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nected digit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xtension of K-L Dynamic Parameter for Connected Digit Recognition (숫자음 인식을 위한 K-L 동적 특징파라미터의 확장)

  • 김주곤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257-261
    • /
    • 1998
  • 일반적으로 인식률이 저조한 연속 숫자음의 인식 정도 향상을 위해서 K-L 동적특징의 확장에 대해서 검토한다. 이 검토결과를 4연속 숫자음을 대상으로 하는 인식 실험을 수행하여 숫자음 인식에 있어서 확장된 K-L 동적특징의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음성자료는 국어공학센터에서 채록한 4연속 숫자음을 사용하며, 확장한 K-L 동적특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일 특징 파라미터로서 멜-켑스트럼과 회귀계수, K-L 동적계수 등과 이들 특징 파라미터를 결합한 경우에 대해서 특징파라미터를 확장하여 K-L 동적 특징을 추출하고, 4연속 숫자음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인식의 기본 단위로는 48개의 유사음소단위를 음소모델로 사용하였으며, 인식실험에 있어서는 유한 상태 오토마타에 의한 구문제어를 통한 OPDP 법을 이용하였다. 인식 실험 결과, 단일 특징파라미터로서 멜-켑스트럼을 사용한 경우 67.5%, 이를 확장한 K-L 동적계수를 사용한 경우 78.2%를 보였다. 또한 결합한 특징파라미터에 있어서는 멜-켑스트럼과 희귀계수를 사용한 경우 78.4%의 인식률을 보였으며, 이를 K-L 동적계수로 확장한 경우 82.3%의 인식률을 얻어 확장한 K-L 동적특징파라미터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ignal Status Analysis Using the Maintenance System of the TDX Signaling Equipment (TDX 신호장치 유지보수 시스템을 이용한 신호상태분석에 관한 연구)

  • 윤대환;임채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B
    • /
    • v.30B no.5
    • /
    • pp.73-81
    • /
    • 1993
  • We have developed a system which can analyze the status of signal sent from/received to a signalling service equipment within the fully electronic switching system such as TDX-10. The system has such functions that acquire PCM signal of the preferred channel from the subhighway of the thirth-two channel by which a Universal Signal Tr ansceiver Unit(USTU) is connected with Time Switch Unit (TSU), and then classify the type of signal such as R2MFC/DTMF/CCT/VOICE, and determine the digit. Up to now, we have analyzed the frequency spec trum using the FFT.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ement of PCM acquirer which can analyze the signal characteristics by acquiring the PCM signal in SHW(subhighway), and proposes the CZT(Chirp Z-Transform) algorithm. An algorithm which analyzes the acquired signal and determines the signal frequency and the corresponding power spectrum using the CZT is also discussed here.

  • PDF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using LDA (LDA를 이용한 한국어 연결숫자 인식기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 Song Hwa Jeon;Kim Hyung S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61-6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class간의 변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용한 방법인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를 사용하여 한국어 숫자음간의 변별력을 높여 연결숫자 인식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한국어 숫자음은 모두 단음절이며 또한 혼동가능성이 높은 숫자쌍이 존재하여 이것이 전체 인식률을 저하시킨다. LDA를 사용한 경우 숫자열 오인식률이 $8\%$ 감소하였다. 그리고, 음성특징 벡터의 차수를 감소시키고 LDA 사용전 보다 약간의 인식률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선형적인 방법으로 분리가 불가능한 class들의 분포가 존재할 때는 LDA를 사용하여도 변별력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분포의 class사이의 변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between-scatter covariance matrix를 구할 때 class 사이에 혼동가능성 정도를 나타내는 weighting factor를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숫자열 오인식률이 LDA 사용전보다 $9.7\%$ 감소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facing Unit between PSTN and Interphone Network (PSTN과 인터폰망사이의 자동접속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 Yang, Woon-Geun;Lee, Choong-W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88.07a
    • /
    • pp.157-160
    • /
    • 1988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Interfacing unit between PSTN and interphone network. The designed and realised system detects the ring signal from PSTN and makes off-hook condition when it is detected. Then the caller can hear the response tone from the unit and the tones of the interphone network condition. The developed system receives the interphone number to which the caller wants to connect by MFC tones and drives Interphone switch matrix. Thus, a call is connected to the interphone user directly. The caller may press the interphone number up to 10 digits and the last two of which are recognized as valid ones. The caller must press the first digit within 20 seconds after system response.

  • PDF

The Recognition Experiment of Korean Connected Digit in the Telephone Network (전화망에서의 한국어 연속숫자음 인식 실험)

  • Kang Jeom-Ja;Kim Kap-ke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67-17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전화망 환경에서의 한국어 숫자음 인식을 위한 특징 파라미터 추출, 음향 모델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하여 HTK 툴을 사용한 4 연숫자음 인식실험 결과를 기술한다. 또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숫자음에 대해서 오류율을 분석하였다. 숫자 모델로는 left context biword 모델과 triword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상태수와 mixture 수를 바꾸어 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triword 모델이 biword 모델보다 인식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substitution 에러율은 " 이<->" 에서 가장 높은 에러가 발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nnected Digit Telephone Speech Recognition (연속 숫자음 전화음성의 인식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Kim Min Sung;Jung Sung Yun;Son Jong Mok;Bae Keun Su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43-146
    • /
    • 2002
  • 전화음성의 경우 전화 회선의 채널 대역폭 제한과 통화로 형성시 달라지는 채널의 특성으로 인하여 마이크 음성에 비하여 인식 성능이 많이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 숫자음 전화음성의 인식율 향상을 위해 채널 왜곡 보상 기법들을 적용하고, HTK 기반의 인식 실험을 통해 보상 기법에 따른 인식 성능을 비교하였다. 채널 왜곡 보상 기법으로 CMN, RASTA, RTCN 등을 적용하고, 각 보상 기법에 따라 HMM의 state 수, mixture 수를 바꾸어 가며 인식 실험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Utterance Verification and Substitution Error Correction In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한국어 연결숫자 인식에서의 발화검증과 대체오류수정)

