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Resource Management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31초

파워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한 누수탐지 모니터링 시뮬레이션 (Water Leakage Detection Monitoring Simulation using Power Spectrum Analysis)

  • 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8-54
    • /
    • 2013
  • IT융합기술의 발전에 따라 누수탐지를 위한 인프라스트럭처가 구축되면서, 파손된 관로의 위치 및 규모의 파악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상수도 시설의 누수로 인한 수자원의 고갈 때문에 효율적으로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파워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한 누수탐지 모니터링 시뮬레이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누수탐지 모니터링 시뮬레이션에서 반사파 파형을 측정한다. 수집된 반사파 파형으로부터 변화율을 계산한다. 그리고 고속 퓨리에 변환을 이용한 파워 스펙트럼 분석은 누수의 크기와 반사파 파형의 상관관계를 평가한다. 이를 시뮬레이션의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실시간 누수탐지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만족도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한강 하류부 흐름해석을 위한 수리학적 모형의 구축 (Establishment of Hydraulic Model for flow Analysis of the Lower Han River)

  • 김상호;김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485-50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강 하류부 및 임진강에서 하천구조물, 조위, 주요 지류 등으로 인해 복잡하게 형성되는 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수리학적 홍수추적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하천측량 자료를 모형에서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DWOPER-2K 모형을 개발하였다. 감조지역에서 이루어진 실측 조위자료와 최근의 하천측량성과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고 잠실수중보와 신곡수중보에서 발생하는 흐름을 효과적 모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천구간별 유량규모별로 조도계수를 최적화시켰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결과 한강 및 임진강 하류부에서 복잡하게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홍수예경보 정확도 향상, 하천관리 등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철에 의한 서울특별시 광역 지하수 유동 특성 (Regional Groundwater Flow Characteristics due to the Subway System in Seoul, Korea)

  • 신에스더;김형수;하규철;윤희성;이은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3호
    • /
    • pp.41-50
    • /
    • 2015
  • Hydrogeologic environment of the Mega City such as Seoul, suffers from rapid changes caused by urbanization,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ubway or buildings, and contaminant loading by diverse anthropogenic activities. Understanding the present condition of groundwater environment and water budget is necessary to prevent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and to prepare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urban environment. In this study, regional groundwater flow and water budget status of Seoul was analyzed using numerical simulation. Modeling result indicated that 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of Seoul generally followed the topography, but the significant decreases in groundwater level were observed around the subway network. Steady-state water balance analysis showed groundwater recharge by rainfall and leakage from the water supply network was about 550,495 m3/day. Surface water inflow and baseflow rate via Han River and major streams accounted for 799,689 m3/day and 1,103,906 m3/day, respectively. Groundwater usage was 60,945 m3/day, and the total groundwater leakage along the subway lines amounted to 114,746 m3/day. Modeling results revealed that the subway could decrease net groundwater baseflow by 40%. Our study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subway system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roundwater environment of Seoul.

GSIS를 이용한 교통계획과 교통량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GSIS for Transportation Planning and Analysis of Traffic Volume)

  • 최재화;박희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7-125
    • /
    • 1993
  • GSIS는 분석될 수 있고, 또 특별한 목적이나 응용을 위한 정보로 변환될 수 있는 공간적 참조 자료를 보유하는 시스템이다. GSIS의 핵심적인 특징은 자료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교통분야에 있어서 현재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실시간 시스템과 결합한 GSIS를 구축하는 것이다. 교통 GSIS에 대한 요구는 환경이나 자원분야의 응용을 위해 설계된 전통적인 GSIS와는 매우 다르다. 교통 GSIS는 교통량 예측, 포장관리에 대한 능력을 포함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지역적인 교통계획 모델은 실제 어떤 지역에 대한 인구, 고용, 수입, 가구수, 자동차 수요에 대한 목록을 정리하고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경계, 토지이용도, 도로망, 학교 동사무소의 위치와 인구 같은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들 자료는 교통량, 교통수요, 도로건설 시간을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 PDF

전자해도 이미지 정보의 WIPI 단말기 적용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for WIPI Terminal of ENC Image Information)

