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genital chylothorax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동맥관개존증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Patent Ductus Arteriosus)

  • 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672-680
    • /
    • 1988
  • Munro is generally considered the first person to have demonstrated, in 1888, in an infant cadaver, the feasibility of dissection and ligation of a persistently patent ductus arteriosus. In august, 1938, Robert Gross reported first successful division and suture of the patent ductus of 7 year old girl. Interruption of a ductus is one of the most satisfactory and curative operations in the field of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Seventy-eight consecutive cases of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ere operated from June 1980 to June 1988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Maryknoll Hospital.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of the patients were 1. There were 24 males, 54 females. 2. The age range of the patients were from 7 months to 32 years with the mean age 9.8 years. 3. Chief complaints of the patients were frequent URI[70.5%], dyspnea on exertion[36.9%], palpitation[10.3%], but 15 patients[19.2%] had no subjective symptoms. 4. Continuous machinery murmur could be heard at the 2nd or 3rd intercostal space on the left sternal border in 66 patients[84.6%]. The other 12 patients made systolic murmur. 5. Radiographic findings of the Chest P-A were cardiac enlargement in 55 patients[70%], enlargement of pulmonary conus and/or increasing density of pulmonary vascularity in 68 patients[87%]. 6.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of the patients were within normal limit in 23 patients[36%], LVH in 38 patients[48.7%], RVH in 7 patients[9%], biventricular hypertrophy in 5 patients[6%]. 7. Cardiac catheterization performed in 62 patients. Mean Qp/Qs=2.5, mean pulmonary arterial pressure=45 mmHg. 8. 73 patients were operated through left posterolateral thoracotomy: Closure of the ductus by ligation in 64 cases, division with suture in 6 cases, and division with aortopatch in 3 cases. Ligation through median sternotomy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were 5 cases. 9. There was no death associated with operation, but one case was experienced with intraoperative tearing of ductus resulting in massive bleeding. The other complications were transient hoarseness in 2 patients, chylothorax in 2 patients.

  • PDF

세 마리의 소형견에서 발생한 다양한 해부학적, 혈역학적, 병태생리학적 타입의 심방중격결손 비교 고찰 사례 (Comparison of Different Anatomic, Hemodynamic, and Pathophysiological Types of Atrial Septal Defect in Three Small Dogs)

  • 김정현;문소정;강민희;김승곤;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86-590
    • /
    • 2011
  • 5 kg 미만의 소형견 3마리가 호흡곤란과 심잡음을 주증상으로 내원하였다. 한 마리 환자에서는 일차 심방중격결손과 함께 유미흉이 진단되었다. 나머지 두 마리 환자들에서는 이차 심방중격결손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한 마리의 환자에서는 폐동맥 협착증이 병발되었다. 내과적 치료를 시도하였으나, 이차 심방중격 결손을 가진 두 마리의 환자들은 폐사하였으며 일차 심방중격 결손이 있는 환자는 약물치료로 성공적으로 유지되었다. 폐사한 두 마리의 환자에 서는 부검을 통하여 결손부를 확인하였다. 본 증례의 경우, 세 마리의 소형견에서 발생한 다양한 해부학적, 혈역학적, 병태생리학적 타입의 심방중격 결손의 임상증상, 진단학적 특징을 대형견에서의 특징과 비교 분석한 첫 증례보고이다.

태아수종의 특성 및 사망률과 연관된 위험인자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Hydrops Fetalis)

  • 고훈;이병섭;김기수;원혜성;이필량;심재윤;김암;김애란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21-227
    • /
    • 2011
  • 목적: 태아수종으로 진단된 환아를 대상으로 태아수종의 특성과, 사망률과 연관된 위험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태아수종을 진단받고 치료한 환아 7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여 태아수종아의 특성, 산모의 특성, 태아수종의 원인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생존군과 사망군의 2군으로 나누어 사망률과 연관된 위험 인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71명의 환아(평균 재태연령: 33주, 출생체중: 2.6 kg) 중 생존한 환아의 수는 38명(53.5%), 사망한 환아의 수는 33명(46.5%)으로 나타났다. 태아수종의 원인 중, 비면역성 원인은 총 71례 중 68례(95.8%)로 나타났고, 이 중 특발성이 가장 많았고, 유미흉, 심기형, 쌍생아간 수혈, 태변복막염, 심부정맥, 선천성 감염 순으로 나타났다. 면역성 원인은 총 71례 중 3례(4.2%)로 Rh 부적합증이 2례, ABO 부적합증이 1례로 나타났다. 위험인자의 다변량 분석에서, 낮은 5분 아프가 점수(P=0.001), 유리질막병을 동반한 경우(P=0.030), 그리고 출생 시재태주령 별 50백분위수에 해당하는 표준체중을 10일내 회복하지 못하는 경우(P=0.042)에 사망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낮은 5분 아프가 점수, 유리질막병의 동반 그리고 재태주령 별 50백분위수에 해당하는 표준 체중을 10일 내 회복하지 못하는 경우가 태아수종의 사망률을 높이는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낮은 5분 아프가 점수 및 유리질막병을 동반한 경우는 출생 초기의 상태를 반영하고 표준 체중 회복의 지연은 출생시 태아수종의 심한 정도를 반영하기 때문에, 태아 수종에 이환된 신생아의 경우 출생 초기의 상태와 태아 수종의 정도가 예후 예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소아에서 지속적 신대체요법의 치료 결과 (Outcome of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Children)

  • 임연정;진현승;한혜원;오세호;박성종;박영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68-74
    • /
    • 2005
  • 목 적 : 혈역동 상태가 불안정한 신부전 환자에서 CRRT 시행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소아 환자에서의 보고는 드물다. 그러므로 저자들은 소아 환자들에서 CRRT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2001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CRRT를 시행한 소아 환아 23례를 대상으로 하여 원인 질환 및 신대체요법 시작 시 임상 양상과 경과, CRRT의 방법과 결과를 검토하였고 생존군과 사망군 사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23명의 환아 중 남아가 12명, 여아가 11명이었고 연령은 3일에서 16세(중간값 5세)였다. 체중은 2.4 kg에서 63.9 kg(중간값 23.0 kg)였고 20 kg 이하가 5명이었다. 대상 환아의 기저 질환은 종양성 질환이 9명, 다장기 부전 증후군 5명,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에 의한 고암모니아 혈증 4명, 간기능 부전과 동반된 급성 신부전 3명, 확장성 심근증 1명, 선천성 신증후군 1명 이었다. PRISM III 점수는 $17.6{\pm}7.6$이었고 평균 부전 장기의 수는 $3.0{\pm}1.7$개였다. CRRT를 시행한 기간은 1일에서 27일(평균 9일)이었다. 23명의 환아 중 11명(47.8%)이 생존하였다. 이중 4명에서 후유증이 남았는데 1명은 뇌출혈이 발견되었고 2명은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였으며 또 다른 1명에서는 내경정맥에 2중 도관 삽입과 관련된 상대정맥 혈전으로 인해 유미흉이 발생하였다. 생존군과 사망군을 비교하였을 때 생존군에서 CRRT 시작 당시의 PRISM III 점수와 투여되는 승압제의 수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 론 : 혈역동상태가 불안정하고 다장기 부전이 동반된 급성 신부전 환아에서 CRRT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고 생존율에는 CRRT 시작 전 PRISM III 점수, 승압제 투여 정도가 중요한 요인이었다.