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ciousness of Marine Safet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해양안전 가상현실 체험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and Re-participation behavior of Marine Safety Virtual Reality Experience Education on the Consciousness of Marine Safety)

  • 김성덕;이용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37-444
    • /
    • 2021
  • 이 연구는 해양안전 가상현실 체험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상자의 해양안전의식과 재참여행동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주요 권역에 설치 운영된 해양안전 체험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상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300명(유효표본 2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유효 표본을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 및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안전 체험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해양안전의식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그 다음으로 가상현실체험교육효과를 인식하였으며, 방역활동도 같은 수준에서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해양안전 가상체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의 경우, 가상현실 사전교육, 가상현실 몰입, 가상현실 적용성 모두 안전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해양안전 가상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가상현실 사전교육, 가상현실 몰입은 참가자의 재참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수해운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A Study on the Level of the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 이상철;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202-121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bility level of the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F&M) high school students using F&M basic skills scal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level was analyzed with the Fisheries and Maritime ability scale, comparing each grade level & department.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literature and research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collecting preliminary data from 1,113 F&M high school freshman and sophomore students. This survey of 46 questions was used to measure for F&M ability scale-divided into 6 areas-marine vocational ethics, marine information capacity, marine elementary knowledge, marine safety management skill, management & utilization marine life and marine conscious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F&M high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marine vocational ethics, marine consciousness was higher, marine information capacity, marine elementary knowledge, marine safety management skill were middle, management & utilization marine life was lower. Second, in the grade level, 5 competencies(marine vocational ethics, marine information capacity, marine elementary knowledge, management & utilization life and marine consciousness) were not different, but 2 Grade was higher than 1 Grade in the marine safety management skill. Third, comparing F&M department, Maritime department were higher than fisheries in 5 competencies. But, fisheries department was higher than maritime in the management & utilization life competencies.

선박운항자 안전 의식에 기초한 선박통항 최소 이격거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um Safety Distance between Navigation Vessels based on Vessel Operator's Safety Consciousness)

  • 박영수;정재용;김종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1-406
    • /
    • 2010
  • 해상에서의 선박운항자는 선박을 운항 중 장애물 혹은 타선에 대하여 적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항행하고 있다. 다시 말해 시정 상태, 풍속, 조류 등에 따라 선박 전 후 거리, 좌 우현 정횡거리를 주관적인 안전 의식에 근거하여 이격하여 통항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통항 선박 간 최소 안전이격거리 개념을 1980년대 초 외국에서 조사된 자료로 사용하고 있고, 항계 내(제한수로)와 항계 밖의 통항 선박의 안전거리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선박 조종학적 안전거리는 선박 전후 거리보다는 선박 측면거리가 중심이며, 선박 종류에 따라 최소 안전이격거리가 상이하지만 고려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상황에 따른 선박운항자의 안전 의식을 고려한 적정 이격거리를 정량화하여 해상교통안전성 평가모델의 충돌 판정 영역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해상교통 혼잡도 모델 개발 및 상황 선박별 해상교통관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시정이 양호한 주간의 경우 선수전방 4.4 L, 선미후방 3.1 L, 정횡 2.6L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최소 안전이격거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정 및 주야간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다양하게 고려하였다.

세월호 사고 발생에 따른 여객선 승객의 안전의식 변화 (Change of safety consciousness of passengers onboard ship after the Sewol ferry incident)

  • 황광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9호
    • /
    • pp.1156-1162
    • /
    • 2014
  • 294명이 사망하고 10명이 실종된 세월호 사고와 같은 해상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세월호 사고 전후 국내 여객선 승객의 안전의식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제주연안여객터미널에서 2014년 2월과 5월에 두차례 수행되었고 설문에 대한 각 유효응답인원은 394명, 401명이었다. 세월호 사고 이후 승무원이 알려주는 경로를 따르겠다는 응답은 24.8% 낮아졌고, 승무원의 유도에 따라 피난을 가겠다는 응답도 18.5%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승무원에 대한 신뢰가 낮아졌다. 또한 세월호 사고 이후 여객선 일반 승객의 77.6%는 세월호 사고와 같은 재난을 당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지만, 약 60% 응답자는 승선 중 진행된 안전교육을 받지 않았고, 45%는 구명조끼 착용법을 모르며, 약 50%정도는 비상대피로를 확인하지 않으고, 60%는 구명벌, 구명보트의 위치를 파악하지 않는 모순을 보였다. 한편, 86.9%의 응답자가 현재 주로 동영상으로만 진행되는 안전교육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해양경찰공무원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Calling Consciousness of Korea Cost Guard Officers on Job Enthusiasm)

  • 김종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79-886
    • /
    • 2023
  • 해양경찰공무원은 직무를 수행하면서 조직의 목표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해양경찰공무원의 직업 소명의식과 직무열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발전에 대한 직업소명의식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해양경찰공무원 13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직업소명의식의 하위변인은 초월적 부름, 목적·의미 존재, 친사회적 지향 동기로 구성되었으며, 직무열의는 활력, 몰두, 헌신으로 구성하였다. 검증 결과 해양경찰공무원이 인식하는 직업소명의식 하위변인인 초월적 부름과 목적·의미 존재는 직무열의의 하위변인 활력, 헌신, 몰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소명의식 하위변인 친사회적 지향 동기는 직무열의 하위변인인 활력, 헌신, 몰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해양경찰 조직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수산·해운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연안어업 현장 어민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he Coastal Fisherman's Awareness for the Fisheries and Maritime Job Skills)