  • 안성환;정성훈;최홍석;임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7-70
    • /
    • 2005
  • 최근 해양레저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상 안전과 급변하는 기상환경에 따라 신속하고 체계적인 정보의 제공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해상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지리정보의 제공에 있어서 전자해도의 사용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 정보와 해도표현의 복잡한 처리 방식으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PDA 환경에서 구동하는 수준까지 진행되었고, 아직은 선박의 의무적인 항해 장비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상정보 등의 각종 해양 레저 정보와 전자해도의 이미지 정보를 효율적으로 모바일 휴대폰 단말기에 서비스하기 위하여 제한적인 단말기의 자원 관리와 캐슁 기법을 통한 신속한 정보의 제공, 이미지 변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빠른 검색을 위한 색인 관리를 담당하는 서버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목질 바이오매스의 활용에 대한 동향 분석 - 목질 바이오매스의 생산·공급, 그리고 활용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Trend of the Utilization of Woody Biomass - Production, supply, and practical use of woody biomass -)

  • 안병일;김철환;이지영;심성웅;조후승;이경선;이지영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4호
    • /
    • pp.32-42
    • /
    • 2012
  • Wood biomass including forest residues, waste wood, and construction residuals has been widely generated in Korea, but forest biomass from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Operation Project plays a big role in generating wood biomass. Unfortunately the promotion policy of woody energy organized by the Forest Service in Korea concentrates more on demand creation rather than on supply expansion.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insufficient wood resources effectively, it is greatly required to develop uses for maximizing their added value. In particular, more attention to the use of the second generation biomass has been paid in foreign countries because there is a threshold that the first generation biomass cannot produce enough biofuel without threatening food supplies and biodiversity. In Korea, wood pellets are regarded as the alternative clean fuels to oils and coals that emit green house gases into the atmosphere. However, using wood as pellet raw materials can not be an economic way because the value of wood disappears right after burning in the boiler in spite of its contribution to the decrease of carbon emission. Differently from wood pellets, kraft pulping process using woody biomass produces black liquor as a by-product which can be used to generate electricity, bioenergy and biochemicals through gasification. Thus, it can be more economical to make a torrefact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such as low-quality wood and agricultural leftovers as raw materials of pellets.

무선 센서 망에서 이동싱크 지원을 위한 지역 수정 기반 멀티캐스팅 기법 (Local Update-based Multicasting Scheme for Mobile Sink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정철;박호성;오승민;정주현;박수창;이의신;김상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호
    • /
    • pp.80-84
    • /
    • 2010
  • 한 소스로부터 다수의 싱크로의 데이터 멀티캐스팅은 통신 비용 절약 뿐 아니라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을 위해 이루어진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지금까지의 멀티캐스팅 위한 방안들은 대부분 하나의 소스와 다수의 고정적인 싱크들 사이의 최적화된 멀티캐스트 트리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전쟁 지역에서의 적군 감지 시스템, 재난지역 구조 시스템 등의 실질적인 응용들에서, 싱크는 자신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성을 가지고 센서 네트워크를 돌아다닐 것이다. 불행히도 싱크의 이동성은 전체 멀티캐스트 트리의 빈번한 재구성을 초래하고 이것은 제한된 배터리를 가진 센서들의 에너지 고갈을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역적인 멀티캐스트 트리의 재구성을 통해 다수의 이동 싱크를 지원하는 에너지 효율적인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방안이 기존 연구들 보다 에너지 자원 관리 측면에서 더 효과적임을 보인다.

