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olidation settlement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24초

공유수면 매립지내 폐석회 매립시설의 추가성토에 따른 장기침하 거동 분석 (Analysis of the Long-term Settlement Behavior Due to the Additional Embankment on the Waste Lime Landfill in Public Waters Reclaimed Land)

  • 강정구;이연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9
    • /
    • 2022
  • 최근 환경적 문제로 공유수면 매립사업이 감소추세에 있으나 매립사업의 특성상 일률적인 지표로 환경성을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유수면 매립지의 토질역학적 침하거동 인자를 활용하여 폐석회 매립시설의 침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1차 압밀특성 인자로부터 폐석회는 압밀이 진행중인 점토특성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매립지 지층을 얇은 토목섬유 보강재로 보강된 층상구조로 가정하고, Westergaard 방법에 따른 응력증가량을 이용하여 침하량을 예측하였다. 압밀도에 따른 침하량을 예측한 결과 연약지반의 표층이 토목섬유로 보강된 경우 보강되지 않은 경우보다 응력증가량이 4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폐석회의 소성지수와 내부마찰각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점토와 폐석회의 압밀거동 특성을 비교하였다. 공유수면 매립지내 폐석회는 압밀이 진행중인 상태이므로 장기적으로 침하는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CGS 공법에 의한 지반침하억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lan for Settlement Restraint by CGS)

  • 천병식;여유현;김우종;황성식;김우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11-618
    • /
    • 2002
  • In this study the CGS as an injection method by low slump mortar was performed the pilot test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and the effectiveness of settlement restraint. From the results, there has been concluded the construction control standard such as an institutional diameter, space, depth, injection materials, Infection pressure etc. Also, there has been estimated the ground improvement effectiveness which has resulted from the field investigation and consolidation test etc. From the results, in the adjacent ground the CGS, generally, has been confirmed to in-crease ground strength to improve the consolidation characteristic obtained from the field investigation and consolidation test. Especially, the CGS which performed the larger stiffness to the ground has been concluded that the settlement restraint to the ground complicates the ground effect which Increases the bearing capacity and stress assignment. So, the CGS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as well as the settlement restraint of soft ground.

  • PDF

배수재 시공의 최적화를 위한 신뢰성 해석 (Reliability Analysis for Optimization of Construction Method of Drain Material)

  • 안현민;김문채;김대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87-96
    • /
    • 2014
  • 연약지반 개량공법을 적용한 내부가호안의 압밀침하 특성을 신뢰성 해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PVD 최적 타설 간격을 설정하였고 외곽호안은 압밀기간 변화에 따른 잔류침하에 대해 안정성을 확보하는지를 검토 하였다. 연약지반 압밀침하 특성에 대한 신뢰성 해석 결과에서 지반정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과다 적용된 배수재 타설 간격을 각 구견별로 구분하여 적용함으로써 지반정수의 불확실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하는 동시에 공사비 측면에서도 경제적인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형식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허용잔류 침하량을 초과할 확률이 10%이내에 해당하는 압밀기간을 적용하여 잔류침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서 목표 압밀도에 도달할 확률이 95%를 만족하는 배수재 간격으로 시공하고 잔류침하량의 발생량이 10cm를 초과하지 않은 범위일 때는 허용부등침하경사 이상의 부등침하가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암-해남 연약지반의 압밀도 변화에 따른 최종침하량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inal Consolidation Settlement by Degree of Consolidation in Soft Soils of Yeongam-Haenam Areas)

  • 김태완;남건;김재홍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9호
    • /
    • pp.25-33
    • /
    • 2023
  • 효과적인 연약지반 개량을 위해서는 연약지반 위에 구조물의 축조나 성토를 진행할 시 계측활동을 통하여 지반의 거동특성 및 안정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연약지반의 여러 현장에서 계측관리가 필요하고 그에 따른 침하량 예측방법을 적용할 때 최종침하량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이는 실제 지반의 거동과 초기 설계 계획과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설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계측자료를 토대로 장기침하량을 예측하는 방법인 쌍곡선법(Hyperbolic method)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인 전남 영암-해남 연약지반의 계측침하량을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의 최종 압밀성토가 종료된 시점부터 계측기간별 압밀도의 변화를 통하여 최종침하량을 예측하였으며, 압밀도의 변화에 따른 최종침하량을 유한요소해석과 현장계측값을 비교·분석하였다.

일정변형률(CRS) 시험에서의 압밀특성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at the Constant Rate of Strain(CRS) Test)

  • 이달원;김시중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491-499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molded clay by the oedometer and the constant rate of strain(CRS) consolidation tests. As the rate of strain increases, the settlement rapidly decreased. As the ratio of the sand in the specimen increases, its effect on the rate of strain to the settlement was reduced. As the effective stress increased, the void ratio decreased, while the rate of strain increased, it did not show a clear variation. The reduction of the void ratio was shown to be less than the oedometer test. The coefficient of vertical consolidation with effective stress showed very large variation around preconsolidation stress, but the rate of strain did not provide significant effects. The rate of strain with effective stress gradually decreased at all tests and mixed ratio of sand. The rate of strain at the constant rate of strain tests showed smaller than in the oedometer test.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at the constant rate of strain tests showed much more increase than in the oedometer test. The ratio of the vertical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by the odometer and the constant rate of strain tests showed a large difference according to various tests method and mixing ratio.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designing the soft ground improvement.