  • Jung Du Kyung;Kim Hyung S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11-114
    • /
    • 2002
  • 음성인식에서 발화검증은 비인식대상어휘(OOV)를 기각시키고, 인식대상어휘라도 오인식 가능성이 높은 결과를 기각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혼동가능성 높은 숫자쌍들이 존재하는 한국어 연결 숫자 인식에서 발화검증 결과로 숫자열 기각시 오인식 가능성이 높은 숫자열을 그냥 기각시키는 대신에 대체오류를 수정하여 인식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N-best decoding 결과에 따르면 $2^{nd}\;best$$3^{rd}\;best$안에 대부분의 제대로 된 인식결과들이 포함된다. 따라서, N-best decoding을 이용해, 숫자열 기각시 $2^{nd}\;best$ 숫자열로 대체된 것이라고 가정한 후, 개별숫자 log likelihood ratio(LLR)과 N-best 기반의 숫자열 LLR[3] 등을 함께 고려한 신뢰도 측정방식에 의해 그 가정이 맞다고 판단이 되면 $2^{nd}\;best$ 의 숫자열과 대체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오류를 수정하였다.

  • PDF

Connected Digit Recognition Using Phonetical Features (음성학적 특징을 이용한 연속 숫자음인식)

  • 김민정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d
    • /
    • pp.72-7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숫자음 인식시스템의 인식률 향상을 위한 연구로서 4연속 숫자음을 대상으로 연음 현상 및 경음화 현상등과 같은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숫자음에 강건한 모델을 작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인식실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음성자료로서는 국어공학센터(KLE)에서 채록한 4연속 숫자음을 사용하며 인식의 기본단위로서 음향학적 특징을 고려한 19개의 연속분포 HMM을 유사음소 단위(Phoneme Like Units ; PLUS) 로 사용한다. 또한 , 인식실험에 있어서는 기존의 방법으로 모델을 작성한 경우와 연음 현상과 경음화 현상 등과 같은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모델을 작성한 경우에 대해서 유한상태 오토마타(finite State Automata ; FSA)에 의한 구문제어를 통한 OPDP(One Pass Dynamic Programming)법으로 인식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존이 방법의 경우 64.6%,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한 경우 68.6%의 인식률을 보여,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한 경우가 4.0% 향상된 인식률을 얻어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Noise Reduction for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through Telephone Channel (전화망 환경에서 한국어 숫자음 인식을 위한 잡음처리)

  • Kim Kyuhong;Kim Hoirin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2003.05a
    • /
    • pp.211-214
    • /
    • 2003
  • 일반적으로 음성 인식에서의 성능은 잡음의 영향으로 인하여 저하된다. 전화망을 통한 한국어 연속 숫자음 인식은 음성인식 분야에 있어서 어려운 영역에 속하는데, 이는 조음 현상으로 인한 인식률 저하되는 점과 전화망 채널의 영향으로 인하여 스펙트럼 포락이 왜곡되며 음성신호의 대역폭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2WF(2-stage Wiener Filter) 와 SWP (SNR-dependent Waveform Processing) 그리고 CMN(Cepstrum Mean Normalization)을 사용하였다. 2WF는 음성 신호의 포만트 구조를 적게 왜곡시키면서 전체적인 가산잡음 뿐만 아니라 동적 가산잡음도 줄여준다. SWP는 음성파형에서 SNR값이 상대적으로 큰 부분을 강조하여 전체적인 SNR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CMN은 특징벡터로부터 채널잡음의 영향을 정규화하여 음성 인식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방법들을 전화망 한국어 연속 숫자음 DB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음성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면서 잡음의 영향을 줄여 전화망에서의 숫자음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Extraction of MFCC feature parameters based on the PCA-optimized filter bank and Korean connected 4-digit telephone speech recognition (PCA-optimized 필터뱅크 기반의 MFCC 특징파라미터 추출 및 한국어 4연숫자 전화음성에 대한 인식실험)

  • 정성윤;김민성;손종목;배건성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6
    • /
    • pp.279-283
    • /
    • 2004
  • In general, triangular shape filters are used in the filter bank when we extract MFCC feature parameters from the spectrum of the speech signal. A different approach, which uses specific filter shapes in the filter bank that are optimized to the spectrum of training speech data, is proposed by Lee et al.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is used to get the optimized filter coefficients. Using a large amount of 4-digit telephone speech database, in this paper, we get the MFCCs based on the PCA-optimized filter bank and compar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with conventional MFCCs and direct weighted filter bank based MFCCs.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n that the MFCC based on the PCA-optimized filter bank give slight improvement in recognition rat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FCCs but fail to achiev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MFCCs based on the direct weighted filter bank analysis. Experimental results are discussed with our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