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piracy of Silenc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영화(映畵) <현기증>(<眩氣症>)에 나타난 복식(服飾)과 색채(色彩)Image -스코티, 마들렌, 주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tura and Color Image of the Movie - focusing on Scottie, Madeleine, Judy -)

  • 박혜준;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5호
    • /
    • pp.1-1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ovie costume and color image through the movie"Vertigo". Firstly, looking into the clothing style and the color image of the characters expressed in the movie, Scottie who had the physical limitation had phobia of height, and he was expressed with the gray color to show his lethargic feeling from his physical limitation. And, after the death of Madeleine, it expressed his sense of loss and depressed mind through the blue color. The comparison of green and red color that was used to link the two characters in Madeleine and her substitution, Judy, mystified her, and the image of dreamy Madeleine has been inscribed to Scottie. In addition, the green color expressed her unstable mind. The clothing expression of Judy is expressed with her unstable mind through the detailed clothing, unlike Madeleine. And, the black color expressed the false identity of her and the Madeleine image of his own for Scottie. The type of clothing is expressed in separates suit and overcoat that are representative ones in 1950s, and black dress with the square neckline and others expressed the silence on conspiracy of Gavin and the false identity of her. Secondly, the color image expressed in the background in the movie as a special space for Scottie and Madeleine. The blue color image for Scottie was shown to be as space for death and the green image for Madeleine as a fantasy.

병원감염에서의 법적쟁점 (Legal issues on HAI)

  • 이수경;윤석찬
    • 의료법학
    • /
    • 제20권1호
    • /
    • pp.133-162
    • /
    • 2019
  • 소득이 늘어나고 의학수준이 높아지면서 전문 의료의 영역이 확대되었고, 의료기술 전반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높아지면서 비단 질병을 치료하는 경우 뿐 아니라 생활 속에서의 의료영역은 더욱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나 약물에 대한 남용이나 내성균의 등장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 들이 발생하는 것도 사실이다. 언론보도에서 접할 수 있는 병원에서의 감염사례 이외에도, 의료소송을 통하여 분쟁의 대상이 되는 병원감염의 사례는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병원감염에 의한 의료소송에 있어서 병원 자체의 관리나 감독의 소홀을 물어 손해발생의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있다면 피해자의 보호의 수준이 한층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병원감염과 관련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병원감염과 관련한 비교법적 검토로서 독일의 입법례는 진료계약을 민법상의 전형계약으로 정해 두고 있어 독일의 민법 규정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 법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프랑스의 특별법 '환자의 권리'를 향상시키고자 노력하였고 이에 따른 판례의 변화도 살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판례상의 과실추정칙의 이론은 원고의 입증의 부담을 줄여주려는 시도로서 배심원제 하에서 적용될 수 있으나 주의의무 위반의 증거제시가 어렵고 침묵의 모의를 통하여 감정단의 증언조차 확보가 어려울 때 참고해 볼 수 있는 이론이 아닌가 생각한다. 본 논문은 병원감염의 의료소송과 관련 될 수 있는 문제들을 비교법적 측면에서 검토하여 증명책임의 완화와 관련하여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 찾아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