent threw away the ice, some of them used off-flavored ice after treatment to washing with water. 64.9%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origins of off-flavor was the flavor of refrigerator itself. The consumer's expectation of developing points were as follows. The most priority of developing points was to make ice quickly, the next was to develop auto ice maker and ice storage container, to make different size of ice. Less expected points were to make more clear ice and large volume of ice in one time. The recognition about auto ice maker was slightly low(35% of respondents), but 67% of them wanted to develop auto ice maker.

  • PDF

패션비즈니스에서 소비자의 에코라벨 인지도가 기업연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Effect of eco-label recognition on corporate associa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in fashion business)

  • 신상무;김민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3호
    • /
    • pp.523-536
    • /
    • 2015
  • Corporate association-which refers to consumers' beliefs, knowledge, perceptions, and evaluations of a corporation -can affect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Corporate association consists of corporate ability associa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sociation. Corporate ability association refers to a company's product quality, corporate innovation, productivity, consumer orientation, and after servi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sociation, which refers to the social perspective a company has of its responsibility to society, can affect corporate image and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Eco-labeling for protecting and sustaining the environment is one of the important green marketing strategies in the fashion business that can influence corporate association and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s' eco-label recognition on their corporate association and intentions to purchase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nsumers. The 263 usable questionnaires that were returne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eco-label recognition on corporate association (ability associ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association). Eco-label recognition and corporate association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Regarding the eco-friendly fashion product buying experi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corporate association and buying intention,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eco-label recognition.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웰다잉 인식, 건강 관련 삶의 질 및 노인시설 관련 거부감 (Recognition of Well-dy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Repulsion-related Nursing Home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김소영;이현주;김숙남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1-41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well-dy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repulsion-related nursing homes and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5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over 65 year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5 to November 30, 2023, and analyzed using a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WIN 26.0. Result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subjects' recognition of well-dying was 2.30, HRQoL was 0.84, and repulsion-related nursing home was 3.31 points. Recognition of well-dy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RQoL (r=.10, p=.024).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centered, well-dying education program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continuously through effectiveness verification.

중국 지역 대표 브랜드의 자산이 소비자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칭다오 맥주를 중심으로 (Effects of Brand Equit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China's Local Representative Brand -Focused on Tsingtao Beer)

  • 여명우;진엽청;배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79-38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지역 대표 브랜드 칭다오 맥주의 브랜드 자산인 브랜드 인지,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이 매개변수인 소비자 만족도를 기반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10월 21일부터 11월 3일까지 14일 동안에 중국에 칭다오 맥주를 먹은 경험이 있는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되었다. 응답자 답을 SPSS 25번전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칭다오 맥주의 브랜드 자산, 소비자 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3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칭다오 맥주의 브랜드 자산은 소비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이 미친 것이다. 그리고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충성도에 도 정(+)의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만족도는 칭다오 맥주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효과를 있다고 나타났다.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Consumer's Recognition on Naturally-Grown Forest Products)

  • 민경택;구자춘;김명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68-676
    • /
    • 2015
  • 이 논문은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여 수요측면에서 산림복합경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 가구 64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들이 산지재배 임산물을 구입하는 이유는 영양 효능과 안전성 때문이며, 같은 임산물이라도 밭 재배보다 품질이 우수하다고 응답하였다. 산지재배 임산물이 친환경 밭 재배 작물보다 선호되기는 하지만 자연산 인정 여부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비자들이 임산물 속성 가운데 중요시하는 요소는 품질과 효능으로 나타나 이를 강조하는 마케팅이 요구된다. 소득이 증가하면 신선도와 가격보다 자연산 여부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체험이 자연산 임산물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림복합경영의 활성화를 위해 자연산 인증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획득하고 체험 관광과 연계하는 6차산업화 추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학도서관에서 효율적인 조직경영을 위한 TQM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QM for Effective Organization Management to University Libraries)

  • 옥수봉;김경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65-289
    • /
    • 2002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이 급변하는 경쟁사회에서 조직의 전략적인 경영에서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을 적용시키는데 있어서의 이론적인 배경과 개념,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대학도서관에서의 TQM의 적용은 대학도서관이 급변하는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 방법과 새로운 실제적인 전략을 수행 있도록 인식시키는데 있다. 대학도서관에서 TQM을 가지고 적용 가능한 구조를 도출하고, 대학도서관에서 TQM을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대학도서관 조직 경영에서 TQM의 기본적인 요소인 조직 문화, 직무 만족, 이용자 만족의 변수를 가지고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서울지역 소비자들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in Seoul Area)

  • 최미희;윤수진;안영순;서갑종;박기환;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555-1564
    • /
    • 2010
  • 본 연구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서울지역 소비자들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를 조사한 것으로, 소비자 120명의 인터뷰 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조사결과,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은 응답자의 58.3%가 식품구매 시 표시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로는 유통기한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60.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소비자들이 식품을 구입할 때 식품의 안전성 여부에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표시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소비자의 60.0%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만족하는 이유로는 표시된 용어가 잘 이해되지 않음(30.6%), 표시된 내용이 충분하지 않음(25.8%) 등이 있었고, 식품표시 항목 중 가장 불만족하는 항목으로는 '식품첨가물 및 원재료 함량 표시(45.5%)' 였으며 그 다음으로 '제조연월일 및 유통기한 표시(20.8%)' 순이었다. 세부표시기준에 대한 이해도 및 선호도 조사에서 소비자들의 53.1%가 제조연월일과 유통기한이 모두 표시되지 않는 것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았으며(53.1%), 유통기한 표시로는 소비기한(소비자가 섭취 가능한 기한)에 대한 선호도(47.5%)가 가장 높았다. 소비자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표시에 대한 만족도는 43.3%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눈에 띄지 않아 확인하기 어렵고(37.5%) 표시에 제공되는 정보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33.4%)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90.0%가 방사선조사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방사선조사 식품의 표시제가 강화되는 만큼 방사선조사에 대한 인식도와 수용도 제고를 위한 소비자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