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cted transportation system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1초

BYOD를 활용한 스마트헬스 환경에서 안전한 원격의료 시스템 (A Secure Telemedicaine System in Smart Health Environment using BYOD)

  • 조영복;우성희;이상호;박종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473-2480
    • /
    • 2015
  • 원격의료는 사용자가 시간적이나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어디서나 PC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지속적으로 건강 관련정보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원격지 병원에서 환자 의료 데이터를 암호화 하지 않고 전송하는 경우 환자는 심각한 장애를 받을 수 있고 BYOD를 활용해 개인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 된 데이터가 송수신됨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장과 데이터 보안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BYOD를 활용해 개인건강정보 데이터의 안전성은 제공하기 위해 서명방식과 개인키 방식의 암호화를 제공한다. 스마트헬스 환경의 보안성 문제로 대두되는 재전송 공격과 중간자 공격에 대비해 타임스탬프와 서명방식을 사용하였고 암호화를 제공하면서도 통신오버헤드가 평균 1.499mJ와 1.212mJ로 낮았으며 위급상황에서도 약 59%로 빠르게 응답하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였다.

반도체 공정시스템 개선을 위한 레이아웃 비교 연구 (A Layout Comparison Study for Improving Semiconductor Fab System)

  • 서정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074-1081
    • /
    • 2009
  • 반도체 공정시스템의 레이아웃은 대규모 자본 투자의 필요성과 제조 공정의 복잡성의 증가와 함께 그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반도체 공정시스템은 같은 유형의 장비가 동일한 bay에 배치되는 bay 타입의 레이아웃 형태를 취하고 있다. Bay 타입 레이아웃은 유연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물류 흐름의 제어 측면에서는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bay 타입 레이아웃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bay 타입의 유연성은 유지하되 conter spine이 없고 bay를 통합한 형태의 새로운 반도체 레이아웃 개념인 room 타입에 대해서 비교,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room 타입 레이아웃의 형태를 제시하고 이를 기존의 레이아웃과 반송필요 횟수와 시간, foot-print, 경유 stocker, 그리고 물류흐름 시간 등의 성과척도를 비교하여 room 타입 레이아웃의 우수성을 보인다.

전동 하이브리드 무인 드론의 동력 계통 최적화 (Power System Optimization for Electric Hybrid Unmanned Drone)

  • 박정환;류희경;이학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00-308
    • /
    • 2019
  • 드론이 농업 및 산업 운송 분야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큰 탑재 하중과 긴 운용시간이 필요하다. 현재의 배터리 기술로는 탑재 하중과 체공 시간을 늘리는 데에 한계가 있고, 특히 현장에서 지속적인 운용이 필요할 때에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환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연기관과 발전기, 그리고 배터리와 전기모터가 결합된 복합적인 추진기관을 사용하는 드론의 동력시스템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운반과 운용의 제약을 고려하여 이륙중량 200kg 급의 기체를 선정하였다. 내연기관과 직접 연결된 2개의 주 로터가 기체 중량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는 발전기의 전력을 사용하는 4개의 모터가 자세제어를 담당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드론의 에너지 흐름을 파악하여, 기존의 상용품 중 최적의 모터와 프로펠러를 선정하는 기법을 제시하고, 내연기관의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의 운용 점과 기어비를 도출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도축장 출하차량 이동의 사회연결망 특성 분석 (Properties of a Social Network Topology of Livestock Movements to Slaughterhouse in Korea)

  • 박혁;배선학;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78-285
    • /
    • 2016
  •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hown the association between transportation of live animals and the potential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 between premises. This finding was also observed in the 2014-2015 foot-and-mouth disease (FMD) outbreak in Korea. Furthermore, slaughterhouses played a key role in the global spread of the FMD virus during the epidemic. In this context, in-depth knowledge of the structure of direct and indirect contact between slaughterhouses is paramount for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FMD transmission. But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of vehicle movements to slaughterhouses in Korea remains unclear. He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gure a social network topology of vehicle movements between slaughterhous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hey are potentially connected, and to explore whether FMD outbreaks can be explained by the network properties constructed in the study. We created five monthly directed networks based on the frequency and chronology of on- and off-slaughterhouse vehicle movements. For the monthly network, a node represented a slaughterhouse, and an edge (or link) denoted vehicle movement between two slaughterhouses. Movement data were retrieved from the national Korean Animal Health Integrated System (KAHIS) database, which tracks the routes of individual vehicle movements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lectronic registration of livestock movements has been a mandatory requirement since 2013 to ensure traceability of such movements. For each of the five studied networks, the network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by small-world properties, with a short mean distance, a high clustering coefficient, and a short diameter. In addition, a strongly connected component was observed in each of the created networks, and this giant component included 94.4% to 100% of all network nodes. The characteristic hub-and-spoke type of structure was not identified. Such a structural vulnerability in the network suggests that once an infectious disease (such as FMD) is introduced in a random slaughterhouse within the cohesive component, it can spread to every other slaughterhouse in the component. From an epidemiological perspective, for disease management, empirically derived small-world networks could inform decision-makers on the higher potential for a large FMD epidemic within the livestock industry, and could provide insights into the rapid-transmission dynamics of the disease across long distances, despite a standstill of animal movements during the epidemic, given a single incursion of infection in any slaughterhouse in the country.

