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scious Sedation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arget Controlled Conscious Sedation with Propofol and Remifentanil for the Extraction of Impacted Wisdom Teeth (매복지치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CI) 의식하 진정)

  • Bang, Bo-Young;Shin, Teo-Jeon;Seo, Kwang-Suk;Kim,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10 no.2
    • /
    • pp.159-165
    • /
    • 2010
  • 배경: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arget controlled infusion) 의식하 정주진정법의 적절한 주입농도를 제시하고 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가 예정된 미국마취학회 신체 등급 분류 1, 2에 속하는 15-65세, 142명(여 83명, 남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소급 연구하였다. 환자는 수술 전 목표조절농도주입법을 이용한 의식하 진정법 사용에 관한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정맥내 삽관을 시행하고 수액을 공급을 시작하고, 4-5 L/min의 산소를 비관을 통해서 공급하였다. Propofol과 remifentanil의 초기 목표 혈중농도는 각각 $0.5\;{\mu}g/ml$와 1.0 ng/ml로 정하였다. 수술 중, 환자의 불안 통증 정도에 따라 목표농도를 조절하였으며 최저 농도와 최대 농도, 평균 농도, 주입된 총 용량을 기록하였다. 또한 수축기혈압과 맥박 수, 산소포화도, 호기 말 이산화탄소량을 수술 시작 전, 수술 중 5분 간격으로 확인하고 기록하였다. 모든 측정치는 평균 $\pm$ 표준편차나 환자의 수, 초기 측정치에서의 백분율 편차로 표시하였다. 결과: 수술 동안의 목표 혈중농도의 평균은 propofol은 $0.54{\pm}0.11\;{\mu}g/ml$이고, remifentanil은 $1.11{\pm}0.30\;ng/ml$였다. 수술 중 조절된 최대농도는 propofol은 $0.6{\pm}0.23\;{\mu}g/ml$이고, remifentanil은 $1.3{\pm}0.63\;ng/ml$였다. 이는 의식하 진정에 해당되는 범의의 농도라고 할 수 있겠다. 진정동안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은 유지 되었으며 산소 포화도는 4-5 L/min 의 산소 보충 하에 98%이상으로 유지되었다. 수축기 혈압과 맥박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정상변위범위(${\pm}20%$)내에서 유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목표조절 농도주입 의식하 진정에서 사용된 농도(propofol $0.5\;{\mu}g/ml$, remifentanil 1.0 ng/ml)는 안전하게 의식하 진정을 가능한 것을 보여준다. 이는 치과 치료 시 목표조절농도 주입의식하 진정법에서 적절한 목표농도를 제시한다.

The Role of Colonoscopy in Children with Hematochezia (소아 선혈변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의 역할)

  • We, Ju-Hee;Park, Hyun-Suk;Park, Jae-Ho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v.14 no.2
    • /
    • pp.155-16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ole of colonoscopy in children with hematochezi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77 children who underwent colonoscopy because of hematochezia between January, 2003 and July, 2010.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0{\pm}4.4$ (7 days~17.8 years) year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2.2:1. The duration between the 1st episode of hematochezia and colonoscopy was $4.9{\pm}12.1$ months. Characteristics of hematochezia included red stool (65.1%), blood on wipe (12.8%), bloody toilet (11.9%), and blood dripping (10.2%). The most proximal region of colonoscopic approach was terminal ileum (84.5%), cecum (9.5%), hepatic flexure (2.8%), and splenic flexure (3.2%). Eighty five patients (30.6%) had no specific abnormal findings. Major causes of hematochezia were polyp (26.4%), food protein induced proctocolitis (6.9%), infectious colitis (5.4%), lymphofolliculitis (5.7%), non specific colitis (5.7%), and vascular ectasia (5.1%). The hemorrhagic sites included the rectum (24.0%), rectosigmoid junction (18.1%), sigmoid colon (13.5%), ascending colon (14.2%), transverse colon (11.3%), descending colon (7.8%), cecum (8.1%), and terminal ileum (3.1%). The recurrence rate of hematochezia after colonoscopy was 19.1%. Colonoscopy was performed in 262 patients (94.6%) with conscious sedation. Endoscopic hemostasis was performed in 5 patients. Complications of colonoscopy or sedation were not found. Conclusion: The causes and lesional localization of pediatric hematochezia were diverse. Colonoscopy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matochezia in children. Total colonoscopy is recommended to detect the cause of hematochez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