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genital facial deformity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구순 구개열 환자의 성장 후 안모에 관한 두부방사선학적 계측 (A Cephalometric Analysis of Lateral Morphologic Feature in Adult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최상희;천상득;윤홍식;이희경;진병로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5
    • /
    • 2003
  • 이차골 이식술을 시행 받은 구순 구개열을 가지는 성인 남자 20명의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McNamara씨 분석법을 중심으로 하여 계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순 구개열 환자에서 Na. perpendicualr to point A칼은 글.98±5.70, SWh angle 값은 76.45±4.69, Pogonion to Na. perpendicular간은 -6.38± 6.73을 나타내었다. Effective maxillary length는 85.6±4.42, effective mandibular length 값은 123.88±7.10을 보였고 하악각은 29.9±5.09, facial axis angle은 5.53±2.03으로 관찰되었다. Point A에 대해 상악 전치의 돌출도는 3.95±2.74의 값을 보였다.

  • PDF

구순 구개열 환자의 성장후 측모형태에 관한 두부계측방사선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f Lateral Morphologic Features in Adult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장익준;손우일;송재철;진병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112-122
    • /
    • 2001
  • 구순 구개열을 가지는 성인 남자 17명의 두 부계측방사선 사진을 McNamara씨 분석법을 중심으로 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순 구개열 환자에서 Na. perpendicular to point A. SNA angle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게 나와 두개저에 대해 상악이 후방에 위치하였다(p<0.01). Effective maxillary length,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 Wit's appraisal 등이 구순 구개열 환자와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Effective mandibular length, Mandibular plane angle, Facial axis angle,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하악의 경사도, 성장방향 등은 정상이나 상악의 절대적인 길이가 작으며 이로 인하여 상하악간의 부조화가 생긴 것으로 사료된다. 구순 구개열 환자에서 pogonion to Na. perpendicular가 95%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게 나와 하악이 두개저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였다. 교정치료에도 불구하고 point A에 대해 상악 전치가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였다.

  • PDF

누난 증후군(Noonan syndrome)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NOONAN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CASE REPORT)

  • 서미경;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2017
  • 본 증례는 유구치부의 치아우식증을 주소로 내원한 누난 증후군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에 대한 보고이다. 누난 증후군 환자의 특징적인 안모가 관찰되었으며, 높은 아치형의 구개와 작은 턱이 관찰되었다. 성장 지연, 발달 지연, 가슴 기형, 언어 지연을 보였다. 누난 증후군 환자는 다양한 전신질환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치과 치료 시 전신적인 상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행동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행동 조절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누난 증후군 환자의 전신마취 시 기도 문제, 심폐 기능의 손상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