  • 이상철;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546-555
    • /
    • 2015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oastal Fisherman's awareness for the Fisheries and Maritime Job Skills.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defined as the abilities that include the essential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experiences required for the workforce on the fisheries and maritime job condition. This research collected preliminary data from 65 coastal fishermen.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content valid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6 elements in coastal fisheries. Second,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consisted of basic skills, marine vocational ethics, marine information capacity, marine elementary knowledge, marine safety management skill and marine consciousness. Third, CVR proves that the value analyzed in the study was validation. In consequence, the study suggested that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work environment.

국내 여객선 승객의 선박안전 의식조사 (Koreans' consciousness survey on the onboard safety of domestic passenger ship)

  • 황광일;구재혁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495-501
    • /
    • 2014
  • 국내외 여객선, 크루즈선의 이용자는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플로팅건축물 등 새로운 해상주거활동공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년간 매년 평균 15건 이상의 선박사고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여객선 승선객의 재난대응능력과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국내 여객선 이용자의 안전의식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또한 국내 기준에 맞는 피난 시뮬레이션의 기초자료가 될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승선생활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승선객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여객선의 안전성에 대한 일반 승선객의 신뢰도는 32.3%로 낮게 나타났다. 선내에서 진행된 안전교육에 대해서는 불과 14.6%만이 인지하였다고 응답하였고, 배의 피난경로 확인(42.2%)과 구명정 위치 확인(40.9%) 비율도 높지 않게 나타났다. 안전한 피난 기준은 73.3%가 선내 구조에 익숙한 승조원의 지시에 따라 피난활동을 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직업기초능력 척도의 타당화 (The Validation of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 이상철;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15-124
    • /
    • 2015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validate the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defined as the abilities that include the essential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experiences required for the workforce on the fisheries and maritime job condition. This research collected preliminary data from 1,113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6 elements. Second,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consisted of marine vocational ethics, marine information capacity, marine elementary knowlegde, marine safety management skill, management & utilization of marine life and marine consciousness. Third, Cronbach-${\alpha}$ proves that the scale developed in the study is reliable. In conseq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reconceptualize fisheries & maritime and apply the scale to measure students in high school settings.

소형어선의 해양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안 (Reduction plan of marine casualty for small fishing vessels)

  • 박태건;김석재;추영수;박태선;류경진;이유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2호
    • /
    • pp.173-180
    • /
    • 2018
  • Marine casualties of small fishing vessels (SFV) of less than 20 tons are frequent in Korea.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 and then prepared reduction plan using the marine casualty statistics of fishing vessels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2012 to 2016 by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to reduce the marine casualties of SFV.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ype of whole vessels occurring marine casualty, fishing vessels accounted for an average 68.0 %; moreover, except for 2014 when M/V SEWOL ferry capsizing occurred, the rate of death and missing due to marine casualties occurred from 68.3 % to 91.2 % in fishing vessels, and an average 79.5 % was found to be urgent need of a measure. Marine casualties occurrence depending on the gross tonnage of fishing vessel was found that the most occurred at less than 5 tons, followed by the order of 5 to 10 tons or less. However, crews who boarded on SFV do not have any training program for them, except for the fishing safety training of fisher who carry out fishing for shipowners and crew of the coastal and offshore fishing vessel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regulations for fishing vessels in the Fisheries Cooperative Associ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training program so as to improve the preventive action and then emergency response including the fishing safety compliance with each fishery, safe navigation, machinery insp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Also, an SFV of less than 5 tons of 56,000 vessels is boarded by unqualified fishers. It would also be possible to consider subdividing small boat operator's certificate to enhance their qualifications. It is expected that marine casualties of SFV will be reduced if active efforts are made to improv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fisher and shipowners as well as the reorganization of fishing safety training and the small boat operator's certificate system.

선박조종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해상교통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ine Traffic Risk Assessment by using Ship Handling Simulator)

  • 박영수;김종성;김철승;정재용;이형기;정은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8-144
    • /
    • 2013
  • 해상에서는 선박 운항과 관련하여 크고 작은 해양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양사고는 소중한 인명의 사상과 재산상의 손실뿐만 아니라 심각한 해양환경 오염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그리고 해상물동량 증가 및 교통 환경의 복잡화에 따른 해양사고 발생 개연성 및 사고로 인하여 해양오염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해상에서의 해상교통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대상해역에서의 해상교통환경과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 및 위험도 정보를 제공하고, 해상교통환경 평가를 통한 해역 위험도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 개발이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운항자의 위험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운항 조건에서 선박운항을 재현할 수 있는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해상교통 평가의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주관적 위험도의 측정이 통항선박의 해상교통 평가의 유효성을 대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산분석법을 이용하여 선박운항자의 특성과 선박간 거리, 속력, 조우형태와 같은 각 요소들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소들 간의 위험도 차이 정도를 다중비교를 통하여 분석하여 위험도 차이를 통계적 측면에서 수치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