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ctivis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Engagement in Virtual Library Services as Learning Support Systems from the Perspectives of Post-Graduate Students: A Case Study-Graduate Students: A Case Study

  • Alenzuela, Reysa;Kamilova, Yelizavet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1호
    • /
    • pp.45-64
    • /
    • 2018
  • The global information economy is transforming the way people connect with each other, learn new things, and contribute to the knowledge society. With the online platform, library services have also expanded beyond face to face interaction. Although studies of virtual reference services have been made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 case study discussing various forms of online reference engagement in Kazakhstan has not been written. While most of the theories on connectivism emphasize the context of instruction, the researchers of this paper discussed the tenets as they relate to online engagement. Applying the theory of connectivism, this paper explores through a mixed method the use of various online platforms to enhance engagement connecting library users to information. Findings revealed that differences in patterns of interactions as to platforms, types of queries, and users reveal that students, faculty, and other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served by the library have various preferences for communication. The case study further showed that respondents have not maximized the use of VLS but interest in using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ervices is clear. Finding connections between sources of information, creating useful information patterns, is essential in learning. Amplifying awareness on the use of VLS giving emphasis to the unique features of each service is useful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see how this platform facilitates learning.

e-Friendly Personalized Learning

  • Caytiles, Ronnie D.;Kim, Hye-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4권2호
    • /
    • pp.12-16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learning framework that fits the digital age - an e-Friendly PLE. The learning framework is based on the theory of connectivism which asserts that knowledge and the learning of knowledge is distributive and is not located in any given place but rather consists of the network of connections formed from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a knowing community, thus, the newly empowered learner is thinking and interacting in new ways. The framework's approach to learning is based on conversation and interaction, on sharing, creation and participation, on learning not as a separate activity, but rather as embedded in meaningful activities such as games or workflows. It sees learning as an active, personal inquiry, interpretation, and construction of meaning from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one's actual environment.

커넥티비즘과 SW 교육의 새로운 방향 (Connectivism and New Direction of SW Education)

  • 김동만;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1호
    • /
    • pp.103-104
    • /
    • 2018
  • 이 연구는 디지털 네트워크 세상으로 인한 새로운 학습이론인 커넥티비즘을 알아보고 SW 교육이 나가야할 방향을 알아보았다. 커넥티비즘에서 학습은 지식이나 정보를 연결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학습자가 기존에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끊임없이 연결하거나 단절시키는 과정이 반복된다고 말한다. 커넥티비즘에 따른 SW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면, 1)SW 학습 목표는 지식의 연결과정으로 다양성과 가변성을 내포하여 설정하고, 2)현재 정보 교과서 개발 체재의 변화와, 3)협업과 네트워킹이 강조되는 도구를 활용한 SW 교육 활동을 지향하며, 4)교육 비용 절감을 위한 적시학습(just-in-time learning) 지향 및 5)SW 교육 목적에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한 연결 지식 배양 역량을 추가하고, 6)문제 해결학습 보다는 문제발견학습을 중시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 PDF

3D 프린팅 활용 교육 프레임워크 제안 및 적용의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about the Activity Framework for 3D Printing in Education and Implementation)

  • 소효정;이지향;계보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51-462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에서 도입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신기술인 3D 프린팅 활용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크게 3D 프린팅 활용을 위한 학습활동 프레임워크 제안과 3D 프린팅 활용 교육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두 단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3D 프린팅 활용 학습활동 프레임워크'는 '문제 해결과정의 복잡성'과 '협동적 상호작용'을 두 축으로 하여, 1단계는 재현을 통한 제작, 2단계는 상상 표현의 수단, 3단계는 근접한 문제 해결, 4단계는 확장된 문제 해결의 네 단계로 활동을 구분하였다. 두 번째 연구목적인 학교현장에서의 사례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학교과에 3D 프린팅 활동을 접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1단계 재현을 통한 제작'에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형의 형태와 부피를 학습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학습자들이 전반적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보였으며 학습경험의 질 및 만족감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D 프린터 및 CAD 프로그램의 사용성에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3D 프린팅 활동 설계를 가이드할 수 있는 거시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단순 흥미를 넘어서 교과연계성을 가지는 3D 프린팅 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텍스트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의 이해와 과학교육에서의 활용에 대한 논의 (Understanding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extual Data and Discussion for Its Application in Science Education)

  • 조헌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07-319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텍스트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해 관심과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과학교육적 측면에서의 활용을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의 주요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그 한계를 지적하며 이를 토대로 과학교육의 실행과 연구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은 대체로 인코더와 디코더로 이뤄진 트랜스포머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인간의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학습과 보상 모델에 대한 최적화, 문맥에 대한 이해 등을 통해 놀라운 발전을 이루고 있다. 특히, 다양한 사용자의 질문이나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과 이를 바탕으로 한 글쓰기, 요약, 제시어 추출, 평가와 피드백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수자가 제시하는 예를 토대로 주어진 응답을 평가하거나 질문과 적절한 답변을 생성하는 등 학습자에 대한 진단과 실질적 교육내용의 구성 등 많은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생성형 인공지능이 가지고 있는 한계로 인해 정확한 사실이나 지식에 대한 잘못된 전달, 과도한 확신으로 인한 편향, 사용자의 태도나 감정 등에 미칠 영향의 불확실성 등에 대한 문제 등에 대해 해가 없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응답은 많은 사람들의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확률적 접근이므로 매우 거리가 멀거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통찰적 사고나 혁신적 사고를 제한할 우려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과학교수학습을 위해 인공지능의 긍정적 활용을 위한 여러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