압축지수분포 특성이 압밀침하량 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mpression Index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s)

  • 김동휘;김민태;김규선;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2차
    • /
    • pp.76-80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that estimation methods for the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mpression index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s. When the variation of compression index is considerabl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mpression index is estimated using ordinary cokrig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s estimated by considering both the variation of compression index and void ratio (CASE-1)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an value of all soil properties (CASE-2). The settlement of CASE-1 shows the larger variation at short distances rather than that of CASE-2. Whereas the spatial settlement distribution of CASE-1 is affected b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mpression index and the thickness of consolidation layer, the distribution of CASE-2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thickness of consolidation layer.

  • PDF

수평배수재 배열의 진공압밀효과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Effects of Horizontal Drain Arrangement of Vacuum Consolidation)

  • 박병수;정길수;이종호;유남재
    • 산업기술연구
    • /
    • 제23권A호
    • /
    • pp.109-118
    • /
    • 2003
  • This paper is results of numerical works of investigating effects of horizontal drain arrangements on vacuum consolidation. Extensive numer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find the appropriate arrangements of horizontal drain of vacuum consolidation. Commercially available program of CRISP, well known to be good to modelling the behavior of clay material, was used Cam-clay model, based on the Critical State of Soil Mechanics(CSSM), was used to simulate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behavior of clay. Model test results carried out previously in the laboratory were compared with numerically estimated results and it was found that results about consolidational settlement with times were in good agreements. Based on this confirmation, parametric numeric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horizontal drain arrangements on vacuum consolidation with chang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pacings between drains for the given soil properties and vacuum. The effect of distance of drain located in top layer from the surface of the ground on the settlement due to vacuum was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appropriate arrangements of horizontal drain to maximize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due to vacuum were found. The mechanism of vacuum consolidation about the vacuum pressures being transferred to the effective stresses around drains was also evaluated.

  • PDF

레이저 거리측정 실험을 통한 모르타르의 소성침하량 산정 (Determination of Plastic Settlement of Mortar Using Non-contact Laser Measurement Device)

  • 곽효경;하수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A호
    • /
    • pp.549-564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모르타르의 소성침하 현상을 자중압밀 이론을 적용해 해석하였고 그 타당성을 레이저 거리측정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먼저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해 방해물이 없는 모르타르의 자중압밀 침하량을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를 토대로 모르타르의 압밀과 관련된 재료상수를 산정하였다. 다음으로 철근이 매입된 모르타르에 대한 침하실험을 수행하여 위치에 따른 침하량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배합 및 피복두께가 모르타르의 부등침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모르타르의 자중압밀 해석으로부터 산정된 침하량 분포를 실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모르타르의 소성침하 해석에 압밀이론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배합 및 부재 형상이 부등 소성침하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Mikasa 압밀이론에 의한 준설토지반의 압밀기간 산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Consolidation Period for Dredged Soil by Mikasa Theory)

  • 주재우;정규향;조진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299-306
    • /
    • 2003
  • 준설토지반은 보통 연약지반에 비해 상당히 큰 압밀침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압밀과정 중 층 두께의 변화가 크다. Mikasa는 층 두께의 변화를 고려하는 더욱 합리적인 압밀계산법을 연구 발표하였으나 아직 국내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00%, 120%, 133%, 150%의 함수비를 갖는 준설토 지반에 대해 Rowe cell 압밀시험기를 이용한 시험을 수행하여 준설토의 압밀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층 두께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와 층 두께의 변화를 고려하는 경우 각각 압밀계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실제 현장 예를 상정하여 압밀기간을 구하여 보았는데, 그 결과 압밀기간은 층 두께의 변화를 고려한 Mikasa 이론의 경우가 그렇지 않은 Terzaghi이론의 경우보다 짧게 산정되었다. 그리고, 더욱 정확한 결과를 주는 Mikasa이론이 실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압밀계산법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였다.

탄-점성 압밀이론에 의한 버티칼 드레인 타설지반의 잔류침하 예측 (I) -이론의 적용성 검증 (Prediction of Residual Settlement of Ground Improved by Vertical Drains Using the Elasto-Viscous Consolidation Model (I) - Verific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ory -)

  • 백원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69-7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정규압밀 및 과압밀상태의 구별없이 이차압밀 거동을 표현할 수 있는 3차원 탄-점성압밀이론에 의한 유한차분해석에 의해 버티칼 드레인으로 개량된 점성토 지반의 압밀지동을 해석하였다. 또한, 탄-접성압밀이론의 적용성에 대해 버티칼 드레인 타설지반의 모형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실험결과로부터, 과잉간극수압이 거의 소산된 상태에서의 버티칼 드레인 개량지반에서의 침하량은 1차원 조건에 비해 적으며, 이차압밀과정에서의 잔류침하량 및 침하속도는 1차원 조건보다 크게 나타남을 알았다. 마지막으로, 압밀과정의 거동에 대한 토질정수의 영향을 정규압밀 및 과압밀 상태에 대한 일련의 수치해석의 결과에 의해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