해상교량의 풍하중을 고려한 제한 속도 도출 방안 (A Study on Variable Speed Limit Considering Wind Resistance on Off-Shore Bridge)

  • 이선하;강희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5-87
    • /
    • 2004
  • 우리나라 해안지역은 강풍의 빈도가 높고 세기도 크지만 아직까지 바람을 고려한 적정속도를 안내하는 시스템은 전무한 상태이다. 강풍이 부는 곳에서의 무리한 주행은 핸들 조작의 어려움으로 인한 사고 위험과 풍속을 고려하지 않은 과속으로 인한 전복사고 등의 위험이 크다. 이러한 측면에서 바람 잦은 곳 중 주요지점에 기상정보센서(WIS:Weather Information Sensor)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구동력과 주행저항의 크기를 극대화하는 적정속도를 VMS를 통하여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목포시에 건설예정인 목포대교를 대상으로 풍속별 적정 속도를 산출한 결과, 연중 평균 풍향인 남풍일 경우 교량의 입지(정남-북)에 따라 남측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풍속이 8m/h이상일 경우에는 평상시와 달리 돌풍을 대비한 여유구동력이 큰 60km/h의 속도를 안내해 주는 것이 바람직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3년도에 발생한 태풍 매미 시 목포시의 풍속인 18m/s 일 경우 시속 40km/s에서의 주행저항은 1131N으로써, 이미 변속 4단에서의 구동력(약 1054N)으로는 극복할 수 없으므로 3단 이하에서 변속을 하여야 하며, 이때의 적정속도는 주행저항과 구동력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40km/h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PVD를 활용한 C-ITS 차량 내 경고정보 제공에 따른 주행 및 환경영향 분석 (Analysis of Driving and Environmental Impacts by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in C-ITS Vehicles Using PVD)

  • 김윤미;김호선;강경표;김승범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24-239
    • /
    • 2023
  •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는 차량과 차량 또는 차량과 인프라 간의 양방향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전방의 교통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이용자 안전중심의 기술 및 시스템을 의미한다. 2016년 대전-세종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고속도로 및 지자체 실증사업을 통해 통신 인프라 구축, 단말기 보급, C-ITS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C-ITS 실증사업을 통해 수집된 개별차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고 정보의 개별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효과분석은 크게 주행영향 분석과 환경분석으로 나뉘며 주행영향 분석을 위해 순응도 분석과 주행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추가로 C-ITS 실증사업 기간동안 수집되었던 PVD (Probe Vehicle Data)의 부족한 데이터 수집을 보완하고자 DTG (Digital Tacho Graph) 데이터를 추가 수집하여 효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순응도 분석결과 충분한 유효샘플이 수집된 경고정보에 대해 운전자는 감속운행행태를 보였으며, Jerk와 가속 소음과 같은 주행안전성 지표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경고정보 제공으로 인해 주행안전성이 개선되었다. 반면 감속운행행태로 C-ITS 구축 이후 배출가스 양은 소폭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시스템 요구사항 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축 (Development of System Requirement Management Database System from User-centered Scenario)

  • 진문섭;박찬영;최준호;정경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1권2호
    • /
    • pp.199-204
    • /
    • 2013
  • 국가 연구 개발 사업을 통해 수행된 도시형 자기 부상 열차 실용화 사업은 중저속 자기부상열차시스템 개발기술을 확보하고 시범노선 구축 및 시험운행을 통해 상용화를 목적으로 자기부상열차로서 국내에서는 최초의 상용화이며 완전무인운전시스템 구현을 목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 연구소들의 시스템엔지니어링 활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시형자기부상열차 시스템요구사항을 개발하고,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도출된 추적성 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사업 전주기에 걸쳐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정립하고, 카테고라이징 및 DB화를 통하여, 사용자 중심의 엔지니어링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시스템의 개발 및 구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현장운영에 따른 적용성 분석 (Adaptability Analysis of Emergency Preemption System in Field Operation)

