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solidated model of fire growth and smoke transport (CFAST)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Evaluation of Design Fire Curves for Gas Fires in a Compartment Using CFAST (CFAST를 이용한 구획실 가스화재의 디자인 화재곡선 평가)

  • Baek, Bitna;Oh, Chang Bo;Hwang, Cheol-H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2 no.4
    • /
    • pp.7-16
    • /
    • 2018
  •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design fire curves (DF) was evaluated for gas fires in a compartment by using CFAST. The CFAST simulations adopted the 2-stage DF suggested by the previous study and the Quadratic and Exponential DF suggested by Ingason. It was found by comparing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overall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design fire cures for the spatially-averaged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s of $O_2$ and $CO_2$ was, from the most reasonable to the most inaccurate, 2-stage DF > Quadratic DF > Exponential DF. The CFAST simulation could not predict for the difference in the spatially-averaged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s of $O_2$ and $CO_2$ at door and inner side locations in a compartment. The CFAST simulations also showed a limitation in the prediction of the spatially-averaged temperature at lower layer and the concentration of CO.

Evaluation of Modified Design Fire Curves for Liquid Pool Fires Using the FDS and CFAST (FDS와 CFAST를 이용한 액체 풀화재의 수정된 디자인 화재곡선 평가 연구)

  • Baek, Bitna;Oh, Chang Bo;Lee, Chi Yo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2 no.2
    • /
    • pp.7-16
    • /
    • 2018
  • In this study, the previous design fire curve for fire simulation was modified and re-suggested. Numerical simulations with the FDS and CFAST were performed for the n-heptane and n-octane pool fires in the ISO 9705 compartment to evaluate the prediction performances of the previous 1-stage and modified 2-stage design fire curves. The numeric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s of $O_2$ and $CO_2$. The FDS and CFAST simulations with the 2-stage design fire curve showed better prediction performance for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major species concentration than the simulations with 1-stage design fire curve. Especially, the simulations with the 2-stage design fire curve agreed with the experimental temperature more reasonably than the results with the 1-stage design fire curve. The FDS and CFAST simulations showed good prediction performance for the temperature in the upper layer of compartment and the results with the FDS and CFAST wer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the FDS and CFAST showed poor and different prediction performance for the temperature in the lower layer of compartment.

Effects on Resident of human body at fire outbreak for apartment building using CFAST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거주자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 Park, Joo-Won;Kwon, Jin-Suk;Choi, Jae-Hyo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9-189
    • /
    • 2011
  • 최근 공동주택은 보편적인 도시주거 유형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지만, 성장 위주의 경제 산업 정책에 따른 안전의식미약, 사회구조개편에 따른 급격한 증가, 생활환경 변화와 에너지 사용 증가 등 화재 유발인자의 다양화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다른 건물들과는 달리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유아, 노인, 신체장애자 등 다양한 인적 구성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화재 발생 건수에 비해 인명피해가 월등히 높은 편이다. 공동주택에서의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CFAST(Consolidated Model of Fire Growth and Smoke Transport)를 사용하여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물 화재 실험을 실시하고 공간화재에서의 화재 성상을 파악하여 화재 시 개구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개구부를 개방 했을 경우에 외부창문의 개폐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방의 온도 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개구부를 폐쇄 할 경우에는 발화지점인 거실의 온도 분포만 나타났다. Flashover현상과 Back Draft현상은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상관없이 외부 창문을 폐쇄 했을 경우에 나타났지만 특히 모든 개구부와 외부창문을 폐쇄 했을 경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각 실은 점화 후 4분경에 최고 온도를 보였으며 다른 방에 비해 발화지점인 거실의 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도에 의해서는 두 가지 영향이 일어날 수 있는데, 하나는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열응력이고, 다른 하나는 짧은 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이다. 만약 피부온도가 $45^{\circ}C$에 이르면 인체는 고통을 느끼게 되며, 이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깊은 피부조직까지 손상을 줄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사람에 대한 고통 유발 임계온도는 약 $200^{\circ}C$이며, 인체는 땀의 발산으로 온도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지만 이체가 장시간 열을 받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CFAST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플래쉬오버 현상으로 인해 화재가 성장하여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다가, 산소 부족으로 인해 화재가 성장하지 않고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재 시 온도, 산소, 이산화탄소를 고려하였을 때 약 3분 이내에 대피해야 온도 및 가스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