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disaster

검색결과 1,461건 처리시간 0.034초

지형요인에 의한 절토사면 붕괴사례 (A Case Study on Cut Slope Failure due to the Geomorphological Factor)

  • 김승현;최지용;이종현;이정엽;구호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61-1170
    • /
    • 2009
  • The Roads in Gangwon Province generally was made on purpose to use the military road. In case of these roads, tremendous dangerous cut slopes do exist and its road linear shape was badly designed. In order to make up for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has continuously established the new road or performed the public works such as the straight line of the curved road. Soksil 2 cut slope was made through the road improvement work. This has small surface failures and collapses. In spite of dry season, this slope are leaking lots of groundwater at the unbelievable point. So as to get curious phenomenon right, we performed a detailed field investigation, the geomorphological analysis, the stability analysis considering field characteristic and ultimately proposed the countermeasure to make sure stability of Sokil 2 cut slope.

  • PDF

건설재해 저감을 위한 발주자 중심의 안전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Contractor Centere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Reduce Construction Disaster)

  • Kia, Seongho;Park, Namkw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03-510
    • /
    • 2014
  • 최근 노량진 수몰사고, 방화대교 붕괴사고 등의 대규모 건설재해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이에 건설공사 현장에서 재해 저감을 위한 다양한 공사참여자의 역할 및 책임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 산업은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를 거치면서 발주자를 비롯한 설계자, 시공자 등 다수의 행위주체들이 참여하여 공사목적물을 만들어 가는 일련의 과정이다. 그러나 현행 안전관리의 주체는 근로자를 직접 고용하는 원도급자인 시공사에게만 책임이 집중되고 최상위에서 의사결정 권한을 행사하는 발주자의 안전활동 참여는 배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공사참여자를 대상으로 안전활동에 대한 인식수준 및 실태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를 통해 발주자 중심의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테일러스와 탄질 셰일에 의한 암반사면 붕괴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Rock-Slope Fall by Talus and Coal Shale)

  • 이정엽;구호본;김승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71-118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stability security in Talus and Coal Shale. The failure possibility of Talus area is high because of ground loss. The Coal Shale area is very week and large scale sliding possibility is high.

  • PDF

상부자연사면 내 침식성 붕괴에 대한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Corrosive Fall in Upper-Slope)

  • 이정엽;구호본;김승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038-104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corrosive fall in Upper-Slope. Upper-slope of this slope affect in fall of the cut-slope because of wide valley. Deposit which is piled up naturally is the sinkage occurs gradually in upper-slope.

  • PDF

건설현장 달비계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사례분석 연구 (Analysing Disaster Cases on Construction Sites to Prevent Falling Disaster of Hanging Scaffolding)

  • 임형철;이동헌;정성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6-73
    • /
    • 2019
  • 정부와 안전보건공단의 재해 절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덕분에 산업과 건설업 전반에 걸쳐 재해 사고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에서의 추락재해는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달비계에 의한 추락재해는 매년 발생빈도는 낮지만 발생 시 작업자의 사망과 직결한다는 측면에서 재해강도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국내 건설업에서의 달비계 작업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특히 소규모 건설현장에서의 달비계 작업자들은 안전에 대한 감독과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주체가 없다. 달비계 작업자들은 자신들이 직접 제작한 성능이 확인되지 않은 달비계를 가지고 불안전한 작업환경에 내몰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5년간 달비계에서 기인한 242건의 사고사례들을 분석하여 추락재해 발생 주요 원인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재해발생률이 높아서 작업대 안착 시, 안전난간을 넘어가는 과정, 몸의 불균형 등에서 사고가 많으며 설비개선 및 작업방법개선으로 해결이 요구된다. 또한, KOSHA Guide에서 제시하는 작업순서 상의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재해는 없었으며, 다만 작업 순서를 따르지 않아 안전대를 안전대 걸이용 로프에 미설치 및 미부착에 의한 사망으로 이르는 재해가 다수 발생된 것으로 파악되어 작업방법의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수직구명줄 및 안전대의 설치 및 착용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도출되었다.

위험절토사면의 안정성평가 및 상시계측시스템 설치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A Study on Stability Evaluation and Numerical Analysis for Installing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on Risky Road Cut Slope)

  • 최지용;이종현;이정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39-1146
    • /
    • 2009
  • Collapse of cut slope includes many uncertainties in view of the reason and time. So, in the past, risky cut slopes have been dealt after they've been collapsed through post-management measures. But recently, advanc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is required, and as a part of that RTMS(Real-Time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In this study, stability of risky cut slope was evaluated by site investigation. To grasp deformati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lope, numerical analysis based on FEM was performed and using results of that, specific standards for installation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were suggested.

  • PDF

토공사에서의 재해 방지를 위한 지능형 굴삭 시스템의 계획생성과정 (Intelligent excavating system planning process for disaster prevention in earth work)

  • 이승수;서종원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09-612
    • /
    • 2008
  • Since most of the industries have adopted automation system, the industrial disaster has been declined sharply. Also automation system has offered many benefits such as productivity and assured quality. However,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still relying on man power and because of this there are many victims occurring due to the industrial disaster. Construction industry has to overcome uncertainty of incidents and changing natural surroundings to actualize automation. Therefore, the efficient working plan and intelligent decision making process are needed to run more developed techniques and automations. Specially to decline the rate of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in basic construction in earth work, the automation via excavator is necessary and also the development of planning process system is too.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ask Planning System to prevent disaster which is used for planning automated earth work.

  • PDF

Mobile PC를 이용한 절토사면 현황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ntory of Cut-Slope using the Mobile PC)

  • 이종현;김승희;김승현;구호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813-820
    • /
    • 2008
  • We have developed inventory database program which is available in the mobile PC. The mobile PC is convenient in terms of portability, data input, modification, practicality of various program and data confirmation in site. By utilizing the inventory database program in mobile PC, we are able to complete database in site. Then, database is converted into the Hangul document and Excel worksheet. Also, based on the above procedur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inventory on cut-slope can be achieved.

  • PDF

Article - 환기.방재측면에서의 초장대.대심도 터널에 관한 고찰

  • 이항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54호
    • /
    • pp.41-55
    • /
    • 2011
  • The current railway projects under plan, design, or construction have been designed as 'very long and deep underground tunnel'.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the standards for preventing disaster in such conditions should be intensified in order to avoid repeating the same failure which happened in Daegu subway disaster, Although we consent to the opinion that nothing can compete with human being's life, it is very difficult to protect the life from all of potential disasters perfectly in railway fields because the excessive standards can result in excess construction cost, which can bring about cancelation of the project itself eventually. Therefore optimized disaster design standard is required to negotiate the conflict between economical cost and social tolerance limitation simultaneously.

  • PDF

재난과 관련된 지명에 투영된 방재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saster Recognition Based on Disaster-related Place Names)

  • 박경;김선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28
    • /
    • 2010
  • 재해 유형별로 관련된 재해 지명어를 도출하여 지도 및 문헌, 지명정보서비스 등 전체 6종의 자료에 나타난 재해 관련 지명을 확인하고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명을 통해 나타나는 재해 유형별 지명의 지역별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현재 급증하고 있는 재난에 대비한 방재대책 수립 및 방재영향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연재해와 방재 관련 지명을 대상으로 총 128개의 재해 유형별 재해 지명어를 먼저 추출하였고, 이후 이 검색어를 중심으로 해동지도, 1872군현도, 오만분지일지형도, 지명총람, 신구대조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 지명정보서비스 등 총 6종의 자료를 대상으로 재해 지명을 검색하여 DB화하였으며, 각 자료별로 지역별·재해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고,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