  • 김상연;고광용;박순용;정영제;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95-109
    • /
    • 2017
  • 긴급출동을 위한 골든타임 확보는 생명과 직결되는 것으로, 초동 출동시간 단축방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동 출동시간 단축을 위해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을 실제 현장에 도입하고, 시범운영한 후 국내 도입가능여부를 판단하였다. 도입여부 판단은 긴급차량 우선신호 효과검증을 위해 통행시간을 분석하였고, 부방향과 대향직진방향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알아보기 위해 대기행렬길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긴급차량 효과검증에서는 우선신호를 운영할 경우에 긴급차량의 통행시간이 최대 350%에서 최소 24%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선신호에 의한 부방향과 대향방향의 영향은 포화상태일 때 대기행렬길이가 최대 15분, 근포화상태에서는 30분에서 45분 정도까지 지속되었으며, 비포화 상태에서는 긴급차량 통과 직후에도 대기행렬길이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와 중력모형을 이용한 국토의 환경적 가치기준 평가모델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Evaluation for Land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Using GIS and Gravity Model)

  • 이동근;김재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8-85
    • /
    • 2004
  • The non-planned development of the rural area surrounding the Metropolitan area has become a social problem. The land development program until now has an aspect of not combining the spacial plan and the environmental plan. The land use and city development system based on development should change into a form that combines developing the area and conserving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overlay analysis and the gravity matrix which are ways to evaluate the value land that has a high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The research area is the town of Seonggeo-eup, Cheonan City, and the reason for selecting this area is because it is expected to be densely populated as a connected area to the Metropolitan and the development pressure, such as expanding the industrial area, is high due to convenient transportation. The environmental factors used in the research are the relative altitude, incline, age-class, natural degree of the ecology, classification of the land covering and the NDVI, and the research methods used are the overlay analysis of the GIS and the statistical method. The overlay analysis results showed level 1 13.2%, level 2 30.7%, level 3 47.4%, level 4 1.0%, level 5 2.4%, level 6 5.4% and so on. The gravity matrix was classified as level 1 27.0%, level 2 9.3%, level 3 58.2%, level 4 2.4%, level 5 2.3%, level 6 0.9% and so on. These results are more appropriate than current methods for plans that value the environment because the analyzed results of the gravity matrix have a tendency to highly condense the environmentally valuable area. Consequently, if the spacial and environmental plans combine and therefore expand the efficient use of the land in the current state where the nation's concern in environment is getting higher, it is thought that it will contribute highly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s life quality.

주거환경 만족도와 주거선택요소 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chang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change in the Selection Tendency of the Residential Property - Targeting Seoul Residences -)

  • 김준환;최영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1-38
    • /
    • 2008
  • Recently, Seoul residential real estate market showed a big change, especially in 2007. The residential property price in Seoul had been mainly affected by 5 provideces: Kangnam-gu, Seocho-gu, Songpa-gu, Gangdong-gu and Yangchun-gu, but these providences started to show the decrease in price while the other providences ironically showed the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this project was derived from this phenomenon recognition and the necessity as the new market trend requires. The pre-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point of social-population academic view, but this project provides the analysis on the new market trend by simplifying the complex valuation indexes, originated from the pre-research. In result, the aspects of the change could be categorized into time-manner classification and territorial-manner classification, in cope with the chang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election tendency of the residential property. Based on the the moving-preferred area criteria, the territorial classification was categorized into 3 areas: 5 providences, which showed the initial decrease in real estate price (area 1), the other Kangnam area (area 2), and Kangbuk area (area 3). The result illustrated the reasonable chang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election tendency of the residential property. This project was able to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 Firstly, the housing development planning should be devised b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cluding the view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ot by the area. Secondly, the housing development planning in the other Kangnam area (area 2) and Kangbuk area (area 3) should embrace the business function, not the housing development only. Last, the housing development planning in Kangbuk area (area 3) should be able to enhance education and culture function and be connected by various transportation system. This project analyzes the chang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election tendency of the residential property. Thereafter, this project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aid in understanding of the basis of housing development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