글로벌 수자원 정보 시스템 통합 DB 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 (A Strategy on Integrated Data Bas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Glob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 권용현;이경도;이병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5-375
    • /
    • 2018
  • 세계 수자원 시장은 연평균 6.5%씩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 기준 1,038조원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으나, 기후변화의 가속화로 인해 가뭄 및 홍수피해가 증가하여 수자원 관리가 더욱 어려워져지고 있다. 급속도로 변화는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수자원 및 기후변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해외사업 진출 시에는 수자원 기초자료 수집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수문기상자료 제공과 함께 GIS정보, 댐 및 저수지 관련 자료, 인문사회 자료, 물관련 통계자료, 물관련 재해자료 등을 웹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수자원 정보 시스템(GWB, Global World Bank)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통합 DB를 구축하고 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집된 메타데이터 속성 및 데이터구조를 파악하고, 세부항목별 자료 포맷을 분석 후 GIS기반 관측소 정보와 자료를 매칭하여 최종적으로 시스템 컨텐츠별로 DB를 맵핑하였다. 강수량과 기상자료는 33개국의 관측소 6,531개소의 일/월/연단위 관측자료와 10,977격자의 격자분석자료를 구축하였다. 수문자료는 33개국의 수문관측소 2,242개의 월/연단위 유량관측자료와 10,977격자의 월/연단위 직접유출, 기저유출, 잠재증발산의 격자분석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강우와 기상자료는 기계 오작동, 자료 전송 오류 등으로 인한 결측치 및 이상치에 대해 자료품질분석을 통해 오자료에 대한 보정을 진행하였다. 해당자료는 MySQL를 활용하여 DB를 구축하였으며, GIS정보는 GeoServer를 활용하여 운영서버에 구축된 정보를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Web Browser로 표출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추후 전지구 수자원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해외사업지역의 댐이나 보 등의 구조물 설계, 수자원산업의 해외 진출시 데이터 수집의 한계점 및 시간단축을 해결할 수 있어 수자원 분야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드림스타트 사업 평가지표의 신뢰도와 변별력 측정 (An Analysis of Reliability and Discrimination Power on Evaluation Criteria of Dream Start Services)

  • 송미령;김정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10-217
    • /
    • 2019
  • 본 논문은 드림스타트 사업평가에 사용된 평가지표가 '평가분야 및 영역별 신뢰도가 있는지'와 '평가지표별 변별력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2018년 드림스타트 사업운영 평가를 받은 126개 시군구의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가영역별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기본구성, 통합사례관리, 서비스 운영의 평가지표에 대한 신뢰도가 .6 이상으로 하위 평가지표들이 상위 평가분야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는 최소기준을 충족하였다. 그러나 자원 개발 및 연계 분야는 신뢰도가 낮게 파악되었다. 평가영역별로 보면, 통합사례관리 분야에서 사례관리 과정에 대한 하위 평가지표의 신뢰도는 높았으나 기본구성 분야에서 사업운영 체계, 전담조직 및 인력을 확인하는 평가지표간의 신뢰도가 낮았고, 사례회의, 서비스 운영을 확인할 수 있는 하위 지표 간의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평가지표별 변별력을 측정한 결과, 28개 지표 중 18개 지표는 변별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10개 지표는 변별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개용수로의 자동수위측정 자료를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 공급량 산정 및 분석 (Assessing Irrigation Water Supply from Agricultural Reservoir Using Automatic Water Level Data of Irrigation Canal)

  • 방재홍;최진용;윤푸른;오창조;맹승진;배승종;장민원;장태일;박명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1호
    • /
    • pp.27-35
    • /
    • 2021
  •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is in charge of about 3,400 agricultural reservoirs out of 17,240 agricultural reservoirs, and automatic water level gauges in reservoirs and canals were installed to collect reservoir and canal water level data from 2010. In this study, 10-minute water level data of 173 reservoir irrigation canals from 2016 to 2018 are collected, and discharge during irrigation season was calculated using rating curves. For estimation of water supply,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was calculated with HOMWRS (Hydrological Operation Model for Water Resources System), and the summation of reservoir water storage decrease was calculated with daily reservoir storage data from RAWRIS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From the results, the total yearly amount of irrigation water supply showed less than 10% difference than the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The regional analysis revealed that reservoirs in Jeollanam-do and Chungcheongnam-do supply greater irrigation water than average. On the contrary, reservoirs in Gyeongsangnam-do and Chungcheongbuk-do supply less than ot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limited number of reservoirs compared to total agricultural reservoirs. Nevertheless, it can indicate irrigation water supply from agricultural reservoir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gricultural water use for irr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